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램

행사

  • 드리프팅 스테이션 LAB Day 2
    대기 드리프팅 스테이션 LAB Day 2
    행사기간
    2025.08.01~2025.08.03
    참가비
    무료
    대상
    누구나 참여 가능
    장소
    아르코미술관 3층 세미나실, 아르코미술관 공간열림, 아르코미술관 전시장
    모집인원
    프로그램 별 세부 내용 참고
    진행자
    조주현, 안가영, 조아라, 위서린, 홍 페이 우, 천경우, 안정주, 성한아, 권경숙, 심보선, 안데스, 김정모, 장선희, 전치형, 이수정
    문의
    02-760-4627
    담당부서
    미술관운영팀
    담당자
    박시내
    첨부파일

드리프팅 스테이션 LAB Day 2

DAY2 신청 바로가기

(자세한 내용 아래 참조) (자세한 내용 아래 참조) (자세한 내용 아래 참조) (자세한 내용 아래 참조) (자세한 내용 아래 참조) (자세한 내용 아래 참조) (자세한 내용 아래 참조)

드리프팅 스테이션 LAB Day 2

  • 일정 : 2025년 8월 1일(금)– 8월 3일(일) /3일간
  • 장소 : 아르코미술관 세미나실, 전시실, 열림공간
    프레젠테이션, 강연, 워크숍, 다큐멘터리 상영 및 토크 등 

‘드리프팅 커리큘럼’의 국내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드리프팅 스테이션 LAB〉에서는 기후행동에 관심이 있는 작가, 큐레이터, 관객, 신진 예술인을 비롯한 다양한 참여자들에게 문화 및 환경 커뮤니티의 자원과 지식을 공유합니다.

2025년 여름 아르코미술관에서 진행되는 ‘드리프팅 스테이션 LAB’은 대만의 다학제적 예술 플랫폼 Citing Bar와 함께 담론프로그램 및 워킹그룹 활동 워크숍을 개최합니다. 예술가와 매개자들이 진행하는 워크숍, 스크리닝, 프레젠테이션, 명상 퍼포먼스 등을 통해 주변 환경과 다른 종들을 연결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됩니다.

드리프팅 스테이션 LAB Day 2

  • 내용 프레젠테이션, 강연, 토크, 게임 제작, 시 창작 워크숍 등
  • 일정 2025. 8. 2(토) 11:00-18:00
  • 장소 아르코미술관 3층 세미나실
  • 1 11:00-12:00 홍 페이 우(Hung-Fei Wu) 프레젠테이션 〈무누스: 동시대 힐링을 위한 면역과 공동체〉
  • 2 13:00-14:20 조주현, 천경우, 안정주 프레젠테이션 & 토크 〈드리프팅 스테이션 마라톤 1〉
  • 3 14:30-15:20 성한아 강연 〈새의 시간을 감지하는 사람-센서들〉 
  • 4 15:30-16:20 권경숙 토크 〈시민과학: 동지애, 미래를 향한 준비〉
  • 5 16:30-18:00 심보선 시 창작 워크숍 〈단어를 찾아서〉

[DAY 2] 2025년 8월 2일 토요일 11:00-12:00 프레젠테이션 <무누스(munus): 동시대 힐링을 위한 면역과 공동체〉

라틴어에서 “무누스(munus)”는 면역(immunity)과 공동체(community)의 공통된 어근으로, ‘선물’과 ‘책임’이라는 두 가지 의미를 지닙니다. 이 용어의 이중성은 현대 지식 생산과 공동체 형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복잡한 상호작용을 완벽히 반영합니다. 〈무누스〉 프로젝트는 연대와 치유의 미개척 영역을 탐구하며, 우리 공동체 문화 내부에 존재하는 중독적이고 자극적인 상태를 탐구하고 논의할 수 있는 공간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발표자: 홍 페이 우 (Hung-Fei Wu)
  • 참여인원: 20명 이내
  • 장소: 아르코미술관 3층 세미나실

