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
-
2019년 아르코미술관 주제기획전 《미디어펑크 : 믿음 소망 사랑》
- 전시기간
- 2019.09.10~2019.10.27
- 관람료
- 무료
- 오프닝
- 2019.09.10. 오후 6시
- 장소
- 아르코미술관
- 작가
- 김웅용 김해민 노재운 이민휘/최윤 파트타임스위트 함정식
- 부대행사
- 강연, 아티스트 토크, 큐레이터 토크 등 진행 (자세한 사항은 아래 참고)
- 주관
- 주최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문의
- arkoevent@arko.or.kr 02-760-4617
ENGLISH
- 전시일시 : 2019-09-10 ~ 2019-10-27
- 오프닝 : 2019.09.10. 오후 6시
- 장소 : 아르코미술관
- 작가 : 김웅용 김해민 노재운 이민휘/최윤 파트타임스위트 함정식
- 관람료 : 무료
- 부대행사 : 강연, 큐레이터 토크 등 진행 (자세한 사항은 아래 참고)
- 주최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문의 : 02-760-4617, arkoevent@arko.or.kr
-
2009년 인사미술공간의 미디어 아카이브가 아르코 아카이브와 통합되면서 아르코 아카이브는 미디어 아카이브로서의 정체성을 표방해왔으며, 지난 10년 동안 미디어 관련 학술행사와 『미디어비평총서』, 『미디어챕터』와 같은 연구 총서를 기획 및 출간하였다. 아르코 아카이브는 단순한 자료 수집의 공간이 아닌 작가, 연구자들과 함께 미술관의 자료를 바탕으로 동시대 시각예술연구의 담론을 구축하고 그 결과를 관객과 공유하는 장소이자 열린 무대였다.
특히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진행된 〈미디어-아카이브 프로젝트〉는 실험적인 예술 언어를 영상으로 담는 작품들을 전시, 상영했으며 아르코미디어 컬렉션을 통해 창작환경을 조성하고 작가들을 지원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을 기획함으로써 본 프로젝트는 영상 작품, 즉 영상 이미지를 어떻게 볼 것인가라는 질문을 관객과 공유하고자 했다.
이에 《미디어펑크: 믿음·소망·사랑》은 이 질문을 다시 소환하여 2019년 오늘 우리를 둘러싼 영상 이미지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2019년, 작금의 영상이미지는 스마트폰으로 접속하는 SNS와 유튜브의 콘텐츠들로 인지되며 다양한 카테고리의 동영상들이 몇 초 간격으로 소개되고 재생된다. 인터넷 밈(meme), 파운드 푸티지(found footage)를 사용한 현란한 편집과 시각적 유희는 우리의 삶에 깊숙이 자리 잡았다. 이제 정지된 이미지와 텍스트 대신 동영상을 통해 얻은 정보가 더 신빙성을 가지며, 누구나 카메라와 편집 프로그램만 있으면 자신만의 채널을 만들어 불특정 다수와 공유하고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반면 편집된 영상 이미지와 서사는 실체 없는 진실과 허구,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치열한 논란을 생산하고 사회를 작동시키며 대중을 선동하거나 통합 혹은 분열, 대립하게 만든다. 하지만 영상 이미지가 만들어낸 세계의 양면성과 쾌락주의를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상)이미지에 대한 우리의 믿음과 사랑은 점점 더 강해지고 있다.
이에《미디어펑크: 믿음·소망·사랑》은 각종 디바이스로 재생되는 동영상이미지가 일상은 물론 사회에 관여하고 조종하는 현실을 들여다본다. 관습에 안착된 문화 혹은 경향을 전복하려는 ‘펑크(Punk)’의 의미와 영상이미지의 콘텐츠에 대한 믿음과 열망이 가득한 세태를 전시 제목에 반영하여 사회 안에서 옳다고 믿어지거나 고착화되어 작동하는 개념들을 작품을 통해 다른 시선으로 재생해보고자 한다.
출품작들은 파편화된 이미지와 사운드, 뒤집힌 서사를 전시장에 나열해 세계에서 누락된 존재와 모순된 구조를 드러낸다. 더불어 순차적 서사와 시간에 대한 감상자의 기대를 배반해 인지의 규칙을 교란하고, 암묵적으로 약속된 사회적 체계와 조장된 ‘밝은 미래’에 의구심을 갖게 만든다.
《미디어펑크: 믿음·소망·사랑》은 디지털매체환경과 기술미학을 탐구하기보다 엇갈린 이미지의 배열과 선형적 논리에 기댄 이해를 지양하는 작품들을 전시장에 선보임으로써 영상 콘텐츠들이 재생하는 이미지와 그 이미지를 소비하는 방식에 균열을 내고 질문을 유발시킨다.
