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식

Arts Council Korea
아르코의 활동을 공유해드립니다.

공연

  • 문화예술단체(기관) 담당자들께서는 승인절차를 거쳐 자유롭게 공연전시정보를 올리실 수 있습니다.
  • 홈페이지의 정상적인 운영을 저해하는 게시물은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등에 관한법률 제 61조’에 의거 처벌을 의뢰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홈페이지에 기재한 내용 중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개인정보를 삭제 조치 후 게시하여야 합니다.
  • 승인절차
    • 공연 전시 정보 등록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승인
    • 공연 전시 정보 게시
  • 승인문의 : 061-900-2151 (경영지원팀)
국립무용단 [시간의 나이] 이미지
국립극장(극장장 안호상)과 프랑스 샤요국립극장이 공동 제작한 국립무용단의 신작 <시간의 나이(SHIGANÈ NAÏ)>가 2015-2016 한-불 상호교류의 해 ‘프랑스의 해’ 개막작으로 3월 23일(수)부터 27일(일)까지 해오름극장에서 선보인다. <br />
한-불 수교 130주년을 기념해 양국의 기관이 협력한 이번 작품은 한국을 대표하는 국립무용단이 출연하고, 프랑스가 사랑하는 안무가 조세 몽탈보가 참여한다. 전통의 재해석을 토대로 우리 춤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국립무용단은 조세 몽탈보와의 협업을 통해 과거와 현재를 잇는 작업을 선보인다. <시간의 나이>는 올 3월 한국에서 열리는 ‘프랑스의 해’ 개막주간을 장식하며, 오는 6월 16일(목)부터 24일(금)까지 프랑스로 건너가 샤요국립극장 시즌 마지막 무대를 마무리한다. 이번 작업은 한-불 상호교류의 해를 기념해 한국과 프랑스의 문화예술을 양국에 소개하는 것을 넘어서 문화적 협력과 상생을 도모한다는 특별한 의의를 지닌다. <br />
<br />
프랑스적 감각으로 재해석한 한국의 전통 <br />
프랑스 샤요국립극장의 상임안무가 조세 몽탈보는 카롤린 칼송과 함께 프랑스 무용의 전성기를 선도한, 프랑스에서 사랑받는 무용가 중 한 명이다. 플라멩코·힙합 등 다양한 장르의 무용에서 고유한 특징을 잡아내 새로운 작품을 만들어내는 것이 그의 스타일이다. <br />
지난해 한국을 방문해 국립무용단 무용수들이 타악 연주와 동시에 춤추는 모습에서 느낀 한국춤의 ‘흥’을 남녀 무용수 24명과 함께 작품에 적극 활용한다. 그는 역동적이면서도 시간을 늘어뜨린 듯 매우 느린 움직임이 공존하는 한국무용의 춤사위에서 영감을 얻었다. 이번 작품에서는 전통미를 가장 잘 보존해온 국립무용단을 토대로 자신만의 예술적 상상력을 발현하고자 한다. 특히 그는 “한국은 전통의 뿌리를 보존하고 계승하려는 노력과 동시에 변화와 도약에 대한 무한한 열망을 갖고 있다는 것이 인상적”이라며 전통예술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발전의 의지를 높게 샀다. <br />
작품의 제목 ‘시간의 나이’는 과거를 축적해가며 새로운 것을 완성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조세 몽탈보는 “최근의 현대무용은 과거의 것은 모두 배제한 채 오직 현대의 것만을 추구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다양한 시간이 공존하는 작품을 완성하고자 한 데에 방점을 찍었다. 이번 공동 제작은 해외 안무가의 이질적인 춤 언어로 완전히 새로운 작품을 만드는 것이 아닌, 우리의 전통과 현대를 잇는 가교로서 한국무용 고유의 것을 새로운 시각으로 끌어내는 특별한 작업이 될 전망이다. <br />
<br />
음악·영상·테크놀로지가 결합된 무대 <br />
이번 작품의 음악적 테마는 모리스 라벨의 ‘볼레로’다. 주제·리듬을 변형하며 발전하는 ‘볼레로’의 음악구조처럼 느리고 정적인 동작과 역동적으로 확장해가는 움직임을 선보인다. 춤과 타악 연주를 겸하는 무용수들의 강점을 적극 활용하는 가운데 볼레로를 이루는 반복적인 리듬을 한국무용에 등장하는 타악기 연주로 치환해 전혀 다른 느낌의 음악으로 재탄생시킨다. <br />
