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모안내

Arts Council Korea
아르코는 문화예술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합니다.

결과

  • X(엑스)
  • 블로그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url복사
  • 이메일 전송

2023년 (국고)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 지원사업 최종 지원심의 결과발표

2023년 (국고)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 지원사업에 관심 가져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며, 다음과 같이 지원심의 최종결과를 발표합니다.

▣ 지원신청 접수 현황 및 선정 결과

  • 2023년 (국고)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 지원사업에는 17일의 접수기간(2023.2.6~2.22) 동안 총 760건의 지원신청이 접수되었으며, 총 지원신청액은 24,203,410,085원이었습니다.
  • 지원심의회의를 통해 총 127건에 대해 4,390,000,000원을 지원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지원신청 접수 현황 및 선정 결과에 대한 사업, 신청건수, 선정건수, 지원결정액 등 정보제공

사업

신청건수

선정건수

지원결정액

콘텐츠 창작

진입

399건

50건

900백만원

성장

296건

66건

2,800백만원

확산 서비스

매개

35건

8건

496백만원

수익

30건

3건

194백만원

▣ 지원선정 내역 및 심의총평

지원선정 내역 및 심의총평에 대한 사업, 지원선정내역, 심의총평 등 정보제공

사업

지원선정 내역

심의총평

콘텐츠 창작

진입

보기

보기

성장

보기

보기

확산 서비스

매개

보기

보기

수익

보기

  • 결과발표 후 지원제외 및 제한대상으로 판명될 경우 지원결정 취소 및 지원금 회수 조치 됩니다.
    • 저작권 동의 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단체의 경우 조건부 선정으로 저작권 사용 동의 관련 증빙자료를 제출해야 하며, 확인되지 않을 시 선정이 취소됩니다. (해당 단체 개별 안내 예정)
  • 지원사업 포기는 지원심의 결과발표일 기준 30일 이내에 신청하여야 하며, 이후 선정 포기 시 차년도 동일 사업 신청 대상에 불이익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지원심의 경과

  • 2023년 (국고)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 지원사업 지원심의 절차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하였습니다.
    • (1단계) 지원심의 계획 수립
    • (2단계) 심의위원 위촉(총 37명) 및 지원심의회의 개최
지원심의 경과에 대한 구분, 사업유형, 내용 등 정보제공

구분

사업유형

내용

1단계

콘텐츠 창작

(진입, 성장)

  • (1차-유형별/분야별 서류심의) 심의기준에 따른 심의위원별 온라인 채점 및 전수검토 진행 후, 집계 결과에 따라 2차 지원심의대상 선정
  • (2차-유형별/통합 서류심의) 심의기준에 따른 심의위원별 온라인 채점 및 전수검토, 토론 진행 후, 집계 결과에 따른 최종 지원대상 사업 선정 및 지원금액 결정
    ※ 다수의 신청사업(695건)이 접수됨에 따라 2단계 서류심의 진행

2단계

확산 서비스

(매개, 수익)

  • (1차-서류 심의) 심의기준에 따른 심의위원별 온라인 채점 및 전수검토, 토론 진행 후, 집계 결과에 따라 2차 지원심의대상 선정
  • (2차-PT/인터뷰 심의) 비대면 PT 및 인터뷰 진행, 심의기준에 따른 심의위원별 온라인 채점 및 전수검토, 토론 진행 후, 집계 결과에 따른 최종 지원대상 사업 선정 및 지원금액 결정

▣ 심의위원회 구성

  • 여러 예술장르 및 타분야와의 융합, 다양한 온라인미디어 형식을 활용한 사업을 평가할 수 있는 심의위원으로서 기존 활동·경력 등 관련 전문성과 지역전문가, 신진 균형 등을 고려하여 심의위원회를 구성하였습니다.
  • 콘텐츠 창작(진입, 성장)
    • 1차 심의회의 : 유형 공통으로 7개 예술분야별 4명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신청접수 건수가 많은 다원예술 분야는 1차 심의회의의 경우, 진입과 성장유형을 구분하여 분야 내에 진입 4명, 성장 4명으로 총 8명의 심의위원을 구성하였습니다.
    • 2차 심의회의 : 1차 심의위원회 심의위원 중 각 분야별 1인씩 7명으로 구성하였습니다.
  • 확산 서비스(매개, 수익) : 문화일반분야 심의위원 5명으로 구성하였습니다.
  • 구성현황(가나다순)
구성현황에 대한 유형, 분야, 1차 삼의위원, 2차 심의위원 등 정보제공

유형

분야

1차 심의위원(분야별)

2차 심의위원(통합)

진입

성장

진입

성장

콘텐츠 창작

(진입,성장)

/ 32인

문학

  • 김서령(폴앤니나 출판사 대표)
  • 김태용(숭실대학교 교수)
  • 이승현(경북대학교 교수)
  • 조정미(주식회사 스토리미디어랩 대표)
  • 조정미
  • 김현영(김이박)
  • 이지은
  • 이미희
  • 한정호
  • 김성주
  • 김신재
  • 이승현
  • 김정연
  • 남윤일
  • 제환정
  • 최연식
  • 정선구
  • 이동은

시각

  • 김재환(경남도립미술관 학예팀장)
  • 김정연(독립 기획자)
  • 김현영(김이박, 시각예술가)
  • 신원백(홍익대학교 교수)

