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 리뷰·미술

불황 속의 풍성한 전시장 한지 - 조형적 해석전, 선학규전, 권여현전

오세권·미술평론가

계속되는 불황과 최근의 IMF 관리체제 한파는 미술시장을 극도로 얼어붙게 하고 있다. 지금 이 시점에서 전시를 한다는 것 자체가 무리수를 두는 것이라고 말하는 이가 많다. 그만큼 주변의 경제 흐름이 어려운 것이다.

그러나 2월의 전시장을 보면 미술시장은 얼어붙었지만 작가들의 열기는 어느해 못지 않게 훈기가 흐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규모의 전시나 대형 작가의 전시는 보기 어려웠으나 새로운 젊은 작가로부터 중견 작가들의 작품세계들을 많이 접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경기의 여파로 전시 문화가 상당히 위축될 것이라는 소문과는 달리 강북 지역인 인사동 지역과 사간동 지역에서 전시회가 많이 이루어져 활기있어 보였다. 그러나 강남지역은 상설전시가 많아 전시장의 흐름이 위축되어 보였다. 이렇게 어려운 시기지만 많은 작품들이 감상자들로 하여금 볼거리를 제공해주 어 미술인들의 따뜻한 마음들을 느낄 수 있었다.

2월에 열린 전시회 가운데 몇 가지를 살펴보자.

한지-조형적 해석전

1990년에 창립하여 올해 13회의 전시를 갖는 한지작가회의 ‘한지-조형적 해석전’이 워커힐 미 술관에서 열렸다. 그동안 평면 작가를 중심으로 회원이 이루어져 있었는데 이번 전시부터 입체와 설치 작가들이 참여하여 다양한 작품세계를 보여 주었다. 한지는 말 그대로 우리의 종이이다. 그러므로 한지회는 우리의 종이를 재료로 하여 작가들이 작 품세계를 제작하는 모임인 것이다. 그들은 오늘날 선진 미술문화에서 나타나는 재료나 주제보다는 한국적인 정서를 바탕으로 하는 재료나 주제에 전착하고 있다. 곧 한지에서 나타나는 우리의 정서를 바탕으로 작품세계를 펼쳐 나가는 것이다.

이들의 한지 이용 방법은 다양하다. 나무판 위에 붙여 나타내기도 하고 닥의 느낌이 그대로 드러나게 하여 질감을 거칠게 나타내기도 하며, 색료를 사용하여 직접 그림을 그려서 나타내기도 한다. 그리고 한지에 물체의 모양을 그대로 떠내어 오브제로서 나타내는 작업을 할 뿐 아니라 한지의 특징을 살려 설치로서 구성하기도 한다. 여기서 우리는 한지가 얼마나 다양한 모습으로 우리 앞에 나타나는가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한지회원들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이념은 '한국적 전통성’이다. 곧 세계 미술문화계내에서 한국미술문화가 경쟁력을 가지려면 한국적인 특수성이 잘 나타날 수 있는 한지를 재료로 하는 미술품을 만들어 내어야 한다는 것이다. 한지 작가들 대부분이 이러한 사명감을 바탕으로 많은 연구를 통하여 자신의 작품세계를 발표하고 있었다.

선학균전

선학균의 9회 개인전이 종로갤러리에서 열렸다. 그는 이전에는 추상 작품을 발표하였으나 근간에는 구상 작품을 주로 발표하고 있다. 그의 작품을 보면 화면의 부분을 긁어내려 마치 빗방울이 흘러내리는 듯한 느낌을 준다. 그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주제들을 보면 전통 민화에서 볼 수 있는 내용들이며 설화적인 내용도 있다. 뿐만 아니라 풍경을 그린 현장 스케치도 있어 이번 작품전이 얼마나 다양한 주제와 소재로 이루어졌는지를 유감없이 보여주고 있다. 먼저 민화적 요소를 보면 전통민화를 그대로 옮겨낸다기보다는 동시대 미의식으로 재해석하여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설화적 요소는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들을 그림으로서 풀어놓은 듯 나타낸 작품들이다. 이러한 그의 작품에는 해학이 나타나며 민화적 화면의 짜임이 보여진다.

그리고 현장 풍경들은 자신과 이웃한 풍경들인데 포구나 달동네들을 나타내고 있었다.그의 작품세계는 전체적으로 ‘자연률(自然律)’시리즈로 요약되는데 이는 자연의 현상에서 나타나는 사물의 변화나 정신을 작품 속에 나타내 보자고 하는 작가의지의 표현이 아닌가 생각된다.

권여현전

권여현은 ‘자아’와 관련된 여러 가지 주변적 요소인 사랑, 전쟁, 고대유적 등을 이전부터 그려왔다. 이러한 경향은 지난날의 삶을 되돌아보거나 관찰하는 작품이기도 하였으며, 자신의 무의식 속에 근저해 있는 기억을 하나씩 풀어내는 기록이기도 하였다. 그러한 주변적 요소의 기록들이 이제는 ‘가족’이라는 좁은 영역에까지 압축되어 나타나고 있다.

그는 이번 작품전의 부제를 ‘아름다운 시절의 이야기’로 정했다. 여기에는 자신과 관련된 가족사가 기록처럼 나타나 있음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가족’이라는 씨줄에 대한 기록적인 표현의 요소가 저변에 깔려 있다. 결국 '나’를 찾는 것은 가족관계로부터 시작되기 때문이다. 곧 가족이란 그의 말대로 별개이면서 자신과 합체인 것이다. 이러한 가족과의 관계를 통하여 자신의 정 체성을 밝히는 것이다.

이번 그의 작품전에서는 사진이 많이 보여진다. 자신의 모습이 담긴 사진과 자신이 직접 그린 주변의 가족 모습들을 한 캔버스 내에 같이 조화시켜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사진이라는 기계의 시각으로 만들어낸 자신의 모습과 사진을 보고 자신이 그려낸 그림과의 관계가 긴밀하게 상통하는가는 알 수 없다. 단지 자신의 일상적 단면을 시간적으로 옮겨 놓은 것 같은 느낌이다.

2월의 전시회 가운데 몇 개를 간단하게 스케치하여 보았다. 이 외에도 금강을 주제로 한 ‘정명희전’ 익명인의 모습을 통해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들의 자화상을 보여준 ‘권기수전’, 그리고 영혼과 정신세계를 초현실적으로 표현한 ‘우창훈전’ 등이 돋보였다. 또한 ‘삼십캐럿전’과 ‘신세대 한국성 모색전’ 등은 젊은 작가들의 다양한 작품을 볼 수 있어 신선했다.

목차보기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