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편
*아크로배트Acrobat
① 곡예사, 줄타기 등을 연희하는 공중, 지상 곡예사.
② 클라운.
*막act
희곡의 길이의 구분. 각 막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면으로 구성된다.
그리스극에서는 막의 구분이 없이 코러스를 이용한다.
*액트 콜act call
무대감독이 배우에게 무대로 올라가 연극을 시작하라는 신호를 보내는 것.
막 오르기 2분 전 무대감독은 휴게실 등에서 종을 울린다.
*면막act curtain
주름막 바로 뒤에 있는 커튼. 연극중이나 후에 관객의 시야에서 감추어야 할 것이 있을 때 사용한다.
수직커튼과 끌막이 있다.
*액팅 에리어 라이트acting area light
무대 위의 배튼에 부착시킨 조명기구.
주로 연기가 많이 행해지는 장소에 빛을 발한다.
*액팅 에디션acting edition
대본을 읽으면서 불필요한 대사를 삭제하고 새로운 대사를 삽입하며, 연출자가 배우에게 지시하는 모든 사항과 위치를 적어 놓은 공연대본.
*연기대본acting version
제작상의 기록이 첨부된 희곡으로 18세기 영국에서 등장한 이래 제작기술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단막희극after piece
주로 극이 끝난 뒤에 공연되는 익살맞은 단막극. 18세기 초 영국에서 성행하였다. 노래와 춤을 곁들인 희극으로 발레전공의 위버 등이 창시하였다.
*애드 리브ad lib
대사나 동작을 주어진 상황에 따라 즉흥적으로 창안해 내는 것.
*애지프로극agitprop theatre
시사풍자극. 대규모 쇼의 형태로 공연되는 선동적인 연극.
1920년 소련에서 시작되었으며 이후 직업극단과 메이어홀드·브레히트·피스카토르 등에게 영향을 준다.
*아이오레마aiorema
고대 그리스극장에서 신의 등장을 알리기 위해 사용된 무대장치.
*이화효과alienation effect
브레히트에 의해 창안된 연극효과 또는 그 효과들의 연속.
비사실적 연기, 양식적인 무대장치, 영상의 투사, 연기자와 배역의 비동일시 등 관객의 비평의식을 일깨운다.
*반연극anti-theatre
종래의 연극원칙을 무시하고 1950년 이후 프랑스에 나타난 전위연극운동.
황당무계한 이야기와 인간 존재의 내면에 깃든 허무와 불안 등을 그려내는 연극운동.
이 명칭은 이오네스코의 「대머리 여가수」의 부제「반희곡」에서 유래되었고, 베케트, 아다모프의 작품들이 여기에 해당된다.
*아포테오시스apotheosis
신격화. 엄격한 의식을 행하는 마지막 장면이나 영웅을 찬미하는 장면 등에 쓰여진 희극·무언극 등에서 발견할 수 있다.
*에이프런apron
프로시니엄 아치에서 객석을 향해 돌출된 무대 부분.
*아르키네메archimime
① 마임의 주연 남·여배우. 무언극 배우단의 연출가.
② 마임.
*어리너arena
원형극장의 중앙에 모래를 깐 곳. 원래는 로마시대 원형극장에서 연기를 할 수 있는 영역.
*원형무대arena stage
연기영역의 4면이 계단식 객석으로 둘러싸인 무대로 현대식 최초의 원형무대는 소련에서 시도하였다.
보통 좌석배치는 유동적이다.
*순수연극Art theatre
상업성을 배제하고 연극의 예술성만을 추구하는 연극.
*석면막asbestos
석면이나 강철로 만든 막으로 방화용이다. 프로시니엄 바로 뒤에 설치하여 막이 오르면 완전히 보이지 않게 해야한다.
*방백aside
극중인물이 관객에게 하는 말로 무대 위의 다른 인물은 듣지 못하는 것으로 약속되어 있다.
*아스팔레이안 시스템Asphalein system
현대 초기 무대 형태 중의 하나.
강철을 주재료로한 것으로 1884년 아스팔레이아극단이 최초로 시도한 후 붙여진 명칭이다.
전체 무대는 독립적인 덧마루로 분리되며 수력피스톤에 의해 들어 올려지거나 낮아지고 기울어지기도 했다.
*오디션audition
캐스팅을 하기 위해 연기자들의 개인적인 능력이나 적성을 파악하는 과정.
*전위극avant-garde theatre
리얼리즘 연극에서 벗어나 새로운 미학적 원리에 입각한 연극.
*발코니 스포트라이트balcony spotlight
발코니 앞이나 객석의 돌출된 부도에 위치한 3∼4개의 커다란 스포트라이트.
*발라드 오페라ballard opera
대중적인 멜로디에다 노래를 곁들인 희곡.
게이의 「거지의 오페라」에서 처음으로 발견되며 1928년 브레히트의 「서푼짜리 오페라」도 여기에 기초를 둔 것이다.
*밴드 룸band room
무대 밑.
*바커barker
경마장·곡마단·순회극단 등의 극장입구에 서서 소리를 질러 손님을 끄는 사람.
*바로크 연극baroque theatre
궁정이나 수도원 등에서 유행하던 연극의 하나.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등지에서 성행하였으며 연극발전에 크게 공헌하였다.
대사 보다 군중장면을 강조하여 새로운 영감을 우화적으로 표현하였다.
18세기 후반 문화적 민족주의의 탄생과 더불어 퇴조의 길을 걸었다.
*성격사극bible histories
현대 학자들이 성경에 기초한 중세극을 지칭하는 말. 기적극, 신비극.
*비에날레Biennale
베니스에서 개최되는 국제적인 연극축제.
*비머bima
그리스 극장에서 화자(話者)가 서는 덧마루. 정치적 목적의 공연이 이에 해당된다.
이동가능한 난간이 설치된 무대를 뜻하기도 한다.
*비오 메커닉bio-mechanics
연출이론에 기초한 연극의 기본을 배우의 육체적 훈련에 두고자하는 이론. 소련의 메이어홀드가 창시했다.
*블로킹blocking
무대 상에서 배우의 행동을 결정하는 과정.
*쌍플랫booked wing
서로 묶인 2개의 플랫
*부메랑boomerang
스포트와 플러드를 차곡차곡 놓을 수 있도록 만든 상자. 측면 조명과 배면막에도 사용한다.
*보더border
길고 가는 채색 천조각. 무대 꼭대기 가장자리에 놓는데, 객석에서 보이는 무대 꼭대기를 가리기 위해서 사용한다.
