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예술단체(기관) 담당자들께서는 승인절차를 거쳐 자유롭게 공연전시정보를 올리실 수 있습니다.
- 홈페이지의 정상적인 운영을 저해하는 게시물은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등에 관한법률 제 61조’에 의거 처벌을 의뢰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홈페이지에 기재한 내용 중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개인정보를 삭제 조치 후 게시하여야 합니다.
- 승인절차
- 승인문의 : 061-900-2151 (경영지원팀)
[국립극단]연극인을 위한 월요일 오후 다섯이 인문학 강의
-
작성자
손*형
-
작성일
2015.06.12
-
기관명
국립극단
-
행사일
2015.07.02
2015 국립극단 연극인을 위한 월요일 오후 다섯시 인문학 강의 <br />
<br />
포스트드라마, 그 현장에서 <br />
<br />
국립극단에서는 2015년 포스트드라마를 주제로 계속 진화하고 있는 연극의 다양한 형태와 그에 따른 공연과 관객 사이의 변화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연극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새로운 담론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br />
<br />
<7월 강좌> <br />
일정: 7월 6일, 13일, 20일, 27일 매주 월요일 오후 5시-7시 <br />
장소: 백성희장민호극장 <br />
강사: 김형기(순천향대 연극무용학과 교수, 연극평론가) <br />
<br />
연세대학교 및 동대학원 독문학과(M.A) 졸업 <br />
독일 아헨대 문학박사(Dr. Phil). <br />
독일 뮌헨대 연극학과 연구교수, 한국브레히트학회 부회장, 한국연극평론가협회 회장을 역임하고, 현재 순천향대학교 연극무용학과 교수, 연극평론가, 한국연극학회 이사 등 활동. <br />
<br />
수강료: 무료 <br />
수강신청: 국립극단 홈페이지 아카데미 페이지 신청 <br />
http://www.ntck.or.kr/Home/Academy/Curriculum.aspx?CurriculumId=64 <br />
문의: 02-3279-2273 <br />
<br />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지각방식과 관객의 역할 <br />
<br />
1주차 (7월 6일): 포스트드라마 연극이란 무엇인가? <br />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개념과 예술사적 계보를 지각인습의 변화와 아방가르드 운동의 맥락에서 고찰한다. <br />
<br />
2주차(7월 13일):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제 양상과 수행적 미학 1 <br />
연극성과 수행성의 개념을 파악하고, 소위 ‘수행적 전환’(performative turn) 이후 공연의 중심(重心)이 재현에서 ‘수행적인 것’으로 이행된 경위와 퍼포먼스의 미학적 특징(수행적인 것, 수행성)을 탐구한다. 몸 중심의 연극, 춤연극, 이미지 연극 중심. <br />
<br />
3주차(7월 20일):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제 양상과 수행적 미학 2 <br />
‘수행적인 것의 미학’의 양상들을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공연작품들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통해 확인한다. 매체연극, 서술연극, 뉴다큐멘터리 연극 중심. <br />
<br />
4주차(7월 27일): 후기 구조주의 미학과 ‘수행적인 것의 미학’ <br />
포스트모더니즘과 디지털매체 시대에 발전한 포스트드라마 연극이 종합감각(Aisthesis)의 경험 공간임을 규명하고,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실천적 영향전략인 ‘수행적인 것의 미학’의 성과와 한계를 논한다.<br />
<br />
<img alt="[국립극단]연극인을 위한 월요일 오후 다섯이 인문학 강의" width="650" height="1811" src="/cwboard/fckeditorImage/2015061510044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