한편 본 전시는 아르코아카이브와의 연계 전시로, 아르코아카이브의 연구총서인 『미디어비평총서』와 『미디어챕터』 그리고 아카이브 포트폴리오에 소장된 작가들이 전시에 참여하여 아카이브 소장 자료에 기반을 둔 연구를 실현한다. 전시장에는 작가들의 포트폴리오와 아르코 미디어-프로젝트 관련 자료들을 비치하여 관객의 이해를 도우며, 시각예술연구공간으로써의 아르코 아카이브를 강조하고자 한다.
- 운영시간 : 11:00-19:00 (매주 월요일 휴관)
※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은 21:00까지 운영 - 전시설명 : 주중 14:00, 16:00 | 주말 14:00, 16:00, 18:00
- 연계행사 안내
-
연계행사 안내에 대한 구분,개요,제목,일정,강연자,대상 등 정보제공 구분 개요 제목(가제) 일정(안) 강연자 대상 1 강연 및 아티스트 토크 파편들 사이에서 말하기:
불확정적 영상작품을 대하는 비평의 자세10.3 유운성
(『오큘로』 발행인, 영상 비평)전문인 및 일반 관객 2 영상과 테크놀로지 10.6 이광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3 큐레이터 토크:
2019년의 미디어 전시를 말하다10.9 김미정
(아르코미술관 큐레이터)
천미림
(독립큐레이터, 매체미학)/
박현진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학예연구사)/
허호정
(비평)4 기록과 담론 사이:
출판과 그 기억들10.12 길예경
(편집자/번역가),
구정연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박재용
(큐레이터/통번역가),
백지홍
(『미술세계』 편집장)5 미래를 준비하는 영상예술 아카이브 10.20 정세라
(더 스트림 디렉터)6 이벤트 관객 이벤트 수시 SNS를 통한 홍보 이벤트
(블로거 및 SNS 팔로워 대상)큐레이터 토크 9.25 문화가 있는 날 안내 전시 투어
*모든 강연은 오후 2시 시작입니다.(10,9 큐레이터 토크는 오후 3시)
*프로그램 신청방법 : https://forms.gle/H4X4vkLNtsC2PrhV8 를 통해 가능합니다.
- 작품설명
-
김웅용, 〈WAKE〉 단채널 비디오 설치, 19분 10초, 2019
김웅용의 신작 〈WAKE〉는 1996년에 벌어진 한 사건을 기록한 필름에서 시작된다. 이 필름이 사진으로 현상되고 그 내용이 드러나면서 서로 다른 세 가지 사건이 전개되는데, 경험의 사실을 증명하려는 인물들의 목소리와 추적의 과정에서 사건을 환기하는 이미지의 반복적인 충돌은 각 인물이 발화하는 내용의 진위여부를 혼동케 한다. 사건을 가로지르는 실체가 과연 어떤 모습인지에 대한 의문과 착각은 더 선명한 가상의 정보와 감각이 포함된 이미지를 접하는 것만으로 직접 경험한 것처럼 믿게 되는 오늘날의 현실을 상기시킨다.
김해민, 〈두 개의 그림자〉 3채널 비디오 설치, 8분 35초, 2017
김해민은 미디어아트가 한국에 태동한 1980년대부터 영상, 사운드 퍼포먼스 등을 매개로 실제와 가상의 경계를 실험해왔으며, TV가 재생하는 이미지가 물질성을 획득하여 감각을 자극하는 작업을 지속해왔다. <두 개의 그림자>에는 국적 분별이 어려운 한 아이의 ‘이미지’와 그를 반영하는(혹은 반영하는 것처럼 보이는) ‘그림자’가 반복 재생된다. 공간에 설치된 전구의 불빛과 그림자를 통해 아이의 ‘이미지’는 입체(실재)를 가장하면서 이윽고 서로 다른 국적을 가진 부모의 그림자로 장면이 바뀌게 된다. 기계가 만들어낸 명암(明暗)의 논리를 의심 없이 받아들이는 우리의 무감각한 시선 끝에는 아이가 이방인으로서 겪게 될 암시적 상황과 그 미래에의 질문이 그림자로 남겨져 아이를 에워싼다.
노재운, 〈보편영화 2019〉 오브제 설치 외, 2019
노재운은 웹아트 1세대 작가로 ‘보편영화’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온/오프라인 전시, 회화, 조각은 물론 디지털 이미지와 영상, 출판에 이르는 다양한 작업을 전개해 왔다. 신작 〈보편영화 2019〉는 오늘날 SNS 환경을 대표하는 정사각형 프레임 공간 안에 웹영상과 오브제들이 배치된다. 영화와 웹을 포함한 광범위한 미디어 환경에서 시작된 영상과 오브제, 이미지는 그 형상에 가까이 다가갈수록 모호해지거나 선명해지는 양면성을 지니며 원래 존재했던 맥락을 넘어 공간 안에서 서로 대등하게 연결, 호환된다. 관객은 움직임에 따라 변화하는 이미지를 체험하면서 그 풍경을 휴대폰으로 촬영하거나 개인 플랫폼에 공유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들을 모두 포함하여 〈보편영화 2019〉는 오늘날 이미지를 활용, 소비하는 양태들을 실현하고 관찰하는 증강현실의 공간이자 움직이는 극장이라 할 수 있다.