*보더 라이트border light
전력이 낮은 전구를 넣은 길다란 통. 보통 연기 공간의 너비와 같다.
일반적으로 각 보더 뒤에 4개씩 설치하여 무대전면을 비춘다.
*보오드boards
① 무대바닥을 구성하는 판자.
② 연기직을 의미.
*복스석box
객석의 한 부분. 무대 양쪽에 6,7명이 앉을 수 있도록 설치하였으나 오늘날에는 보통 사용하지 않는다.
*브리지birdge
무거운 배경을 들어올리는 기계 장치 또는 많은 배우들이 등장하는 극적장면을 밑에서 무대 높이까지 올리는 것.
*불라burla
코미디아 델라르테의 하나. 약간 긴 막간 희극. 농담이나 발걸어 넘어뜨리기 등을 연출한다.
*벌레스크burlesque
① 당대의 문학적, 극적 관습의 풍자를 목적으로 한 풍자극, 해학극.
그리스의 서사시「바트라코뮈오마키아」가 최초의 벌레스크.
② 해학적 내용을 담고 자유로운 형식의 기교적인 악곡.
*발레티burletta
음악이 있는 운문극으로 18세기 영국에서 발생했다.
드루인 레인과 코벤드 가든에 본격극을 제한시킨 면허법으로 런던 극장가에 행해진 규제를 탈피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비즈니스business
일상적인 동작. 문 여닫는 소리, 전화받는 것 등.
*카바레Cabares
초기에는 가수나 코미디언 등 개인 예술가의 샹송이나 풍자적 삽화를 공연하던 클럽이나 레스토랑의 작은 무대.
*카포코미디capocomico
극단의 예술감독, 경영자이자 지도적 배우를 지칭하는 말.
*사육제극carnival play
독일 세속극의 초기 형태.
해학과 야유를 기조로 한 서민연극으로 독일 희극의 기원이 되었다.
*캐스팅casting
한 공연에 요구되는 연기자들에게 각기 역할을 지정하는 과정.
*경극ching chu
중국 고전극의 하나. 주로 북경에서 육성되었으나 남곡의 계통에 속한다. 왜냐하면 남방에서 북경으로 옮겨와서 경극이 되었기 때문이다.
건륭55년(1790) 고랑정(高朗亭)이 이황조(二黃調)를 가지고 북경에 온 것이 시작이었다.
특징은 가극적 구성을 취하고 있고 소재를 고대소설에서 구하고 있고, 고대 혼곡의 극본을 개편한 것도 있다.
*각색chio se
원래 중국 연극의 분장, 역할을 뜻하는 것으로 生, 旦, 丑, 淨, 末, 小生, 老旦등의 종류가 있다.
이 의미가 변하여 연극이 조직이나 연극물을 각색한 것을 가리킨다.
또 근래에 와서는 소설, 시나리오 등에서 원작이 있는 것을 극화한 것을 뜻한다.
*사기극chronide play
16세기 영국에서 발달한 극으로 역사적 인간의 일대기를 다룬 극.
*활극cloak-and-sword plays
모든 형태의 음모극을 뜻하는 말로 스페인 연극 형태 중의 하나이다.
*코미디 발레comedie-ballet
정교한 발레의 막간극 구성의 한 요소로 사용되며 몰리에르가 개발하였다.
궁정 발레와 코미디의 중간 형태로 가장 유명한 것이 1670년「평민귀족」이다.
*계교희곡comdedy of intrigue
계교나 음모 등에 의하여 사건이 주로 전개되는 상황희극.
*성격희곡comedy of character
등장인물의 성격에 의해 극행위가 진행되는 극.
*코메디아 델라르테commedia dell'arte
16세기 중반 베니스와 롬바르디 근교에서 발생한 이탈리아 연극이다.
주로 시나리오와 칸느바로 진행되고 배우는 임의로 대화를 창조하며 때로 즉흥적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비심리적 연극으로서 오늘날에도 연극의 한 형태로 존재한다.
*코메디comedy
연극의 주요한 2개 장르중의 하나. 희극은 넓은 의미에서 일상생활의 문제, 즉 사소한 문제들을 가볍게 취급하여 행복한 해결책을 찾는다.
좁은 의미에서 궤변과 인간 성격의 약점, 사회적 측면의 부조리성과 대화속에서 표출되는 재치와 익살이 있다.
*상업연극commercial theatre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연극
*큐cue
배우나 무대관계자에게 공연에 관련된 말, 행동, 소리, 빛 등을 지시하기 위해 쓰이는 말.
*개막극curtain raiser
19세기 후반, 프랑스 연극에서 공연되던 짤막한 일막극.
개막극은 공연의 시작과 늦게 도착하는 관객들간의 격차를 좁히는데 효과가 있다.
대표적 작가로는 카레, 뒤프레, 블룸 등을 들 수 있고, 이 극은 19세기 말이 소멸하였다.
*커트 아웃cut out
끝이 울퉁불퉁한 플랫장치로 멀리 있는 물체를 나타낸다.
*연쇄극cycle drama
연극과 영화가 섞여서 상연되는 것.
*무용극dance drama
주로 무용을 위주로 하는 극.
*데드dead
더 이상 쓸모 없게 된 배경이나 소품. 막이 내린 후 쓸모없이 된 것들.
*디다스칼레didascalae
그리스 연극의 제작기록. 페스티발의 명칭과 내용. 연출가, 작곡가, 극작가, 주역의 이름 등을 기록하였다. 이것은 연극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가장disguising
15, 16세기 영국에서 무언 익살극, 주사위 놀음, 가면의 착용 등의 오락물을 지칭하던 말.
disguise는 「가면」을 뜻하는 고영어.
*독dock
여분의 장치를 쌓아두거나 장치를 채색하는 장소.
*기록극documentary theatre
공문서, 신문기사, 영화, 기록, 사진, 테이프를 바탕으로 한 희곡이나 제작을 지칭함. 일반적으로 사실에 바탕을 두고 역사적이고 정치적인 성격을 띤다.
*극행위dramatic action
연극의 본질적인 요소 중의 하나로 인간의 신체적·심리적·언어적 행위를 포함한다.
*연극비평dramatic criticism
희곡, 배우, 연출 등 연극의 여러요소를 구체적으로 평가하는 일.
체계적인 이론적 비평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서 발견되며 이후 르네상스와 17세기 프랑스의 신고전주의 이론가들에 의해 정립된 연극이론을 구축했다.