연극·뮤지컬

  • 남윤일(두산아트센터 프로듀서)
  • 원종원(순천향대학교 교수 )
  • 이은경(한국연극평론가협회 회장)
  • 이지은(세명대학교 교수)

무용

  • 김혜라(무용평론가)
  • 남지원(창작집단 달 대표)
  • 이미희(삼육대학교 교수)
  • 제환정(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음악

  • 이미배(전북대학교 교수)
  • 최연식(롯데문화재단 공연CS팀 책임)
  • 하지숙(KBS클래식FM 구성작가)
  • 한정호(주식회사 에투알클래식 대표이사)

전통

  • 김성주(공연예술컨설팅그룹비온뒤 대표)
  • 민소윤(음악공장 노올량 대표)
  • 정선구(A&A 대표)
  • 채인영(국립국악관혁악단 책임프로듀서)

다원

  • 고주영(독립 기획자)
  • 김신재(큐레이터/프로듀서)
  • 김태희( 바라컬처스랩 소장)
  • 이대한(독립 기획자)
  • 성연주(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수 )
  • 윤 익(미술문화팩토리 Art Party 대표)
  • 이동은(가톨릭대학교 교수)
  • 허명진(무용평론가)

확산 서비스

(매개,수익)

/ 5인

문화

일반

  • 고윤화(숭실사이버대학교 교수)
  • 김현수(상명대학교 교수)
  • 류승완(일제곱킬로미터 대표)
  • 배남우(한국예술종합학교 콘텐츠사업팀장)
  • 정성진(정공업사 예술감독)

▣ 향후 진행사항 안내

향후 진행사항 안내에 대한 구분, 내용 등 정보제공

구분

내용

선정 예술인(단체) 대상

비대면 오리엔테이션 개최

(4개 유형 공통, 필수)

  • 진행 일정 및 방식
    • 회계교육 : 4.27(목), 14:00~15:00 / 비대면(zoom)
    • 사업 오리엔테이션 : 4.27(목), 15:00~16:00 / 비대면(zoom)
    • 예술인 고용보험 : 4.28(금), 14:00~15:00 / 비대면(zoom)
    • 저작권 교육 : 4.28(금), 15:00~16:30 / 비대면(zoom)
  • 참여 링크 등 세부 내용은 선정자 대상 개별 안내 예정입니다.

보조금 교부·집행

(기획재정부 e나라도움시스템 이용)

  •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 제26조의2(보조금통합관리망의 구축 등) 및 국고보조금 운영관리지침 등에 근거하여 기획재정부가 구축한 e나라도움(국고보조금통합관리시스템, www.gosims.go.kr)을 통해 보조금을 교부 및 집행하여야 합니다.
  • 지원 선정단체는 e나라도움 홈페이지(www.gosims.go.kr)에 접속하시어 회원가입 및 교부신청 등의 관련 매뉴얼을 미리 숙지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정산 단체(개인) 교부 제한

  • 문예진흥기금 및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운영 국고보조사업 지원을 받고 실적보고서 제출기한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공모접수 마감일까지 기존 지원사업의 보조금 정산 및 실적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은 단체·대표자 개인은 선정이 되더라도 정산 및 실적보고서 완료 시까지 교부가 불가능합니다.
  • 자세한 내용은 보조사업 운영 안내를 통해 확인 바랍니다.

▣ 지원심의 옴부즈만 안내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공모사업 지원심의를 공정하고 투명하게 추진하고 예술가의 권익보호를 위해 ‘지원심의 옴부즈만’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지원심의 옴부즈만은 법조·행정·경영·언론 등의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옴부즈만이 지원심의 과정 및 결과에 있어 불합리하고 부당한 업무처리 사안을 조사하고 처리하는 상설 기구입니다. 지원심의 과정 및 결과에 대한 불합리하고 부당한 업무처리 사안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내용을 참고하여 심의결과 발표일로부터 15일 이내에 접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예술적 수월성 등 사업계획의 질적 평가 측면에 대한 이의제기는 가치판단 영역이므로 본 이의신청 대상(범위)에 해당되지 않음을 안내드립니다.

자세한 제도 소개 및 이의신청 안내

▣ 사업담당자 안내 (응대가능 시간 : 10:00~18:00)

사업담당자 안내에 대한 사업유형, 사업담당자, 연락처 등 정보제공

사업유형

사업담당자

연락처

부서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사업 총괄

융합예술부

정미연

061-900-2283

artchangeup@arko.or.kr

콘텐츠 창작(진입)

김재현

061-900-2231

콘텐츠 창작(성장)

이다연

061-900-2289

확산 서비스(매개, 수익)

장보람

061-900-2237

※ 담당자가 다른 전화 응대 또는 부재로 인해 연락이 어려운 경우에는 메일로 문의해 주시면 확인 후 조치해 드리겠습니다.

(국고) 2023년 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 지원사업에 신청해주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앞으로도 문화예술 현장의 파트너라는 마음으로 늘 문화예술인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보다 투명한 예술행정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년 4월 24일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자료담당자[기준일(2023.4.24.)] : 융합예술부 정미연
게시기간 : 23.4.24. ~

담당자명
사업별 담당자 문의
담당부서
대표번호
담당업무
사업별 담당자 문의
전화번호
061-900-2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