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모안내

Arts Council Korea
아르코는 문화예술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합니다.

결과

  • X(엑스)
  • 블로그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url복사
  • 이메일 전송

2023년도 예비예술인지원 사업 최종 지원심의 결과 발표

2023년도 예비예술인지원사업에 관심을 가져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지원심의 결과를 다음과 같이 발표합니다.

□ 지원신청 접수 현황 및 선정 결과

  • 2023년 예비예술인지원사업에는 27일의 접수 기간(2023.3.3.~3.29) 동안 총 131건의 지원신청이 접수되었으며, 총지원신청액은 18,278,345,104원이었습니다.
  • 지원심의회의를 통해 총 38건, 5,412,000,000을 지원하기로 하였습니다.
지원신청 접수 현황 및 선정결과에 대한 구분, 신청건수, 선정건수, 지원결정액 등 정보제공

구분

신청건수

선정건수

지원결정액(원)

유형① 예술대학의 예비예술인 현장연계 지원

59

20

3,730,000,000

유형② 예술단체의 예비예술인 발굴육성 지원

72

18

1,682,000,000

□ 지원신청 내역 및 심의총평

지원신청 내역 및 심사총평에 대한 구분, 지원선정내역, 심의총평 등 정보제공

구분

지원선정 내역

심의총평

예술대학의 예비예술인 현장연계 지원

보기

1차 보기

2차 보기

예술단체의 예비예술인 발굴육성 지원

보기

  • 결과발표 후 지원제외 및 제한대상으로 판명될 경우 지원결정 취소 및 지원금 회수 조치 됩니다.
  • 지원사업 포기는 지원심의 결과발표일 기준 30일 이내에 신청하여야 하며, 이후 선정 포기 시 차년도 동일 사업 신청 대상에 불이익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지원심의 경과

  • 2023년도 예비예술인지원 사업의 지원대상 결정을 위한 심의회의는 다음과 같이 4단계의 과정으로 진행하였습니다.
지원심의 경과에 대한 구분, 회의주체/일정, 내용 등 정보제공

구분

회의주체/일정

내용

1단계

위원회 전체회의
(2023.2.23.(목))

  • 사업의 지원계획 및 지원방향, 지원심의 기본방침 및 지원심의기준 등 확정

2단계

1차 서류심의
(2023.4.13.(목))

  • 심의기준에 따른 심의위원별 전수검토 및 온라인채점, 토론 진행 후 집계 결과에 따라 2차 지원심의대상 선정

3단계

2차 인터뷰심의
(2023.4.21.(금))

  • 사전 서면 질의자료 검토 및 인터뷰 진행, 심의기준에 따른 심의위원별 온라인 채점, 토론진행 후 집계 결과에 따른 최종 지원대상 사업 선정 및 지원금액 결정

4단계

위원회 전체회의
(2023.4.28.(금))

  • 제 355차 전체회의에서 2023년 예비예술인지원 사업 지원심의 결과 최종 확정

□ 심의위원회 구성

  • 구성방식 : 사업의 특수성 고려 및 심의운영의 전문성 확보를 위해 전담심의위원제 적용
    * 전담심의위원은 전문성 및 경험을 가지고 있는 위원을 자격으로 하고 지역전문가/신진/성비 균형 등을 고려하여 심의위원회를 구성하였으며, 세부 구성경과 및 명단은 심의위원회 개최에 앞서 홈페이지에 공개(2023.04.06. 게시) 해당 게시글
심의위원회 구성에 대한 성명, 소속 등 정보제공

성명(가나다순)

소속

곽은미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사업본부 본부장
(前 에스제이 노무법인 책임노무사)

김영애

롯데백화점 상무 / 아트콘텐츠실장, 이안아트컨설팅 대표
(前 이화여자대학교 겸임교수)

김영현

장흥교도소문화재생사업단장
(前 지역문화진흥원장, 유알아트 대표, 성공회대학교 문화대학원 겸임교수)

김유정

예술경영지원센터 예술경제지원본부 본부장

유영이

서울대학교 건축도시이론연구실 연구원
(前 공공미술 플라잉시티, 밀라노엑스포 한국관, 서울대학교 미술관 등 문화예술 협업 사업 기획 등 참여)

이의신

서울사이버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 / 문화예술대학장, 한국지역문화학회 부회장, 한국문화경제학회 이사

한민서

프리랜서
(前 순천향대학교 책임연구원 등)

□ 향후 진행사항 안내

향후 진행사항 안내에 대한 구분, 내용 등 정보제공

구분

내용

선정단체 오리엔테이션 개최

(공통 필수)

  • 2023.5.16.(화), 예술가의집 3층 다목적홀
  • 사업 오리엔테이션, 회계교육 등 진행 예정이며 세부내용은 추후 안내드릴 예정입니다.

보조금 교부·집행

(기획재정부 e나라도움시스템 이용)

  •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 제26조의2(보조금통합관리망의 구축 등) 및 국고보조금 운영관리지침 등에 근거하여 기획재정부가 구축한 e나라도움(국고보조금통합관리시스템, www.gosims.go.kr)을 통해 보조금을 교부 및 집행하여야 합니다.
  • 지원 선정단체는 e나라도움 홈페이지(www.gosims.go.kr)에 접속하시어 회원가입 및 교부신청 등의 관련 매뉴얼을 미리 숙지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정산 단체 교부 제한

  • 문예진흥기금 및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운영 국고보조사업 지원을 받고 실적보고서 제출기한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공모접수 마감일까지 기존 지원사업의 보조금 정산 및 실적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은 단체·대표자 개인은 선정이 되더라도 정산 및 실적보고서 완료 시까지 교부가 불가능합니다.
  • 자세한 내용은 보조사업 운영 안내를 통해 확인 바랍니다.

□ 사업담당자 안내(응대가능 시간 : 10:00~17:00)

  • 예술인력양성부 서한샘 과장(02-760-4681, ssam@arko.or.kr)
  • 예술인력양성부 이가현 주임(02-760-4559, ghlee@arko.or.kr)

※ 담당자가 다른 전화 응대 또는 부재로 인해 연락이 어려운 경우에는 이메일로 문의해 주시면 확인 후 조치해 드리겠습니다.

□ 지원심의 옴부즈만 제도 운영 안내

  •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공모사업 지원심의를 공정하고 투명하게 추진하고 예술가의 권익보호를 위해 ‘지원심의 옴부즈만’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지원심의 옴부즈만은 법조·행정·경영·언론 등의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옴부즈만이 지원심의 과정 및 결과에 있어 불합리하고 부당한 업무처리 사안을 조사하고 처리하는 상설 기구입니다. 지원심의 과정 및 결과에 대한 불합리하고 부당한 업무처리 사안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내용을 참고하여 심의결과 발표일로부터 15일 이내에 접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예술적 수월성 등 사업계획의 질적 평가 측면에 대한 이의제기는 가치판단 영역이므로 본 이의신청 대상(범위)에 해당되지 않음을 안내드립니다.

자세한 제도 소개 및 이의신청 안내

2023년도 예비예술인지원 사업에 신청해주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앞으로도 문화예술인들의 동반자라는 마음으로 늘 문화예술인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보다 투명한 예술행정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년 5월 3일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자료담당자[기준일(2023.5.3.)] : 예술인력양성부 서한샘 02-760-4681
게시기간 : 23.5.3. ~

담당자명
사업별 담당자 문의
담당부서
대표번호
담당업무
사업별 담당자 문의
전화번호
061-900-2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