*극시dramatic poetry
광의로 시의 3대 장르 중 하나. 협의로 극의 형식을 취하거나 극적 수법을 사용한 시로 읽기 위한 것이며 시극·서제극과는 구별된다.
*드라마투르기dramaturg
희곡작법·극작술이 뜻이나 일반적으로 연극이론이나 희곡을 공부하는 방법, 즉 연출법 등을 의미한다.
18세기 이후 독일에서 이 용어를 사용하였다.
*드레스 리허설dress rehearsal
마지막 무대연습. 리허설 전에 무대 감독은 제작자나 극단 경영자와 만나 협의하고 각 배우들이 사용할 의상실을 공개한다. 이 리허설의 성공여부는 무대감독에게 달려 있다. 철저한 지식, 세밀한 준비가 필요하다.
*드롤droll
영국의 짤막한 희극적 소품으로 보통 긴 극(劇)에서 따온 한 장면을 뜻한다.
초기 인형극「웨스터민스터 드롤러리Westminster Drolleries(1672)등의 극적이지는 않으나 풍자적 운문물을 뜻하기도 했다.
*응접실 희극drowing-room comedy
중요한 생활이 응접실에서 이루어지는 중산층 계급에서 주요 등장인물이 나오는 가벼운 풍자극.
양 대전사이에 많이 발전하였고 현대적 플롯을 가지며, 사실적으로 무대화한다.
*앙상블ensemble
① 하나의 극단을 이루어 공동 제작하는 배우집단.
② 배우 전원의 협력에 의한 통일적 효과를 노리는 연출기법
③ 연기자와 연기자, 연기자와 무대제작 요소, 무대제작 요소 상호간의 조화와 균형의 일치.
*앙트레메스entremes
짤막한 극적, 비극적 오락을 일컫는 말.
본래 성체축일이나 축제 때 공연되던 단막 희극의 소품을 의미한다.
*서사극epic theatre
독일의 브레히트가 주창한 극형태. 원래 연극이 보다 강한 이야기적 요소를 갖기 원했던 파퀘트·포이히트 방거 등이 이전부터 사용했다.
브레히트는 아리스토텔레스적 연극의 개념에 반대하면서 관객을 최면술적 감동에서 해방시켜 관객에게 세계의 변혁을 깨닫게 하는 실천적 태도를 가르치고자 했다.
*에필로그epilogue
연극 공연 마지막의 한 장면이나 대사. 폐막사.
플라우투스가 로마 희극에 도입했으며 18세기까지 존속하였다.
19세기에 소멸되었다가 20세기에 브레히트·엘리어트 등의 작품에서 재등장한다.
*에피소드episode
① 그리스 연극, 특히 비극에서 2개의 코러스 송시 사이에 연희되는 행동과 대화.
② 실화나 문학 중심 작품에서 줄거리에 관계없이 삽입된 독립사건.
③ 몇 개의 이야기가 모여 한 편의 이야기를 이루는 경우 그 중의 하나.
*마극equestrian drama
19세기 말. 여러 동물을 극에 등장시키던 오락물.
유명한 것으로 「마제파Mazeppa」가 있다.
*기성연극established theatre
현재 지배적인 세력을 형성하고 있는 연극.
*엑소더스exodus
파국이 있는 연극.
원래는 고대 그리스 연극에서 마지막 부분에서 코러스가 퇴장하여 영창하던 노래를 의미한다.
*실험극experimental theatre
20세기에 새로운 연극 이론과 제작방법이 개발, 실제 연극에 도입으로 나타난 것.
오늘날 가장 뛰어난 실험 연출가로는 그르토스키외 브룩이다.
1920년대 실레머와 바우 하우스의 새로운 극장설계와 1950년대 원형무대의 출현은 이 극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광상극extravaganza
이상한 파격을 특징하는 극 또는 음악.
널리 알려진 전설이나 신화를 기초로 엉뚱한 플롯을 전개하고 음악반주를 곁들이며 대사는 터무니없는 이행연구로 한다.
대가로는 플랑케를 들 수 있고 오늘날의 무언극이 여기에서 발생된 것이다.
*페이드 인F.I fade in
조명기로 무대의 조명이 서서히 증가하는 용어.
*파르스farce
해학을 기발하게 표현하여 관객을 웃길 목적으로 지은 비속한 연극.
중세 도덕극에서 발달하여 17세기 프랑스에서 유행하여 몰리에르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 형태가 발전하여 짤막한 1막 풍자극이 되었다.
19세기 프랑스 파르스의 대가는 라비세와 페이드였다.
*숙명극fate drama
19세기 초 독일 연극의 한 형태.
이 극의 시초는 베르너의 「2월 2일」이다. 특징은 주인공들이 불우한 숙명, 환경에서 가공할 죄를 저지르는 것이다.
*꽃불firework spectacles
무대효과의 하나로 14세기에 신비극에서 최초로 사용되었다.
악마의 의상의 일부가 되었고, 지옥의 불타는 입구 등 무대효과를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극장 프런트front of house
관객을 위한 극장의 일부. 즉 객석, 통로, 로비, 휴게실, 보관소, 화장실, 매점, 매표소 등 프런트 매니저가 감독하는 부분을 총칭하는 말.
*개프gaff
19세기에 싸구려 극장을 지칭하던 말.
큰 도시의 빈민촌에서 구성이 엉성한 극단에서 주로 멜로드라마를 공연했다.
스코트랜드에서는 「기기」라고 불렀다.
*갤러리gallery
두 가지 뜻이 있는데 하나는 극장에서 값이 제일 싼 좌석. 보통 2층 발코니에 해당된다. 또 하나는 무대 가장자리나 후면에 올린 작업 덧마루 또는 프라이 갤러리를 뜻한다.
*제스추어gesture
몸짓, 신체적 움직임으로 연기를 표현하는 행위.
*기뇰guigol
① 대중적인 전통 인형극의 주연 등장인물을 지칭하는 말.
② 프랑스의 인형극으로 손가락을 인형의 목에 넣고 하는 인형극.
*그린 룸green room
배우들이 공연 전후에 잡담을 하거나 친구들을 만나는 방.
*그루브groove
관객이 보는 상태에서 윙이나 플랫을 바꿀 수 있는 무대 기계.
장치의 부품들을 지탱하기 위해 여러 가지 그루브 목수를 쓰는데 개수, 위치, 디자인 등은 시대에 따라 복잡하고 다르다.