매 작품마다 영상과 컴퓨터 그래픽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온 조세 몽탈보는 이번 신작에서도 영상과 테크놀로지를 활용해 무용수와 관객의 상호교감을 구현하고자 한다. 영상과 무용의 결합을 자주 시도해온 그는 관객에게 감성적으로 다가가는 아날로그적 영상을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번 작업에는 프랑스와 국내의 영상기술팀이 협력해 촬영한 크로마키 영상이 삽입된다. 더불어 프랑스의 사진작가 얀 아르튀스 베르트랑의 장편 다큐멘터리 ‘휴먼’을 비롯한 그의 작업 중 대중에 공개되지 않은 영상을 일부 활용할 예정이다. ‘하늘에서 본 지구’ 프로젝트로 유명한 얀 아르튀스 베르트랑은 지구와 자연의 변화를 기록해온 항공사진 전문가이자 현재 유엔환경계획(UNEP) 홍보대사로 활동하고 있다. <br />
조세 몽탈보는 신작 작업을 시작하면서 “한국 전통의 신체적, 음악적 기술을 겸비한 국립무용단원들의 놀라운 기량에 경이로움을 느꼈다”고 소감을 밝혔다. 국립극장과 프랑스 샤요국립극장의 공동제작은 단순한 교류의 차원을 넘어서 예술로 하여금 전통과 현대의 만남을 완성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br />
안무 l 조세 몽탈보(José Montalvo) <br />
<br />
스페인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프랑스로 이주한 조세 몽탈보는 미술사와 시각예술을 전공했으며, 미국 안무가 제롬 앤드루스와 표현주의 안무가 잔 바이트를 추종했던 프랑수아 드퓌, 도미니크 드퓌와 함께 무용을 시작했다. 프랑스와즈와 도미니크 드퓌가 설립했던 파리현대무용단(Les Ballets Modernes de Paris, BMP)에서 무용수로 활동하면서 카롤린 칼송, 루신다 차일드, 얼윈 니콜라이, 머스 커닝엄의 워크숍에 참여하며 전문적인 트레이닝을 받았다. <br />
1980년대 후반부터 짧지만 강한 이미지를 주면서도 유희적인 작품을 선보였다. 이 작품들은 1986년 스위스 니옹, 1987년 프랑스 파리, 1988년 이탈리아 칼리아리에서 열리는 무용콩쿠르에서 수상했고, 1988년 도미니크 에르비유와 함께 몽탈보 에르비유 컴퍼니(Montalvo-Hervieu Company)를 설립하며 본격적인 행보를 시작했다. 또한 1993년부터 비디오 아티스트인 미셸 코스트와 함께 활발한 작품 활동을 했는데, 이 시기에 제작된 작품들 역시 호평을 받았다. 주요 작품으로는 <hollaka hollala="">(1994), <la gloire="" de="" jérôme="" a.="">,
<pilhaou thibaou="">, <les surprises="" de="" mnémosyne="">(1996), <la mitrailleuse="" en="" état="" de="" grâce="">,
<paradis>(1997), <le jardin="" io="" ito="">(1999), <babelle heureuse="">(2002) 등이 있다. <br />
다양한 작품에서 함께 작업해 온 연출가 조세 몽탈보와 안무가 도미니크 에르비유 두 사람은 1998년 크레테이와 발드마른의 국립안무가센터의 예술감독으로 임명됐으며, 동시에 2000년 샤요국립극장의 무용감독으로 임명됐다. 2001년 <le jardin="" io="" ito="">로 로런스 올리비에 최고무용수를 수상했고, 2004년 연출 및 안무한 장 필리프 라모의 오페라 <레 팔라댕(Les Paladins)>은 프랑스 현지는 물론 세계 각국의 평론가들로부터 호평을 받으며 2005년 올리비에 어워드 최우수 신작 오페라 부문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2008년 조세 몽탈보와 도미니크 에르비유는 샤요국립극장의 공동극장장으로 선임되어 작품 활동을 해오다가, 2010년 <lalala gershwin="">을 끝으로 개별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이후 조세 몽탈보는 샤요국립극장의 상임 안무가로만 활동하며 작품 활동에 매진하고 있다. 최근작으로는 <트로카데로의 돈키호테(Don Quichotte du Trocadéro)>(2013), 청소년을 위한 <아사 니시 마사(Asa Nisi Masa)>(2014), 2015년 신작 <이 올레(Y Olé)>(2015)가 있다. <br />
<br />
