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램

전시

  • 상영중
    상영중
    전시기간
    2017.05.26~2017.07.15
    관람료
    무료
    오프닝
    장소
    인사미술공간
    작가
    김다연, 김민정, 문유진, 변재규, 아영, 임고은, 전하영, 조승호, 주연우
    부대행사
    주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주최
    인사미술공간
    문의
    02-760-4722

상영중
2017.05.26 - 2017.07.15
김다연, 김민정, 문유진, 변재규, 아영, 임고은, 전하영, 조승호, 주연우
기획 : 송지현

상영중


아날로그와 디지털/오프라인과 온라인의 혼종은 영상예술(artists' moving-image)의 예술적 실천 양식을 확장, 재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영상예술은 시간성과 운동성의 관계를 시지각적으로 구성하여 존재감을 드러내는 모든 작품을 말한다.
셀룰로이드 필름이 디지털 파일로, 필름 영사기가 빔프로젝터로 변화하는 동안 영상예술의 작업 방식은 다양한 양상으로 탐구되어 왔다. 이와 같은 예술가들의 실천은 전시장에서 영사(projection) 또는 설치(installation)의 형태로 펼쳐진다. 영상예술작품은 회화와 조각과는 다른 방식으로 보이길 기대하며 상영관(닫힌 공간) 안에 앉아있던 관객을 움직이게 한다.
 
“상영중”은 영상예술이 기술과 관계하며 변화하는 흐름을 살펴본다. 이는 영상예술의 모든 예술적 실천들이 기술의 변화와 밀접하게 맞닿아 있음을 인지하고, 관련된 연구가 지속되길 바라며 마련한 자리이다.
 
전시는 영상예술의 매체적 특성과 기술의 관계를 탐구하는 작품들로 한 장면(scene)을 구성한다. 그리고 세 갈래의 영상예술을 둘러싼 예술적 실천들이 장면 사이 사이에 삽입된다.





#scene 1. 매개 효과
매체 특수성과 확장된 시각성을 탐구하며, 영상예술과 기술 사이의 관계를 들여다보는 작가 9명의 작품이 전시장에 놓인다. 각각은 필름, 비디오, 디지털 혹은 영사기, 모니터, 빔과 같은 장치들을 통해 기술의 변화를 암시한다. 더 세심하게 들여다보면 작가들은 영상예술을 구성, 재현해내기 위해 자신이 사용한 매체, 기술의 원리를 제작방식에서 사유하고 있다. 이는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감각과 시각성에 관한 질문이다.
 
1층에는 영상예술을 구성하는 물질과 비물질 장치를 혼합하여 전시장에 드러내는 변재규의 <영화의 빛나는 밤>, VHS 비디오에 나타나는 컬러바를 해안선의 형태로 은유하는 조승호의 가 움직인다.



변재규_영화의 빛나는 밤, 2014, 설치, 혼합매체
<변재규_영화의 빛나는 밤, 2014, 설치, 혼합매체>


조승호_Latency Contemplation 1, 2016, 비디오, 컬러, 사운드, 6분 24초 (All rights reserved (c) LIMA)
<조승호_Latency Contemplation 1, 2016, 비디오, 컬러, 사운드, 6분 24초 (All rights reserved (c) LIMA)>


지하층에는 사람들을 찍은 수천 장의 정적인 이미지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전하영의 <프레임 워크>, 전자기기와 관련된 디지털 이미지들을 몽타주하여 인간과 기술사의 관계를 탐구하는 주연우의 가 영사된다.


전하영_프레임 워크, 2014, 16mm를 비디오로 변환, 싱글채널비디오, 흑백, 사운드, 6분 22초
<전하영_프레임 워크, 2014, 16mm를 비디오로 변환, 싱글채널비디오, 흑백, 사운드, 6분 22초>



주연우_Swarm Circulation, 2016, HD, 싱글채널비디오, 컬러/흑백, 사운드, 11분 52초
<주연우_Swarm Circulation, 2016, HD, 싱글채널비디오, 컬러/흑백, 사운드, 11분 52초>


2층에는 글이 아닌 영상 편집으로 비평을 써 내려 간 김다연의 <드라이브>, 모란이 지는 순간을 찍은 두 장면이 필름과 디지털 화면으로 포개져 영사되며 떨림의 잔상을 남기는 임고은의 <5월 어느 날 5일>, 회화와 영상의 관계를 섬세하게 관찰하여 시지각적 인식의 모호함을 상기시키는 문유진의 <유로파>, 정지된 이미지와 움직이는 이미지가 시간이라는 연속 안에서 어떻게 보여지는지 탐구하는 아영의 <빛-필름>이 재생된다.
마지막으로 2층과 3층 사이 계단에는 특정한 신체의 부분을 16mm 필름의 시간 단위로 변환한 김민정의 <푸티지>가 무한 반복된다.