*그라운드 로우ground row
낮고 긴 장치물로 주로 먼 거리의 산이나 언덕 등을 나타낸다.
뒷주름막이나 사이클로라마 앞에 설치하여 외부장치로 사용되기도 하고, 수평사이클로라마 라이트를 가려 주기도 한다.
*그룹 디어터Group theatre
미국의 연극운동단체. 브로드웨이의 상업주의에서 탈피하여 미국 연극의 예술성과 내용의 심화를 꾀하였다.
1930년 체릴, 크로포드, 스트라스버그, 클루만 등이 시작하여 그린, 킴즐리, 오데츠, 아드레이 등의 작품을 공연하였다.
*해프닝happening
1950년 말에 발생한 전위연극.
이 연극의 특징은 첫째, 그 내용의 참·거짓과 관계없이 뜻밖의 사건들을 관객에게 보여주는 것이고, 둘째 벌어진 일들의 상황 속으로 관객들을 최대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고급희극high comedy
개성적인 인물의 제시와 지적인 내용을 담은 품위있는 연극.
성격희극, 이념희극, 풍습희극이 이에 속한다.
*히스트리오histrio
원래 아우그스투스시대의 정통극 배우를 의미하였으나 이후 비극·희극·마임 등 모든 연극 배우를 지칭하는 용어. 직업배우.
*인문주의연극humanist drama
16, 17세기 유럽의 인문주의 학교에서 발생한 연극.
주로 학생들에게 라틴어의 실습기회를 제공하려는 목적에서 비롯된 것으로 간결한 대화체를 모방하였다.
*동일시identification
연극비평용어.
① 배우가 자신의 성격과 자신이 분(扮) 등장인물의 성격을 병합시키는 것.
② 관객의 입장에서 무대의 주인공의 감정과 행동에 자신을 일치시키는 경향.
*환상주의illusionism
무대 위에서 최대한으로 환상을 창조해 내는 것을 목적으로 1750년부터 1910년 사이에 나타난 연극을 기술해서 쓰는 연극비평용어.
*앵프롱프튀impromptu
보통 작가가 극작가로서의 자신의 견해를 가볍게 저술한 희곡.
대표적인 것으로 몰리에르의 「베르사이유 앵프롱프튀」, 지로두의 「파리앵프롱프튀」, 이오네스코의 「알마 애프롱프튀」등이 있다.
*즉흥곡improvisation
미리 정해진 행동, 텍스트없이 하는 연극. 주로 배우 훈련을 위해 하는데 관찰 훈련과 개인적 표현법의 탐구 기능을 갖는다.
워크샵이나 오프 오프 브로드웨이에서는 더욱 중요하다.
*인 원, 인 투, 인 쓰리 in one, in two, in three
중간막을 매달 때 쓰는 용어
「인 원」은 첫 번째 윙, 「인 투」는 두 번째 윙 앞의 중간막을 뜻한다.
*내부 프로시니엄inner procenium
개방된 면의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프로시니엄 아치 뒤에 여러 가지 모양으로 만들어 세운 장치.
순회공연을 다닐 때 유용하며 전체가 하나로 된 것이지만 흔히 윗부분은 무대 위가리개, 옆부분은 무대 옆가리개라 부른다.
*인세트inset
① 중앙에 세워놓은 조그만 장면 세트.
② 다락 같은 작은 공간. 전체 장치 내부에 있는 세트.
*세계연극연구협회Institute for Advanced Studies in Theatre Art
세계 연극에 대한 지식을 넓힘으로써 미국 연극을 풍부히 하고 뉴욕의 외국 제작가가 연구회원과 함께 작업하도록 주선한다. 존 미체 박사 부부가 1958년에 창설.
*막간극interlude
짤막한 연극 소품 또는 희곡을 공연하기 전에 공연하는 것.
헤이우드가 독립된 연극 형태로 발전시켰다.
*인테르메조intermezzo
원래는 연극 도중에 춤이나 마임을 삽입하는 것을 의미했으나 이후에는 진지한 극 사이의 짧은 극적, 음악적 공연을 뜻한다.
인테르메조는 희극적 성격과 과장되고 화려한 의상, 사실적 의상을 요구하였다.
이것은 바로크시대에 가장 화려하게 꽃피었다.
*킬Kill
전체 장치에서 하나의 배경이나 소품을 없애는 것.
총연습의 경우에는 그 장치를 일시적으로 또는 아주 빼라는 뜻.
*키친 싱크 드라마kitchen sink drama
중하층의 말투와 거주지를 설정한 연극을 특별하게 일컫는 말.
언론계에서 처음 사용했다.
*램푼lampoon
프랑스어 랑퐁lampens(酒歌)에서 유래한 말로 조잡한 풍자, 풍자문, 풍자시. 보통 짤막하며 한 개인을 공격하기 위한 것이다.
*라조Lazzo
연극의 부차적 사건. 대부분 코메디아 델라르테를 흉내내는 것으로 구성된다.
광대짓, 요술, 기습적인 행동, 익살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본격극legitimate drama
영국과 미국에서 정통연극을 뮤지컬 코미디, 레뷔, 뮤직홀, 오페라 등과 구별하여 지징하던 말.
*레그 쇼leg show
웅장한 뮤지컬 희곡을 지칭하는 속어.
*라이트 에리어light area
왼쪽과 오른쪽에 있는 2개의 스포트라이트가 겹치는 부분. 실내장치는 대개 6개의 라이트 에리어를 가진다.
*대사분석line interpretation
연기자가 글로 씌여진 극중 인물의 대사를 말로 표현하기 위해 숨은 의미를 분석하는 것.
*소극장little theatre
① 약 4백석 미만의 객석을 갖춘 소규모 극장.
② 실험연극, 아마추어 연극집단.
*라이브 팩live pack
한번 사용한 것을 버리지 않고 다시 사용하는 장치.
*로아loa
개막극의 하나. 혹은 초기 스페인 연극의 프롤로그.
*마드리갈 코미디madrigal comedy
배우가 가면을 쓰고 무언의 행동으로 마드리갈을 노래하던 것. 이탈리아에서 성행했다.
*본막main curtain
무대 맨 앞에 설치하는 막. 공연의 시작과 끝. 막간에 주로 사용한다.
*분장make up
무대에 등장할 배우가 극 속의 일정한 인물로 꾸미어 나오는 것.
