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사회연구소에서 문화관련 세미나를 마련하였습니다.
-
조회수
2,795
-
작성자
이*희
-
등록일
2006.03.29
사단법인 문화사회 연구소의
디지털과 정보문화 세미나
1. 세미나 취지
정보화 사회와 디지털 문화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있어 왔다. 현실 변화에 대한 사후적 해석 작업이 이론의 존재론적 한계겠지만, 정보화 사회와 디지털 문화에 대한 이론의 사후 해석은 그 어느 분야보다 시차의 간격이 크다. 그만큼 정보화의 속도와 그로부터 야기된 디지털 문화 환경은 날마다 업그레이드되는 반면, 이에 대한 이론의 추상화ㆍ일반화 작업 및 최신 버전으로의 갱신은 매우 뒤쳐져 있다. 따라서 정보화 사회와 디지털 문화에 대한 기존 논의의 정리와 함께 새로운 현실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의 가공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세미나는 기존의 정보사회론과 디지털 문화에 대한 논의 중 대표적인 것을 정리함과 동시에, 현재 쟁점이 되고 있는 사안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본 세미나는 정보화 사회와 디지털 문화를 바라보는 이론과 그 실태를 정리한 논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디지털 문화 환경이 형성한 문화다중(대중), 네트워크, 담론 등을 구체적인 사례로서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세미나는 정보화 사회와 디지털 문화 속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다양한 행위양식을 살펴볼 수 있는 새로운 인류학을 구상하고자 한다.
2. 참가 자격
○ 세미나의 주제에 관심 있는 사람은 누구나 들어 올 수 있습니다. 학부생과 대학원생 혹은 직장인과 하우스 프리랜서 등 직업이나 학력은 제한하지 않습니다.
○ 세미나에 항상 열심히 참여할 수 있는 열정과 관심이 있는 사람이어야 합니다. 자신의 편의대로 출석하지 않는 등 불성실한 사람들은 참여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 다른 세미나와 마찬가지로 신규회원들은 참가비 월 1만원이 필요합니다.
○ ‘문화연대’ 회원으로 동시 가입되며 연구소뿐만 아니라 문화연대 회원으로서 권리도 누릴 수 있습니다.
○ 이름/연락처(휴대폰 및 이메일)/소속/연구분야 등을 함께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3. 세미나 성과발표
본 세미나는 미리 정해진 텍스트에 대한 이해 및 정리를 기본으로 하지만, 세미나 성원들은 자신의 관심거리나 연구주제와 결부시켜 보다 심층적인 논문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세마나 성원들은 세미나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자신이 정리하고 발표하고 싶은 주제에 대한 발표회(프로포절)를 가짐과 동시에 연구소 내에서 발표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연구소 내 세미나팀간 발표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며, 보다 완성도 높은 논문은 연구소 무크지 <문화사회>에 게재할 수 있도록 한다.
4. 신 청
○ 참여 희망자는 cultures21@naver.com 으로 연락바랍니다.
○ 기타 문의는 02-745-1603/016-695-6059(김성일)
○ 연구소 홈페이지는 www.kccs.or.kr 입니다.
5. 세미나 커리큘럼
1 TERM
마뉴엘 카스텔, 박행웅 역(2004), 1장ㆍ2장ㆍ4장ㆍ5장,『인터넷 갤럭시』, 한울.
2 TERM
마뉴엘 카스텔, 박행웅 역(2004), 6장ㆍ8장ㆍ9장,『인터넷 갤럭시』, 한울.
3 TERM
마크 포스터, 김승현 외 역(2005), 1장ㆍ2장ㆍ3장ㆍ4장,『미네르바의 올빼미가 날기 전에 인터넷을 생각한다』, 이제이북스.
4 TERM
마크 포스터, 김승현 외 역(2005), 5장ㆍ6장ㆍ7장ㆍ8장ㆍ9장,『미네르바의 올빼미가 날기 전에 인터넷을 생각한다』, 이제이북스.
5 TERM
마뉴엘 카스텔, 김묵한 역(2003), 머리말ㆍ4장,『네트워크 사회의 도래』, 한울.
6 TERM
마뉴엘 카스텔, 김묵한 역(2003), 5장ㆍ6장ㆍ7장,『네트워크 사회의 도래』, 한울.
7 TERM
시어도어 로작, 정주현 외 역(2005), 개정판에 덧붙여ㆍ1장ㆍ2장ㆍ3장ㆍ4장,『정보의 숭배』, 현대미학사.
8 TERM
시어도어 로작, 정주현 외 역(2005), 5장ㆍ6장ㆍ7장ㆍ8장ㆍ9장ㆍ10장ㆍ11장,『정보의 숭배』, 현대미학사.
9 TERM
스티븐 존스, 이재현 역(2003), 1장ㆍ3장ㆍ4장,『인터넷 연구방법』, 커뮤니케이션북스.
10 TERM
스티븐 존스, 이재현 역(2003), 5장ㆍ7장ㆍ11장ㆍ12장,『인터넷 연구방법』, 커뮤니케이션북스.
11 TERM
하워드 라인골드, 이운경 역(2003), 6장ㆍ7장ㆍ8장,『참여군중』, 황금가지.
12 TERM
피에르 레비, 권수경 역(2002), I부,『집단지성』, 문학과지성사.
13 TERM
서이종(2002), 2장ㆍ3장ㆍ4장ㆍ5장ㆍ6장,『인터넷 커뮤니티와 한국사회』, 한울.
14 TERM
구본권(2005), 1장ㆍ3장ㆍ4장ㆍ5장ㆍ7장ㆍ8장,『인터넷에서는 무엇이 뉴스가 되나』, 커뮤니케이션북스.
15 TERM
백선기(2003), 2장ㆍ3장ㆍ5장ㆍ6장, 『정치담론과 인터넷』, 커뮤니케이션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