[DAY 2] 2025년 8월 2일 토요일 13:00-14:20 〈드리프팅 스테이션 마라톤 1 : 천경우, 안정주〉

〈드리프팅 스테이션 마라톤〉은 이번 전시 참여작가와 큐레이터의 짧은 프레젠테이션, 매니페스테이션으로 구성됩니다. 전시는 근대성이 제한해온 삶의 경험 방식을 넘어서, 지구상의 타 생명체들과 연결되었던 고대의 잃어버린 삶의 방식을 되찾기 위한 주문이자 위로의 노래로, 참여 작가들은 감응, 경청, 상실, 그리고 관계의 정치학을 바탕으로 새로운 행성적 서사를 모색합니다.

  • 참여자: 천경우, 안정주, 조주현(기획자),
  • 참여인원:  20명 이내
  • 장소: 아르코미술관 3층 세미나실

[DAY 2] 2025년 8월 2일 토요일  14:30-15:20 강연 〈새의 시간을 감지하는 사람-센서들〉

과학기술사회학자 성한아 박사가 들려주는 본 강연은 과학 실천을 경유하여 맺어지는 인간과 새의 관계를 다룹니다. 이 관계는 생태학적 기초 조사 중 하나인 조류 모니터링에 대한 장기간의 과학 인류학적 연구로 포착한 매우 특별한 종류의 관계입니다. 본 강연은 조류 모니터링의 새와 인간의 만남을 위한 조사할 줄 아는 인간의 특별한 노력을 중심으로 현대 사회에서 인간이 인간 너머의 존재와 관계맺는 하나의 실질적인 방법을 제안합니다.

  • 강연자: 성한아 (KAIST 인류세 연구센터 연구교수)
  • 참여인원: 20명 이내
  • 장소: 아르코미술관 3층 세미나실

[DAY 2] 2025년 8월 2일 토요일 15:30-16:20 TALK 서산태안환경교육센터 〈시민과학: 동지애, 미래를 향한 준비〉

서산태안환경교육센터 권경숙 센터장은 가로림만 생물다양성 탐사 사례를 중심으로, 점박이물범과 상괭이 등 해양포유동물과 흰발농게, 달랑게, 발콩게 같은 저서생물의 생태적 특징과 가치를 공유합니다. 시민이 직접 참여해 생태계를 관찰하고 기록하는 시민과학 활동의 의미를 나누며, 자연과 사람, 예술 공간이 함께 엮이는 연대와 실천의 장을 마련합니다.

  • 참여자: 권경숙 (서산태안환경교육센터장), 성한아 (KAIST 인류세 연구센터 연구교수)
  • 참여인원: 20명 이내
  • 장소: 아르코미술관 3층 세미나실

[DAY 2] 2025년 8월 2일 토요일 16:30-18:00 시 창작 워크숍 〈단어를 찾아서〉

시인이자 사회학자인 심보선은 ‘시는 천상의 고귀한 언어가 아니라 삶의 편린들, 조각들, 흔적들을 발견하고 발명하는 일’이라고 말합니다. 참자가들은 둘, 셋이 짝을 이뤄 함께 시집에서 마음에 드는 단어들을 찾아서 적기 시작합니다. 이 단어들은 참가자들이 새로운 시를 쓰는데 사용할 재료가 될 예정입니다. 참가자 모두 자신만의 시를 낭독의 시간을 갖습니다.

  • 진행자: 심보선(시인, 사회학자/ 연세대 커뮤니케이션대학원 문화매개 전공 교수)
  • 참여인원: 20명 이내
  • 참여 준비물: 평소 즐겨 읽는 책, 종이(종잇조각), 필기도구
  • 장소: 아르코미술관 3층 세미나실

자료담당자[기준일(2025.7.23.)] : 미술관운영팀 박시내
게시기간 : 25.7.23.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