즉 얼굴부분을 꾸미고, 그 표현도를 높이는 일.
*마리오네트marionette
무대 위에서 조종하게 되어 있는 둥근 전신 인형.
주로 전설을 소재로 하여 벨기에와 프랑스에서 성행하였다.
*가면극masque
원래 변장한 모습으로 선물을 가져오는 손님의 도착을 강조하여 표현한 오락의 한 형태였는데 엘리자베드여왕 이후 영국 궁정에서 널리 유행하였다.
시, 음악, 정교한 의상, 거대한 무대장치, 신화적인 주제와 등장인물 등으로 구성되었다.
대표적인 가면극으로는 셸리의 「평화의 승리」, 밀턴의 「코우머스」등이 있다.
가면극이라는 용어는 1602년 존슨의 희곡「여왕의 가면극Masque of Queen」의 서문에서 최초로 발견된다.
가면극은 1642년 소멸되었으나 오페라 발레, 현대연극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마티네matinee
주간에 갖는 공연.
*멜로드라마melodrama
① 극 중의 사건들을 분류하기 위해 음악을 사용하던 것을 뜻하나 후에는 대중극을 의미한다.
이 용어를 최초로 사용한 것은 1802년 피에레쿠르의 희곡에서 였다.
오늘날 이 용어는 선정적인 사건을 다룬 감상적인 연극을 경멸조로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② 음악이 혼합된 연극. 18세기 이탈리아에서 생겨났다.
*메더드method
직관적 접근에 의한 연기방법. 스타니슬라프스키가 주창하였으며 1930년대 미국의 그룹. 디어터가 이 방법을 채택, 맥터스 스튜디오가 이를 시도한 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메자닌 플로어mezzanine floor
중이층 마루로 마자린 플로어라고도 한다.
요정이나 악마의 등·퇴장을 맡은 사람이 머무는 무대 밑의 공간.
*마임mime
떠돌이 약장수, 곡예사, 요술쟁이, 배우들로 구성된 대중취향의 외설적이고 저속한 공연.
최초의 마임극들은 B.C 5세기경 소프론과 에피카르모스에 의해 창작되었고, 고전희극은 마임극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현대적인 배우 훈련에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미모스mimos
시정의 사소한 일을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짧은 극.
이 극은 소프론에 의해 시작됐다.
*민스트럴minstrel
① 11세기에 나타난 직업적 광대.
종교극의 발달에 기여하였으며 후에는 영국과 프랑스의 문학적 연극을 만드는 데도 기여하였다.
마술사, 곡예사, 인형극사, 동물사육사 등이 여기에 속하며 오늘날 서커스나 뮤직홀의 연주자로 활동하고 있다.
② 현대극 민스트럴 쇼는 흑인 노래와 세익스피어 희극과 오페라를 혼합한 형태이다. 1840년부터 1880년 미국에서 대단한 인기를 누리기도 했다.
*미장세느mise-en-scene
모든 국면, 극적 해설, 연출 지시, 무대장치, 음악, 기술적 장비 등을 총동원하여 희곡을 무대위에 현실화하는 것.
*미스 캐스트miss cast
잘못 정해진 배역
*모무스momus
조소의 신으로 광대를 뜻함.
*모노드라마monodrama
짤막한 독연(獨演)소품. 등장인물의 무언에 의해 진행되며 18세기 독일에서 유행하였다.
주로 배우의 명연기를 위한 소품으로 쓰였다.
*모놀로그monologue
무대 위에서 한 배우가 혼자서 또는 다른 등장인물의 존재여부에 관계없이 자신의 생각을 소리내어 말하는 것.
*도덕극morality play
중세의 연극형태의 하나로 미덕, 악, 우정 등의 추상적 개념을 적용한 우의극.
영국연극에서 인물성격의 개념을 확립시키는데 기여하였다.
대표적인 도덕극으로는 「인내의 성」, 대드윌의 「풀젠스와 루크리스」등이 있다.
*현대극morden theatre
근대극이 현대 사회의 복잡한 현상의 실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자 그 반발로 나타난 20세기 새로운 극운동의 총칭.
아리스토텔레스 계통의 극개념에 반대했다.
*무브먼트movement
소설이나 희곡에 있어 사건이 진행되는 과정.
*복식장치multipe setting
중세 연극의 무대장치.
여러 주택이 연결되어 있어 배우가 행동의 멈춤없이 자유자재로 옮겨다닐 수 있게 한 장치.
*무언익살극mummery
가장(假裝).
*가장극mumming play
영국의 원시 민속극. 분석보다는 명상을 소재로 한 것.
지방에 따라 여러 가지 변형된 형태가 많지만 플롯과 대사는 매우 흡사하다.
*뮤지컬 코미디musical comedy
19세기 말 영국과 미국에서 발생한 가벼운 대중 오락물.
벌레스크, 뮤직홀, 오페라, 레뷔 등이 혼합된 것.
*뮤지컬 드라마musical drama
주로 영국과 미국에서 발달한 것으로 정통연극에 노래와 무용을 유기적으로 삽입한 극.
*신비극mystery play
중세 종교극으로 부활절 예배의식에서 발생하였는데 이후에 성체축일에 공연되었다.
주요 내용은 예술부활의 극화로부터 발전, 구약·신약성서의 모든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노마키아naumachia
무언의 연극적인 모의 해전. 고대 로마의 대중오락으로 BC46년 시저가 최초로 시도하였다.
물이 넘치는 원형무대와 타이버 강둑에서 공연되었다.
*네오 클래시즘neo-classicism
17, 18세기 유럽에서 발생한 예술형식으로 그 형식이나 법칙면에서 고전주의를 표방했다.
*넌센스 코미디nonsense comedy
좋은 의미로 기상천외한 코미디, 나쁜 의미로 터무니 없는 희극.
*오프 브로드웨이off broadway
브로드웨이 상업 연극에 반대하는 일부 뉴욕 연극.
문학적 가치가 높고 사회성이 짙은 작품을 공연한다.
*오프 오프 브로드웨이off-off-broadway
오브 브로드웨이 연극에서 벗어난 뉴욕연극.
오프 브로드웨이보다 예술적, 정치적으로 더욱 극단적인 경향을 가졌다.
대표극단으로는 셰크너의 「퍼포먼스 그룹」, 포어맨의 「존재론적 히스페리 극단」등이 있다.
*단막극one act play
극 구성을 여러 막으로 분리시킨 것이 아니라 한 장면에서 전개되는 극.
