본문 바로가기

자료

Arts Council Korea
아르코는 투명하고 공정한 예술행정 실현을 지향합니다.

간행물

  • X(엑스)
  • 블로그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url복사

예술창작을 위한 AI 기술 이해와 사례 : 기술 개요, 장르별 사례, 법적 개념 중심

  • 조회수 35
  • 등록일 2025.11.14
  • 발간년도 2025
  • 담당부서 기획조정팀 061-900-2150
  • 담당자 한하경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25 ‘AI 워킹그룹’(’25.7~9)의 전문가 참여자들과 분야별 전문가 필진이 협력하여, 예술 분야의 인공지능 활용 현황과 창작 적용 사례를 폭넓게 다루는 본 사례집을 제작함

이번 사례집은 예술가와 예술계 관계자가 인공지능을 단순한 기술적 도구를 넘어, 새로운 예술적 표현의 파트너이자 탐구의 대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함

이에 따라 인공지능 기술의 기본 개념에서부터 장르별 창작 사례, 법적 개념 및 용어 설명, 워킹그룹 추진 성과까지 아우르는 내용으로 구성함

<목 차>

  • PART 1. 서문 : 예술 창작과 생성형 AI의 만남
  • PART 2. 예술 창작을 위한 AI 기술 소개
  • PART 3. AI 활용 창작 사례 소개
  • PART 4. AI 활용 저작 관련 법적 개념 정리
  • PART 5. 한국문화예술위원회 AI 워킹그룹 추진 경과 및 성과

<참여 필진(14명)> * 챕터 순서

  • 백 란 호남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AI 위원회 위원
  • 민세희 Data/AI 아티스트,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겸임교수
  • 남주한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KAIST 지정 석좌교수
  • 문부일 어린이청소년문학 작가
  • 김해등 어린이청소년문학 작가
  • 김덕희 소설가. 한양여자대학교 문예창작과 교수
  • 박병성 공연 칼럼니스트, 공연한오후 대표
  • 구도윤 극작가, 프로젝트 밈 대표
  • 남상봉 작곡가, 서울교육대학교 음악교육과 교수
  • 이성희 국민대학교 공연예술학부 무용전공 교수
  • 이 준 공학박사, 고려대학교 디자인조형학부 부교수
  • 김희선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교수
  • 이대희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주소 분쟁조정위원회 위원장
  • 한하경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기획조정팀 책임연구원
담당자명
사업별 담당자 문의
담당부서
대표번호
담당업무
사업별 담당자 문의
전화번호
061-900-2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