김다연_드라이브, 2015, HD, 싱글채널비디오, 컬러, 사운드, 7분 28초
<김다연_드라이브, 2015, HD, 싱글채널비디오, 컬러, 사운드, 7분 28초>



임고은_5월 어느 날, 5일, 2010-2013, DV 6mm & 필름, 필름과 비디오, 설치, 컬러, 사운드, 2분
<임고은_5월 어느 날, 5일, 2010-2013, DV 6mm & 필름, 필름과 비디오, 설치, 컬러, 사운드, 2분>



<문유진_유로파, 2015, HD, 싱글채널비디오, 컬러, 사운드, 11분 52초>

아영_빛-필름(스틸), 사진환등기, 2014, 무한반복 / 빛-필름(무빙), 움직이는 장치, 2014, 무한반복
<아영_빛-필름(스틸), 사진환등기, 2014, 무한반복 / 빛-필름(무빙), 움직이는 장치, 2014, 무한반복>


김민정_푸티지, 2015, 16mm 필름, 흑백, 모노, 2분 47초
<김민정_푸티지, 2015, 16mm 필름, 흑백, 모노, 2분 47초>
 


#scene 2. 추신/ Post Script
영상예술을 뒷받침하는 큐레토리얼 실천들을 소개한다.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진행된 국내 영상예술 전시 사례, 커뮤니티로 출발한 해외 영상예술 배급사, 영상예술을 매개로 활동하는 아티스트 콜렉티브들을 살펴볼 수 있다.
 
#scene 3. 쇼앤텔/ Show and Tell
국내 영상예술지형을 점검하기 위해 마련한 자리다. 큐레토리얼을 수행할 때 고려되는 기획, 설치, 관객성, 아카이브, 소장, 유통 시스템을 중심으로 국내의 상황을 살펴본다.
 
#scene 4. 카탈로그/ Catalog
영상예술의 변화된 기술환경에 맞는 유통 과정을 실험한다. 비물질성인 영상예술의 보존, 소장, 유통을 다른 물질성의 예술이 취한 형식을 의례적으로 따르다 보면 장르의 특성과 시스템 사이에 간극이 생길 수 있다. 이 비물질성의 매체는 과거에 물질의 형태로 소유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비물질의 형태로 공유되고 있다. 이를 고려하여 전시에 소개된 작품을 추후에 유통시키는 상황을 상정하고 홍보물을 제작하였다.
 
우리는 영상예술과 기술의 관계 맺음을 통해 미술관에서 움직이지 못하던 이미지와 영화관에서 움직이지 못하던 관객들이 동시에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다. 기획자는 “상영중”에 들어온 관람객이 움직이는 이미지를 자유롭게 이동하며 감각하길 바란다. 한 롤의 필름으로 은유 된 인사미술공간을 거닐며 자신만의 영상을 만들어 나가길 기대한다.
 
끝으로 이 전시는 영상예술이 ‘협력적 연계’로 전개된 점을 토대로, 영상예술지형의 새로운 플랫폼 구성을 시도하고 있다. “상영중”을 통해 영상예술을 확장, 재구성해 나가기 위해 영상예술을 매체로 사유하는 예술적 실천들- 제작, 기획, 관람- 이 지속되길 기대한다. 아울러 이 활동을 격려해줄 누군가를 기다린다.
 

During the play
 
The hybrids of analogue/digital and also of offline/online have been expanding and reconstructing the modes of artistic practices of artists’ moving-image. What is here meant by ‘artists’ moving-image’ is any work of art in which a relationship between temporality and mobility is visual-perceptibly embodied in such a way that the presence of the relationship is revealed through the work.
During the progress in which celluloid film is replaced by digital file and film projector by beam projector, artists have been trying to explore a variety of ways of working for artists’ moving-image. In white cubes such explorations by artists are delivered in the form of projection or installation. Works of artists’ moving-image are expected to be seen in ways that are different from how paintings and sculptures are supposed to be seen, and they also have the power to move spectators who are used to sitting in black boxes(closed spaces).
 