*개방무대open stage
객석이 3면으로 둘러싸인 무대. 어리너 무대라고도 하며 엘리자베드 시대의 덧무대에서 유래되었다.
현재 지어지고 있는 다목적 극장들은 모두 개방무대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오페레타operetta
희극적 요소와 낭만적 요소를 가진 근대극의 하나.
가벼운 코미디에 노래와 춤과 대사를 곁들인 음악극이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천국과 지옥」「복카치오」「박쥐」등이 있다.
*오라토orator
극단의 배우 중에서 포스터를 작성하고, 공연이 끝난 후 관객들에게 예고를 하며 지위가 높은 관객에게 찬사를 보내고 수입에 대한 공고도 하는 재능있는 배우
*오케스트라 피트orchestra pit
무대 앞 밑에 오케스트라가 있는 지역.
*창작극original play
원래 처음부터 희곡으로 쓰여진 작품을 의미하였으나 통속적으로는 우리나라 작가들이 쓴 글을 의미한다.
*야외극outdoor drama
실외에 무대를 가설하여 공연하는 연극.
*오버 헤드 머신over head machine
굴절반사를 이용하여 무대의 효과를 높여주는 효과기. 여러 판을 삽입하여 다양한 효과를 표현한다.
*오버 랩over lap
조명이 켜 있는 상황에서 다른 조명이 켜지면 먼저의 조명이 서서히 사라지는 것.
*수난극passion play
부활절극에서 발전한 중세 중교극의 하나.
가장 중요한 초기 작품은 1350년 고대 프랑크푸르트의 수난극이었다.
*목가극pastoral drama
목동들의 단순한 생활을 읊은 전원시를 기초로 한 희곡 장르의 하나.
고대 그리스에서 발생하여 영국의 후기 소설과 희곡의 근원이 되었다.
*판토마임pantomime
① 로마제국 때에 특수한 배우를 뜻함.
코러스가 해설을 하는 동안 새, 동물, 폭풍우, 돌, 홍수 등을 행동으로 표현했다.
② 고전 신화에서 소재를 택한 18세기 발레.
③ 영국의 전통 크리스마스 오락.
④ 무언광대극.
⑤ 무언극의 멜로드라마.
⑥ 대규모 장면과 곡예가 혼합된 것.
⑦ 연기나 무용에서 특수장면들을 일컫는 말.
*패러독스parodos
그리스 연극의 형식적 구성요소로 코러스가 오케스트라로 입장하면서 부르는 노래.
*패스도어pass door
객석에서 무대 양쪽과 무대 뒤로 통하도록 프로시니엄 벽에다 만든 문.
*피에로pierro
천진난만하고 서투르며 희극적이고 감상적인 인물로 원래는 코메디아 텔라르테에서의 등장인물을 가리켰다.
*피트pit
무대바닥 보다 낮은 부분으로 엘리자베드시대의 「투계장cokpit」에서 유래된 말로 오늘날에는 연극 용어로 거의 쓰지 않는다.
*희곡play
연기를 위하여 씌여진 작품으로 비극, 희극, 소극(笑劇), 극시(劇詩)등으로 구분된다.
*제작자producer
① 미국에서는 연극 제작에서 경제적인 면을 맡은 사람.
극장 대관, 배우의 스탭의 고용, 희곡타협, 영수증 처리 등을 담당했다.
② 영국에서는 희곡의 해설과 연습지도를 맡은 사람이다.
*정치극political theatre
정치적 내용을 다룬 극으로 항상 정치적 암시가 깔려있다.
정치극 출연은 보다 큰 사상적 자유를 위한 투쟁의 시대에 기초를 다졌으며 주문제점은 올바른 관객을 찾는 일이다.
*프로그램programme
관객을 위한 인쇄 자료로 극의 제목, 작가, 배역 등을 기록한다. 18세기 중반 이후 유럽의 극장에서 사용되었다.
18세기에는 입장료, 공연시간, 차기공연 예고 등을 수록했으며 오늘날은 배우의 일대기나 역사적인 사건 등을 표시하기도 한다.
*프롤로그prologue
연극의 행동이 시작하기 전에 하는 말.
한 명이나 여러 명의 배우가 등장하기도 하고 때로는 소개를 위해 짧은 연극을 행하기도 한다.
*프롬프터prompter
극장 등에서 배우에게 큐를 주고 잃어버린 대사를 무대 뒤에서 불러주는 사람.
*프로니시엄proscenium
사진틀 모양의 개방 프레임. 현대 극장의 개구부로 관객들은 이것을 통해 무대를 본다.
*인형극puppet theatre
넓게는 움직이는 배우가 등장하지 않는 여러 형태의 극을 의미하며 그림자극, 장난감극, 자동인형을 조작하는 기술적인 극 등이 있다. 좁게는 조작하는 인형의 종류에 따라 사인형극(絲人形劇), 지인형극(指人形劇), 그림자인형극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순수희극pure comedy
심각하거나 풍자적 요소가 전혀 없는 희곡. 대표적인 작품으로 세익스피어의 「십이야」가 있다.
*라사rasa
산스크리트 영국의 특수 용어. 일종의 시적 감정을 칭함.
산스크리트 연극의 핵심적인 연극론이며, 연극의 목적과 효용을 보편적으로 탐구하는 입장에서 볼 때 아리스토텔레스의 카타르시스론과 비교할 만하다.
*리액션reaction
다른 연기자의 대사나 행동에 대해 반사적 작용으로 나타나는 연기.
*낭동극readers theatre
동작없이 주로 출연자의 화술에 의존하는 극.
*리딩reading
연극연습의 기초단계로 극본을 읽는 과정.
*사실주의 연극realism
19세기 후반 낭만주의 연극에 대항하여 유럽에서 나타난 현대연극의 하나.
일체의 인위성 배제, 있는 그대로를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극작, 연출, 연기 및 무대제작 방식 상의 태도.
*빨간코 코메디언red-nosed comedian
저속한 희극배우.
*연출대본regie buch
연출사의 작품해석. 무대처리에 대한 세부계획이 자세히 기록된 글.
*리허설rehearsal
한 공연에 참여한 여러 부문의 예술가들이 연출가의 통제하에 각자의 예술적 의도를 실현하고 상호 조정하는 과정.
*레페르트와르repertoire
예정된 공연의 배역이나 작품 목록. 예정 시즌의 프로그램 일 수도 있다.
