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식

Arts Council Korea
아르코의 활동을 공유해드립니다.

자유게시판

  • 이 곳에 게재된 각종 의견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별도의 답변을 하지 않습니다.
  • 고객님의 개인정보 노출을 막기 위하여 개인정보는 기록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십시오.
  • 우리 위원회의 운영이나 문예진흥기금 사업추진과 관련된 정책 사항이나 건의, 질의 사항에 대해 답변을 원하시면 정책제안 질의, 민원사무처리를 원하시면 사이버민원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적광고, 저속한 표현, 사람, 단체를 비방할 목적으로 공연히 사실/허위사실을 적시하여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경우 등 홈페이지의 정상적인 운영을 저해하는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통지없이 삭제 (근거:예술위 정보화 업무규정 34조 2항)와 함께,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등에 관한법률 제 61조’에 의거 처벌을 의뢰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타인의 정보 및 주민등록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 집니다.

내건너 창작마을 입주작가전

  • 조회수 2,409
  • 작성자 김*집
  • 등록일 2009.12.26
내건너 창작마을 입주작가전
일시 ; 2009, 12, 28, 월 - 2010, 1, 3, 일
장소 ; 화성시 유앤아이센타 1층로비
작가와의 만남 및 오픈일시 ; 2009, 12, 28, 오후 2시
후원 ; 화성 문화 재단

기획의 글 - 이 윤숙(대안공간 눈 / 내건너 창작마을 대표)

내건너 창작마을은 대안공간 눈에서 진행하는 레지던스 프로그램으로 2007년 문을 열어 회화, 설치, 영상, 조각분야의 11명의 작가(경수미, 김수철, 배수관, 유지숙, 이우숙, 이칠재, 이윤숙, 김지훈, 유형석, 최규조, 황은화)와 소설 송혜숙, 평론가 김종길 등이 입주하여 창작활동을 시작한 곳이다. 2008년 몇 명의 작가가 퇴거하고 새로운 작가들이 입주하여 창작에 몰두하고 있다.

문화기반이 열악한 공장단지 내에 자리하고 있는 내건너 창작마을은 경기문화재단의 지원을 받아 2008년 외국인근로자 쉼터-‘컨테이너 북카페‘에 이어 2009년 ‘공장단지내 특별한 선물꾸러미‘를 오픈하여 지역주민과 외국인 근로자들을 위한 프로그램 (한국어 교육, 한국노래 배우기, 음식 나눔, 풍물체험, 재활용품 오픈마켓, 농구, 탁구 등)을 통해 이웃과 소통의 공간을 만들어 나가고 있다.

최근 문화예술기획자 한문희 와 문화예술교육자 임재춘 이 합류하면서 2010년은 좀 더 친근하고 다양하게 이웃과 소통하는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있으며 2010년 2월 공공예술 프로젝트-‘외국인근로자와 함께 만드는 컨테이너 갤러리‘를 화성문화재단의 후원으로 오픈 할 예정이다.


김 병진작 / Blossom9626 / 160*60cm / steel / 2009
김 원작 / The space-Creation / 70*70*65cm / stainless steel / 2009
김 지훈작 / HORN -11 / stainless steel / 2008
배 수관작 / 묵언수행 / 30*80*35mm / painting on formax / 2009
양성근 / narrative(이야기) / 60x20x80cm / 2009
양 승원작 / polyester heart / 53 * 45.3cm / oil on canvas / 2009
유 형석작 / 케이론 헤라클레스를 사냥하다 / 100*30*80cm / FRP, 흑연,철/2009
이 윤숙작 / 명상2009 / 113*93*220cm / FRP / 2009
이윤우작 / The story of newness / 53X33.2cm / oil on canvas / 2009
이 칠재작 / 이군의 잣대-그릇의 용량에 관해 / 가변설치 / 물통과 물 / 2009
장 세일작 / 괴(怪)-기만행위 / stainless steel / 2009


"내 건너 창작촌”의 내를 건너 예술의 가나안에 이르기까지 - 김 종길(미술평론가)

1999년, 당시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은 1년 뒤의 2000년을 ‘새로운 미술의 해’로 선포한 뒤 다양한 프로젝트를 기획, 실천한 바 있다. 21세기는 문화의 세기를 넘어 예술의 세기가 될 것임을 예견하듯 그들은 한껏 들떠 있었다. 그리고 10년이 지났다.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가 역사에 새겨졌고 새 정부가 들어섰다. 잃어버린 10년이라지만, 그 10년 동안 ‘새예술정책’이 수립되었고 공공미술사업이 전개되었으며, 전국오픈스튜디오네트워크가 추진되었다. 1980년대 소집단에서 1990년대 개인, 그리고 2000년대는 개인과 사회, 개인과 공공성의 담론이 넓게 확장되었다. 서울 중심의 예술 활동 기반이 지역 중심으로 바뀌기 시작했고, 어느 때보다 창작공간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펼쳐졌다. 1999년부터 개관하기 시작한 대안공간은 이제 전국화되어 서울뿐만 아니라 부천, 인천, 안양, 수원, 안산, 대전, 광주, 부산, 대구, 제주까지 번졌고, 폐교 활용 창작촌에서 모텔, 창고, 웨딩홀, 폐가는 물론 쓰레기 하수처리장까지 스튜디오로 바꾸고 있다. 과연 예술의 세기답다. 그러나 과연 예술가는 행복한가. 예술가의 살림살이가 좀 나아졌는가?

