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식

Arts Council Korea
아르코의 활동을 공유해드립니다.

공지사항

아르코미술관-윤석남 1,025:사람과 사람없이

  • 조회수 10339
  • 등록일 2008.09.19
첨부파일

윤석남 1,025: 사람과 사람없이 / YUN Suknam 1,025: With or Without Person
 

 

윤석남 1,025: 사람과 사람없이 / YUN Suknam 1,025: With or Without Person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미술관에서 2008년 9월 27일부터 11월 9일까지 <윤석남 1,025: 사람과 사람없이>展을 개최합니다.

이번 전시에 소개되는 윤석남의 신작 <1,025>는 유기견을 소재로 한 작업으로 나무로 제작한 1,025개의 조각으로 구성됩니다.

본 전시는 아르코미술관에서 진행해 온 중진작가전과 대표작가전을 통합한 개인전으로, 한국현대미술계를 대표하는 주요 작가의 작품세계를 총체적으로 재조명하고 한국현대미술사를 연구하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기획되었습니다.

전시 기간 중에는 아카이브, 스크리닝, 강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전시와 관련하여 윤석남의 작품세계를 정리한 단행본 및 아티스트 북이 출간될 예정입니다.

 

| 전시 개요

 · 전시개막 2008년 9월 26일 (금), 오후 6시

 · 전시기간 2008. 9. 27(토) - 2008. 11. 9(일)

 · 전시장소 아르코미술관 제1,2전시실

 · 전시디자인 최정화(작가)

 · 전시관람 11 am - 8 pm (매주 월요일 휴관)

 · 전시설명 주중 (오후 2시, 4시) l 주말 (오후 2시, 4시, 6시)

 · 입장료 어른 2,000원 어린이 1,000원

 

| 작품 내용

한국 여성미술계를 대표하는 작가로 평가받는 윤석남은 여성의 삶을 집중적으로 조망해 온 작업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페미니즘의 초기 전시로 거론되는 <반에서 하나로>(1986)전에서 윤석남은 썩은 보석 사이에 벌거벗고 앉아 있는 여자, 손이 여섯 개라도 모자라는 어머니, 일하는 건강한 여자들을 그려냈습니다. 이후 그는 9백99개의 여성상으로 모성의 강인함을 표출한 <999>, 오늘을 살아가는 중산층 여성들의 불안한 내면세계를 보여주는 <핑크 룸> 등의 작업을 통해 억눌려 지내온 모든 여성들을 복권시키고 스스로의 주체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여성의 모습을 표현해 왔습니다.

윤석남이 유기견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유기견을 돌보는 ‘이애신’할머니의 기사를 신문에서 읽고 난 부터입니다. 1,025마리의 버려진 개들이 살고 있는 ‘애신의 집’을 방문한 그는 주인을 잃거나 아픈 개들 이외에도 건강하고 예쁜 개들조차 버림받는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았습니다. 동물을 인간과 동등한 생명체가 아닌, 단순히 인간의 즐거움을 위한 대상으로 여기는 사람들에게 개는 말 그대로 애완견, 즉 질리면 버려도 되는 장난감이었습니다. 여성의 이야기를 작품으로 풀어내던 윤석남이 버려진 개를 소수자와 약자의 입장에 처한 여성의 또 다른 이름으로 인식한 것은 당연한 일이었습니다.

이후 윤석남은 나무를 자르고 개 모양으로 드로잉을 하고, 깨끗이 표면을 갈고 밑칠을 하고, 표면을 갈고 다시 그림을 그리며 1,025점의 나무 조각을 완성했습니다. 열두 번의 공정을 거쳐야만 하는 작업 과정동안 작가는 버려진, 비참하게 죽어간 생명들을 애도했습니다. 인간 역시 자연의 일부임을 떠올리며 자연과의 상생과 조화가 가능한 삶을 기원했습니다. 윤석남의 <1,025>는 자연을 정복과 억압의 대상이 아닌,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가 삶을 유지할 수 있는 근간으로 바라보는 생태여성주의(eco feminism)의 경향과 맞닿아 있습니다. 물론 윤석남이 의도적으로 생태여성주의자가 되기로 결심한 것은 아닙니다. 여성으로서 소수자의 삶을 살아 온 경험 덕택에, 인간중심적 사고에 사로잡힌 채 인간만을 우선시하는 사고를 지양하고, 자연과 더불어 평화롭게 사는데 가치를 두는 생태여성주의의 지향점을 자연스럽게 공유하게 된 것입니다.