*레퍼터리repertory
한 극단이 공연 예정작품을 공연 마지막회까지 동일 작품을 계속해서 올리는 것을 벗어나 작품을 바꾸어가며 공연하는 것을 레퍼터리 방식이라고 한다.
*복고시대극restoration drama
영국 찰스 2세의 복위 후 왕정복고 시대에 쓴 극을 지칭하는 말.
자유로운 형태와 퇴폐적인 내용이 특징이며 주요작가로는 드라이든, 밴브러, 파르큐하 등을 들 수 있다.
*회전무대revolving stage
자유자재로 이동이 가능한 원형덧마루로 빠른 시간내에 장면변화를 하는데 효과적이다.
1490년 레오나르도에 의해 사용되었고, 1896년 뮌헨에서 사실주의 연극 가운데 빠른 장면·변환을 위해 현대 유럽연극에 흡입되었다.
*레뷔revue
일련의 촌극, 노래, 춤 등을 허술하게 구성한 일종의 연극. 영국에서는 코르넬르, 샬로트, 부트, 커크란 등에 의해 발전되었고, 독일에서는 특히 1920년대 베를린에서 유행하였다. 미국에서는 뮤지컬 쇼의 형태로 발전되었다.
*기사극ritter drama
질풍노도주의의 한 부류로 봉건연극이라고도 한다.
산문이고 형태가 불규칙하며 강한 욕망과 관습에 대한 경멸이 주 테마이다. 오스트리아에 흘러 들어가 크게 성행하였다.
*로프극장rope house
플라이 플로어에서 배경을 올릴 때 손낚시줄을 사용하는 극장. 수동식 극장.
*로스트럼rostrum
무대 위에 놓이게 되는 크고 작은 덧마루.
*세인테sainete
17∼19세기 스페인 짧은 희극적 막간극. 보통 막과 막사이 혹은 장막극의 끝에 공연되었다.
*모래주머니sandbag
장치나 막에 매달기 위해 모래를 넣어 만든 무거운 주머니
*산스크리트 연극sanskrit drama
인도의 고전 연극. 1500년 전에 성립된 연극으로 보통 제례, 궁중혼례 등 특별한 경사와 의식 때 행해졌다.
종교적 환경에 바탕을 둔 극으로 인도 고대인이 만들어낸 최고의 예술품이다.
*풍자극satiric drama
풍자적 내용이 담긴 연극이나 희곡.
희극적 조소가 도덕적 엄숙성에 의해 억제되고 풍자가 되는 진지한 내용의 극.
*사보이 오페라savoy opera
영국 런던의 사보이 극장에서 공연된 희가극을 지칭하는 용어.
*장scene
무대 또는 극을 막과 장으로 구분할 때의 극의 한부분을 지칭하는 말.
보통 등장인물의 등·퇴장 사이의 간격을 의미한다.
*시나리오scenario
원래 코메디아 텔라르테를 위한 대강의 구성을 의미하였으나 지금은 영화대본을 말한다.
장면 장면의 행동, 행동의 위치, 특수효과 등을 기록한다.
*세트 워터set waters
호수, 강, 바다로 나타내는 무대바닥의 장치물.
*그림자극shadow play
인형의 움직이는 모습을 뒤에서 비추어 종이 스크린에 투사하는 인형극의 한 종류.
극동에서 발생하여 중동·근동 지역으로 전파되었다.
터어키에서는 카라고즈의 형태로 발전하여 대중 민속연예의 하나가 되었다.
라이닝거가 제작한 동화영화 속의 움직이는 영상이 이 형태의 재현이며, 기술면에서는 만화화의 선구라 할 수 있다.
*위치변경shift
배경, 소품, 조명기구 등을 세우고 스트라이크하는 과정이나 어떤 물건의 위치를 바꾸는 것.
*시파리움siparium
전면막과 배경막. 휴대용으로 원래는 무언극 배우들이 사용했다. 옆으로 끌거나 위로 당기어 조종했다.
*슬라이딩sliding
롤러에 부착된 낮은 덧마루. 무대 양쪽에 트랙이 있어 두 개의 슬라이딩 무대 가운데 하나는 공연에, 또 다른 하나는 공연장치물을 세우는 데 쓴다.
*슬립스slips
18, 19세기에 쓰인 용어로 2층 객석의 맨 앞자리.
*슬로트slote
길다란 장치를 지하에서 무대높이까지 들어올리는 기구로 배우 운반에도 쓴다.
무대의 세 부분에 슬로트를 두 개씩 마련하면 6개의 장면을 만들 수 있다.
*스노우 머신snow machine
효과기의 하나로 나뭇잎이나 꽃잎이 떨어지는 장면에서 사용한다.
*소우프 오페라soap opera
비누회사에서 처음 한 것으로 낮에 주부들을 대상으로 내보내는 연속방송극, TV극.
*속크sock
광의로 희극을 의미하며 협의로는 희극배우가 신는 가볍고 부드러운 구두를 뜻한다.
*사회문제극social problem play
특정한 시대 혹은 사회의 현실적 문제를 표현한 극.
대표적인 것으로 입센의 「인형의 집」이 있다.
*송 에 루미에르son et lumiere
조명, 음악, 극화된 설명이 혼합된 연예로 1950년대 르와르궁에서 최초로 공연하였다.
*소티sotie
15, 16세기 프랑스의 시사적 풍자극.
주인공 「소트sot」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막간극으로 공연되었다.
대표작가로는 그렝고르와 부셰이다.
*스페셜special
특수 등장인물이나 특수 부위에 초점을 맞춘 스포트 라이트.
특별한 사건이 일어났을 때 사용한다.
*장경spectacle
연극에서의 시각적인 요소.
*스피치speech
① 대사.
② 발성법.
발성은 연극에 있어서 가장 활력적 요소이며, 배우의 발성은 극작가가 생각하고 있는 성격을 보여주는 것이 된다.
*스탭staff
연출자를 포함하여 연기자를 제외한 연극을 만드는 극단원들.
*무대stage
① 배우가 관객 앞에 나타나는 공간.
② 연극 대본을 제외한 연기와 연극제작 모두를 일컫는 말.
③ 1939년 9월에 창간된 연극전문지.
*스테이지 크로우stage crow
무대감독의 지시에 따라 무대운영을 돕는 사람.
*스테이지 키퍼stage-keeper
무대 청소 등의 일을 맡은 사람.
*조명stage lighting
무대효과, 촬영효과를 높이기 위해 광선을 사용하는 일이나 그 광선.