예술에 대한 지원과 육성 정책이 더 커졌음에도 여전히 어려운 것은 예술가이다. 10년 동안 행복했던 것은 예술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 시장제도의 안착, 기획 프로젝트에 대한 적극적 지원, 예술을 통한 공동체성의 복원 등이 있으나 그 음지에는 예술가 개인의 창작환경 열악, 독자적 미학 구축의 어려움, 공공성에 매몰된 사적 공간 등이 있다. 이윤숙 작가가 화성 지역에 ‘내건너 창작촌’을 기획하기에 이른 것은 그런 음지 구조를 해소하려는 적극적 취지에서 비롯된 것이다. 사회적 인식이 변화되어도, 시장제도가 안착되어도 그 내부로 들어가지 못한 예술가가 더 많았던 것도 한 몫 했을 터이다. 지역의 미술인은 ‘중앙-지방’논리가 희석된 현재에도 여전히 변방을 떠돌기 때문이다.

작업실에 쌓인 작품은 예술이 아니라 짐이 되기 일쑤였고, 창작에 대한 열망은 한 평 작업실조차 없는 현실 속에서 굴욕으로 변질되었다. 우리는 예술가이기에 모든 것을 버릴 수 있었던 예술의 시대를 기억한다. 100년 전, 아직 근대가 완전히 기획되기 전의 시대는 그런 희망이 하나의 등불이었고 표상이었다. 그러나 자본주의가 심화되고 신자유주의가 파고 든 21세기 한국사회의 현실은 가난한 예술을 더 이상 높은 열정의 미학으로 치켜세우지 않는다. 내 건너 창작촌의 작가들은 가난한다. 그러나 이들은 가난의 미학을 창작의 현실로 바꾸어 열정을 불사른다. 자본주의와 신자유주의 따위가 이들의 정신을 갉아 먹지 못하는 것은 ‘모순의 현실’을 인정하면서 동시에 그 세계를 초월하려는 예술정신을 가졌기 때문이다. 근대가 현대에 묻히고 21세기 새로운 예술의 시대가 활짝 열렸음에도 희망의 등불과 표상을 끄지 않고 단단히 깃대를 세우고 있는 것은 그것 때문이다. 나는 이 작은 창작촌에서 이들이 꿈꾸는 희망을 똑같이 나눠 갖는다.

내 건너 창작촌은 과거, 마을의 외곽에 붉은 둥지를 피우고 있었던 대장간을 연상시킨다. 앤디워홀이 작업실을 예술공장(아트팩토리)라고 했다지만, 나는 농민들의 손이 되고 발이 되었던 농기구를 상상한다. 땅을 일구어 생명을 싹틔우는 그 연장들. 예술이란 농사와 같아서 씨를 뿌리지 않으면 결코 싹을 틔우지 않는다. 싹이 없을진대 어찌 열매를 맺는단 말인가. 여기 모인 작가들은 모두 예술 노동자라 할 수 있다. 그들은 자신만의 고유한 예술 꽃을 피위기 위해 밤마다 불을 밝히고 정신을 갈무리 한다. 각자 다른 분야와 장르를 넘나들기에 한날한시에 모여 작업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 생명의 텃밭에서, 동굴에서, 자궁에서 새생명을 잉태하기 위해 온 힘을 쏟아 붓고 있는 것이다.

내 건너 창작촌은 작은 공동체이다. 이윤숙은 내 건너 창작촌이 단순한 작업실 이상의 것이 되기를 꿈꾼다. ‘너’와 ‘나’가 개별화 되어 따로가 된다면 이곳에 있을 이유가 없다. 이주노동자들이 많은 공장지대에 그것도 예술가들의 작업실을 연 것은, 예술이 이 지역의 공동체에 작은 촉매가 되기를 소망했기 때문이다. 또한 일군의 작가들이 이곳에 모여 창작의 긴장을 상실하지 않으면서 ‘서로주체성’의 동료애를 형성하길 바랬기 때문이다. 예술은 경계를 나누지 않고 꽃을 피운다. 내 건의 창작촌은 수 년 동안 작은 꽃씨를 뿌리고 꽃을 피웠다. 그 결실이 맺기까지 더 시간이 걸릴 것이다. 올 한 해를 갈무리하면서 여는 이 작은 전시는 그 꽃들의 ‘희망열매’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홈페이지 ; www.galleryartnet.com
이메일 ; spacenoon@hanmail.net
대안공간 눈 ; 442-180 수원시 팔달구 북수동 232- 3 3/2
내건너 창작마을 ; 445-892 화성시 봉담읍 당하리 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