 

| 전시구성

작가 최정화가 전시 디자이너로 참여하여 1,025점의 작품들을 전시장 안에 스펙터클하게 배치하고 관객들에게 생명에 대한 존중과 경이로움을 재고할 수 있는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무채색의 작품들이 어두운 조명 아래 설치된 제 1전시실은 명상의 공간으로 조성되며, 제 2전시실에는 강렬한 색상으로 채색된 작품들을 무대 위에 배치하여 연극적인 긴장감을 고취시킵니다. 한편 제 2전시실에는 작가에 대한 자료뿐만 아니라 한국 페미니즘 미술과 생태여성주의에 대한 주요 문헌을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는 아카이브 ‘윤석남의 방’을 설치하여 윤석남의 작업을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합니다.

 

| 작가소개

1939년 만주에서 출생했습니다. <반에서 하나로>, <여성과 현실>과 같은 초기 여성주의 작가들의 그룹전에 참여했으며, 이후 다수의 국내외 그룹전과 일민미술관, 학고재, 조선일보갤러리, 카마쿠라 갤러리(일본) 등의 개인전을 통하여 여성의 주체적인 목소리를 담아내는 작품들을 발표해 왔습니다. 국립현대미술관, 퀸즈랜드 아트 갤러리, 후쿠오카 미술관, 미에 현립미술관 등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으며 제 8회 이중섭 미술상(1996)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 전시관련 프로그램

 

1. 오프닝 퍼포먼스 김금화 “진혼굿” / 2008. 9. 26(금) 오후 6시 20분 아르코미술관

 

2. 강연

새로운 시각: 지노 가오리 교수 추모 강연

The Sixth Chino Kaori Memorial 'New Vision' Lecture

2008. 10. 18(토) 오후 2시 아르코미술관 세미나실 ‘아르코룸’

(공동주최: The Ressearch Institute for Gender and Culture, Tokyo)

 

3. 스크리닝 & 감독과의 대화

-

황윤 “어느날 그 길에서”(2006)

2008. 10. 11(토) 오후 5시 아르코미술관 세미나실 ‘아르코룸’

-

이형석 “호흡법, 제2장”(2002),“155마일”(2007)

2008. 10. 24(금) 오후 5시 아르코미술관 세미나실 ‘아르코룸’

* 상영일자 및 장소는 추후 변경될 수 있습니다.

 

4. 전시설명(도슨트) 프로그램

전시와 관련된 전문 설명 교육을 받은 도슨트의 상세한 전시설명과 함께 전시장을 돌아보실 수 있습니다.

- 주중: 오후 2시, 4시 (2회)

- 주말: 오후 2시, 4시, 6시 (3회)

 

5. 교육프로그램

-

현대미술 어린이 워크샵 <윤석남 1,025: 사람과 사람없이>

9, 10월 워크샵에서는 전문 에듀케이터와 함께 현대미술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소통 언어에 대해 알아보고 특히 ‘문자’에 주목하여 그 역할과 의미, 활용에 대해 표현하는 시간을 갖는 프로그램

(대상: 6세 - 초등학생 l 일정: 2째주 토, 일요일 / 4째주 토요일)

-

소장품과 함께하는 예술 속 시리즈 <임동식 작가 편>

소장품과 함께하는 예술 속 시리즈는 아르코미술관 소장품 서세옥, 양주혜, 임동식, 배종헌 작가의 작품을 시리즈로 구성하여 지속적으로 작품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두 번째 ‘양주혜 작가’에 이어 세 번째 ‘임동식 작가’편에서는 작가의 작품을 통해 호기심을 자극하는 다각적인 접근법을 활용하여 여러 미술작품과 비교, 감상하는 프로그램

(대상: 유치원 및 초등학생)

교육프로그램 문의: 아르코미술관 교육담당 허진 (02-760-4602 envy316@arko.or.kr)

 

자료담당자 : 아르코미술관 권진 02-760-4724
게시기간 : 08.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