16세기 이후 옥외에서 하던 공연을 실내로 옮기면서부터 인위적인 무대조명을 사용하였다.
*무대감독stage manager
배우와 요원을 포함한 무대 뒤의 모든 책임을 맡은 스탭을 가르킨다.
*스탠드 바이stand-by
큐를 받은 즉시 연기를 표현하기 위해 준비하는 것.
*스타니슬라프스키 시스템stanislavsky system
소련의 스타니슬라프스키의 연극 이론. 기교적인 감정표현 거부, 등장인물의 심리적, 신체적 행동의 구성을 내적으로 파악하는 것으로 배우성을 체계화하였다.
*스타 시스템star system
스타를 중심으로 연출하는 연극 흥행 방법.
*스티코미티아stichomythia
한 줄 건너서 쓰는 형식의 대화.
주로 그리스 희곡에서 열띤 논쟁 장면에서 등장인물들은 운문 1구씩을 말한다.
*스트라이트strite
무대상에 올려진 장치들을 치우라고 무대감독이 명령하는 것.
막간에 스트라이트를 부르면 다음 막을 위한 장치를 새로 세우라는 뜻.
*스트립 라이트strip lights
길다란 금속 후드 속에 넣은 일렬된 전구들. 보더, 옆가리개, 바닥 등 여려곳에 놓는다.
*시투름 운트 드랑Sturm und Drang
1770∼1780년 무렵 독일에서 일어난 문학·연극운동으로 클링거의 「시투름 운트 드랑」에서 따온 말이다.
격렬한 감정 강조, 개성존중, 천재를 이상적 인간상으로 보는 한편 민요와 민화 등 민속 예술의 발전에 힘썼다.
이 운동의 대표작가들로는 클링거, 렌쯔, 라이제비츠, 뮐러 등이 있다.
*드림막tab
중간막에서 약간 전면무대 쪽으로 나온 막.
*불러내기take a call
관객 앞에 배우가 나와서 인사하는 것.
*사부작tetralogy
① 고대연극에서 비극 3편과 사티로스극 1편을 합친 사부극.
② 통일된 주제를 가진 4개의 연속극.
*세계연극제Theatre des Nations
1954년 발족된 국제연극제. 매년 봄 파리에서 개최되어 각국의 극단들이 수준높은 공연을 선보인다.
*잔혹극theatre of cruel
관객들을 극 속에 몰입시켜 등장인물과 동일시한 상태가 놓이게 하다가 막을 내렸을 때 다소 변화된 모습으로 돌아가게 하는 연극.
이 용어는 아르토가 최초로 사용하였다.
*괴기극theatre of the grotesgue
어둡고 과장되며 난폭한 분위기에서 전개되는 희곡의 한 형태.
이타리아어 grotto에서 유래된 말로 르네상스시대에 프레스코벽화가 발견됨으로써 괴기주의에 대한 흥미가 움텄다.
괴기극은 희비극의 형태를 취하며 스트린드베리, 베데킨트, 시테른하임등의 표현주의 연극에서 보인다.
*디어터 유니온theatre union
1932년 뉴욕에 발족한 협동체제의 연극기구. 싼 입장료와 실업자의 무료입장을 시도, 사회적 주제와 정치적 급진주의를 시도한 그 당시의 희곡을 공연, 지원했다.
*목적극thesis play
한 집단이나 사회의 이념을 고취하려는 목적으로 쓰여진 극.
*장난감극toy theatre
두꺼운 종이를 재료로 만든 축소된 연극. 1810∼1860년 영국에서 유행되었으며 연극사에서 독특한 양식을 지닌 극이다.
*비극tragedy
극의 기본적인 2대 장르 중의 하나.
어원은 그리스어 트라고이디아tragoidia이며 BC 6세기 경부터 시작되었다.
주로 인생의 불행을 제재로 파멸의 결말로 이끄는데 모순·대립 등이 전개되어 비장미를 불러일으키는 내용이다.
그리스 3대 비극작가로는 이스퀼로스, 유리피데스, 소포클레스이다.
*희비극tragicomedy
희극적 요소와 비극적 요소가 합쳐진 극으로 비극의 절정에서 행복한 장면으로 전환되어 막이 끝나는 희곡의 하나이다.
이 희비극에서 그 효과가 상황이나 사건에 비중을 둔 것을 객관적 희비극, 인물이 사물의 세계를 체험하는 방법에 의존하는 주관적 희비극, 사건의 객관적 상황이나 인물의 주관적 성질과의 관계에서 오는 상대적 희비극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변환장면transformation scene
관객들 눈에 장면이나 인물이 눈깜짝 할 사이에 변하는 장면.
무언극의 끝부분에서 볼 수 있다.
*신파극transpontine melodrama
① 19세기 중반, 런던 극장에서 공연된 매우 잔인한 연극.
② 일본 가부끼에 대항한 새로운 연극을 지향한 연극.
*시험흥행try-out
새 희곡이나 제작물 등을 대도시에서 개막하기 전에 지방에서 시험적으로 하는 공연.
원래는 관객 앞에서의 무대 총연습으로 관객의 반응을 분석하는 시연을 의미했다.
*뱀프 트랩vamp trap
단단한 장치 사이로 배우가 지나갈 수 있도록 만든 기구.
*버라이어티variety
노래, 춤, 토막극 등이 다양하게 구성된 혼합 연예.
*웰well
무대 밑에 있는 지하실. 극장 음악가들의 편의를 위한 오케스트라웰을 무대의 앞과 아래에 두었다.
*잘 만들어진 글well-made play
19세기 프랑스의 부르조와 연극, 특히 스크리브와 사르두의 작품을 모방한 연극. 지금은 경멸적인 장면에서 사용된다.
*바람소리wind machine
효과기의 하나로 폭풍우의 효과를 내기 위해 무대 옆에 설치한 나무드럼이나 원통.
*워크샵workshop
극장, 연출, 연기 및 디자인 등의 학습지식을 실제 상황에 대조해보는 것.
*이디시극yiddish theatre
중세 이후 이디시어나 헤브라이즘어로 쓰여진 희곡.
1917년 혁명 당시까지 존립의 위협을 받았으나 1887년 골든베이든을 비롯한 많은 예술가들이 뉴욕으로 이주하면서 발전하였다.
*요술환상곡zauberstuck
요술 풍자극이나 오페라 등에 사실적·환상적 요소를 혼합하여 만든극.
특히 오스트리아에서 유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