주요음악 | 라벨의 볼레로(Bolero) <br />
드뷔시와 함께 프랑스 인상주의를 대표하는 작곡가 모리스 라벨은 대담한 화성과 기존에 없던 음색을 표현함에 있어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윤곽이 뚜렷한 선율선과 규칙적인 프레이즈, 고전적인 형식의 활용은 동시대의 작곡가들 가운데 그만의 음악세계를 뚜렷하게 보여준다. 라벨은 피아노 독주, 실내악, 관현악 뿐 아니라 몇 편의 발레음악을 발표했다. 발레 모음곡으로는 ‘다프니스와 클로에’ ‘어미거위’ 등이 있으며, ‘볼레로’ 역시 무용을 위한 음악으로 작곡됐다. 이국을 동경하고 어머니의 고향인 스페인의 기질을 물려받은 라벨의 취향은 ‘볼레로’ ‘셰헤라자드’를 비롯한 여러 작품에 반영됐다. 특히 라벨은 스스로 ‘볼레로’를 ‘단 하나의 걸작’이라고 부르기도 했는데, 기대하지 않았던 이 작품의 성공은 그가 지휘자이자 작곡가로서 활동을 이어가는 원동력이 되었다. <br />
라벨의 작품 중 가장 유명한 관현악곡이자 대중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볼레로’는 1928년 러시아 배우이자 무용수 이다 루빈시테인의 요청으로 탄생했다. 팽팽한 긴장을 유지한 채 흘러나오는 작은 북과 비올라, 첼로의 독특한 선율은 점차 하나의 리듬에 두 개의 주제가 반복·변형되며 이어진다. 아주 작은 음량에서 시작해 169회 동안 주제와 리듬을 변화시키며 관현악 총주에 이르러 폭발하는 사운드는 ‘볼레로’의 핵심이자 가장 큰 매력이라 할 수 있다. <br />
국내외 많은 안무가들 역시 ‘볼레로’를 활용한 무용작품을 발표했다. 대표적인 안무가로는 모리스 베자르, 롤랑 프티 등이 있으며, 국내에서는 안성수·정영두 등 여러 안무가들이 ‘볼레로’를 토대로 한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br />
<br />
공동제작 l 샤요국립극장(Théâtre National de Chaillot) <br />
샤요국립극장은 프랑스의 국립극장 다섯 개―코메디 프랑세즈(Comédie Française)·오데옹국립극장(Théâtre National de l’Odeon)·샤요국립극장(Théâtre National de Chaillot)·콜린국립극장(Théâtre National de la Colline)·스트라스부르 국립극장(Théâtre National de Strasbourg)― 중 유일하게 무용에 주력하는 극장이다. 시즌은 매년 10월부터 이듬해 6월까지 운영하며, 총 3개 극장에서 매 시즌 50편의 작품을 350회 내외 공연한다. 1,200석 규모의 장 빌 라 극장은 대작 중심의 공연을 주로 올리며, 게르미에 극장은 중규모 공연을 주로 올리는 극장이다. 마지막으로 모리스 베자르 극장은 스튜디오 극장으로, 솔로 혹은 듀엣과 같은 소규모의 실험적 작품을 주로 올린다. 전체 시즌 가운데 70% 내외 프로그램이 무용으로 꾸려진다. 고유한 안목과 기준으로 동시대 무용을 대표하는 안무가와 무용단을 기획·초청하기 때문에 샤요국립극장의 무용 프로그램은 세계 무용계의 현 주소로 인식되곤 한다. <br />
또한 샤요국립극장은 시즌의 주요 신작을 고유한 미학을 가진 세계 최고의 무용단, 극장, 축제와 공동으로 제작해왔으며, 파트너를 결정하는 기준이 까다롭기로 유명하다. 그간의 공동제작 파트너들로는 마기 마랭 컴퍼니·베를린 슈타츠발레·네덜란드 댄스 시어터(NDT)·프렐조카주 발레단·필리프 드쿠플레 DCA 무용단 등이 있다. 파리가을축제, 몽펠리에 댄스 페스티벌, 리옹 댄스 페스티벌 등도 기획과 예산을 분담하며 샤요국립극장 공동제작에 참여한 바 있다. <br />
샤요국립극장은 2000년 아르헨티나 출신의 공연기획자 아리엘 골든베르그(Ariel Goldenberg)가 극장장으로 취임하고, 조세 몽탈보가 무용감독으로 일하면서부터 세계적인 무용 전문극장으로 발돋움했다. 2008년부터 조세 몽탈보와 도미니크 에르비유가 함께 예술감독직을 수행했으며, 2011년 조세 몽탈보가 안무에 전념하고 싶다는 뜻을 밝히면서 극장의 상임안무가가 되었다. 현재 디디에 데샹이 예술감독직을 이어받았다. <br />
홈페이지 http://theatre-chaillot.fr <br />
<br />
</lalala></le></babelle></le></paradis>
</la></les></pilhaou>
</la></hollak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