During the play looks into the current in which artists’ moving-image is transforming itself in accordance with its relations to technology. It is intended to recognize the fact that each artistic practice in artists’ moving-image is closely connected to technological changes, and also to encourage further research developments in the relevant fields.  
 
Each scene in the exhibition consists of artworks exploring a particular relationship between media characteristics of artists’ moving-image and technology. In addition, you will be presented with artistic practices concerning three types of artists’ moving-image inserted between the scenes.
 
#Scene 1.  Mediating Effect
This scene explores medium specificity and expanded visuality, featuring works of art by nine artists who are focused on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sts’ moving-image and technology. Each artwork with the help of such devices as film, video, digital, film projector, beam projector, or monitor gives us some idea of how the relevant technology has been changing. A closer look at the works shows that the artists in this scene are examining the principles of media and technology that they used in creating and representing artists’ moving-image. This naturally leads us to a question of moving sensation and visuality.
 
The first floor features Brilliant Night of Film by Jaekyu Byun, an installation intending to combine and show the material and nonmaterial devices of artists’ moving-image, and Drive by Dayeon Kim, a criticism of a film constructed by using and editing the film itself, instead of using written words. also Latency Contemplation 1 by Seoungho Cho, a video of metaphorical character in which color bars in VHS video are associated with the seascape.
 
The underground floor shows Frame Walk by Hayoung Jeon, a work in which spectators can see that thousands of photographic still images of people are in motion, and also Swarm Circulation by Yeonu Ju, a film that look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the history of technology by making use of montages of digital images of electronic devices.
 
The second floor introduces you to 5days in May by Go-Eun Im, a work providing you with impressions of flickering after-images as two projected images of a dying peony in the form of film and digital are overlapped. Europa by Youjin Moon brings your attention to the constant state of perceptual ambiguity through her careful obser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inting and moving-image. Light-Film by A. Young is an exploration of how still image and moving image can be perceived in the continuous series of time.
Finally in the staircase connecting the second and the third floor you will find Footage by Minjung Kim which shows on a perpetual loop how the physical length of a particular body part can be converted into the temporal measurement of 16mm film.
 
# Scene 2. Post Script
In this scene you will be introduced to curatorial practices in support of artists’ moving-image. You will have a chance to look at examples of artists’ moving-image exhibitions in Korea from the 1990s to the present, overseas artists’ moving-image distributors started as a community, and artist collectives working with the mediating artists’ moving-image.
 
#Scene 3. Show and Tell
This scene is intended to survey the terrain of artists’ moving-image in Korea. You can have a look at things that are taken into account in curatorial executions such as projects, installations, spectatorship, archives, collections and distribution systems, so as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s in Korea.
 
#Scene 4. Catalog
This scene experiments with ways of distribution system that are suitable to the latest technological environment of artists’ moving-image. When it comes to preserving, collecting and distributing the immaterial artists’ moving-image, following a model in which material works of art is managed can lead to a conflict between the system and the genre traits of artists’ moving-image. The fact that the immaterial medium in question is shared in terms of immaterial forms is a considerable deviation from the traditional way of possessing in terms of material forms. This insight is incorporated into our production of promotional material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works of art in this exhibition are to be distributed later. 
 
We have observed that immovable images in art galleries and immovable spectators in movie theaters can move simultaneously via forming a connection between artists’ moving-image and technology. The curator of this exhibition hopes that spectators walking into “During the play” feel welcomed to roam around and experience moving images freely. That is to say, spectators are encouraged to create their own moving-image while walking through Insa Art Space, the metaphor of which is a roll of film.
 
Last but not least, this exhibition attempts to establish a new platform for the terrain of artists’ moving-image, grounded on the fact that artists’ moving-image has been developed as ‘cooperative links’. It is our expectation that During the play can contribute to the continuation of the artistic practices(such as producing, curating, viewing) which are carried out through the medium of artists’ moving-image with the purpose of expanding and reconstructing artists’ moving-image. We are also waiting for someone willing to support our endeavor. 
첨부파일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