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소개> <br />
<br />
Since 1962, <br />
<br />
남산 그리고 한국 최초의 현대식 극장 ‘드라마센터’의 기록 <br />
<br />
지금 · 여기·극장에서 새롭게 이야기 하다. <br />
<br />
<br />
<br />
극장은 말이 없다. 그러나 늘 그 몸뚱어리 안에 이야기를 품고 있다. 남산의 극장, 드라마센터는 남산의 드라마들을 생성하고 목격하고 또 그 몸 밖으로 퍼뜨려 왔다. 1962년 그 해 봄부터 늘 거기 있어 왔다. 때론 햄릿의 대사들이 극장을 공명하였고 때론 미8군의 째즈와 외화의 팝송이 울려 퍼지기도 하였으며 젊은 남녀의 삶의 통과의례인 결혼식 무대로 이 극장은 몸을 내어주기도 하였다. 어느 시기엔 가는 두 눈이 가려진 채 중앙정보부 지하의 고문실로 끌려가는 한 청년의 처절한 살기를 극장은 온 몸으로 느꼈을 것이며 멀리서 들려오는 비명으로 극장의 벽이 미세하게 진동하기로 했을 것이다. 그렇게 드라마센터는 남산의 드라마를 몸으로 겪어내고 목도해 왔다. 극장에는 그렇게 몸들의 향연과 의식의 자국들이 안과 밖으로 배어 있다. <br />
<br />
지금 2014년에도 드라마센터는 남산 중턱에 그렇게 서있고 여전히 말이 없다. 다만 한결같이 그 울림통을 내어 줄 뿐이다. 극장이 제 몸통의 공명을 만들어내는 순간 그 파동은 그 안의 관객 한 명, 한 명의 몸으로 전달되고 관객들의 몸 하나하나가 또 다른 극장이 되어 무수히 많은 작은 극장들이 어미 극장의 몸통에서 빠져나가게 된다. 지금 이 극장은 과거의 불순물들과 현재의 몸통들이 다시금 뒤섞여 어떤 울림을 일으켜주길 바라고 있는 것은 아닐까? 극장은 지금 여기, 아직도 미완성인체 처연히 서있다. <br />
<br />
이 연극은 극장의 몸 소리에 귀를 기울여보며 오늘 여기의 소리를 감지해보려는 시도이다. 하여, 극장의 지난 터무니를 밝히어 ‘오늘 여기에 어떤 무늬를 덧댈 수 있을 까?’를 구상해 보는 미래의 아카이빙이다. <br />
<br />
<남산 도큐멘타 : 연극의 연습 – 극장 편>은 기존의 서사적 구조, 텍스트 재현적인 연극 양식을 벗어나 아카이빙과 인터뷰, 다큐멘터리와 토론 양식이 결합된 새로운 스타일의 연극 형식으로 극장의 빈 무대를 활용하여 무대와 객석의 경계를 허물고 극장의 안과 밖을 여는 남산예술센터에서만 볼 수 있는 연극을 선보입니다. <br />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