최윤/이민휘, 〈오염된 혀〉 단채널 비디오, 4k, 컬러, 사운드, 15분 54초, 2018
(2018 부산비엔날레 커미션)
음악가 이민휘와 최윤 작가의 협업으로 제작된 〈오염된 혀〉는 최근 한국 사회를 비추는 현상을 ASMR, 대중가요, 선전 문구 등의 어법을 차용한 여섯 개의 장으로 구성한다. 강렬한 퍼포먼스와 코스튬 뒤에는 교육된 애국심에 대한 의심, 진실을 뒤로 한 채 퍼져나가는 바이럴 마케팅의 암면, 허상의 언어로 가득한 미래에의 희망, 생존을 빙자한 희생의 강요 등 오늘날 우리가 당면한 무거운 문제가 노래와 장면을 통해 풍자되거나 은유된다. 관객은 광고지 형태로 제작된 악보를 보며 각 장의 노래를 따라 부르거나 배포하여 이미지에 가려진 사회 내 모순의 풍경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파트타임스위트, 〈나를 기다려, 추락하는 비행선에서〉 360° VR 비디오, 컬러, 사운드, 16분 45초, 2016
(SeMA 비엔날레 미디어시티서울 2016 커미션)
콜렉티브 그룹 파트타임스위트(Part-time Suite)의 〈나를 기다려, 추락하는 비행선에서〉는 VR영상으로 만들어졌으나 가상세계에 대한 환영의 유희를 제공하는 일반적인 VR과는 다르다. 영상은 찬란한 미래의 가치를 실현해줄 소망이 담긴 신도시, 재개발 지역에서 촬영되었지만 그 반짝이는 이름이 주는 기대와는 정반대에 놓인 폐허에 관객은 던져진다. 지하벙커, 전자 쓰레기 처리장, 광장, 공사장의 뒤편, 고시원 등 사회가 미래의 가치 안으로 호명하지 않는 장소가 반복되고, VR의 하이테크놀로지적 연출과는 상반된, 가상과 실제 장소의 레이어가 어설프게 봉합된 공간 사이를 유영한다. 영상 내내 끊임없이 지칭되는 ‘너’ 혹은 관객은 눈앞에 놓인 이러한 각 장소들을 여러 시점으로 경험하면서 누군가 부르짖던 ‘밝은 미래’의 기획으로부터 유유히 이탈하여 끝나지 않는 새로운 서사의 궤도에 합류한다.
함정식, 〈기도(퍼포먼스 버전)〉 단채널 비디오, HD, 3분 58초, 2015
영화감독이자 영상작가인 함정식의 〈기도(퍼포먼스 버전)〉는 작가의 동명 영화 〈기도〉의 퍼포먼스 시퀀스로, 잉마르 베리만(Ingmar Bergman)의 영화 <제7의 봉인>의 ‘죽음’을 상징하는 캐릭터로 조악하게 분한 퍼포머가 미러볼과 비슷한 도구를 들고 재개발지역인 이문동의 허름한 골목 구석구석을 빠르게 비추는 장면을 담았다. 유행가처럼 편곡된 찬송가, 토속신앙이 곳곳에 자리한 골목, 죽음을 상징하는 퍼포머의 발랄한 움직임 등 서로 대립되는 각 요소를 연결하여 내용을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다. 즉 영상에 등장하는 대상들과 그 모호함을 통해 작품은 이해 가능한 서사의 구조를 취하지 않는다. 결국 〈기도〉는 특정 대상에 대한 입장을 드러내기보다 강한 상징성과 믿음을 유발하는 이미지들을 충돌시킴으로써 발생하는 모순과 파생된 의미들에 대해 끊임없는 질문을 유발시킨다.
자료담당자[기준일(2019.8.21)] : 미술관운영부 김미정 02-760-4617
게시기간 : 19.8.21 ~
MEDIA PUNK: Belief, Hope & Love
2019.9.10 (Tue). ― 10.27 (Sun).
11am ― 7pm (Closed on Mondays and Korean Thanksgiving Day)
Open until 9pm on the Last Wednesday of Every Month
Arko Art Center Gallery 1, 2
WoongYong Kim, Haemin Kim, JaeOon Rho, Minwhee Lee/ Yun Choi, Part-Time Suite, Jeongsik Ham
Organized by Arko Art Center, Arts Council Korea
02-760-4626, www.arko.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