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음악정보

앞으로 열릴 국제음악콩쿨 어떤 것이 있나




이인해 / 시인·월간「객석」편집부장

음악콩쿨의 역사는 상당히 오래된 것으로 짐작된다. 고대 올림피아 경기에 음악부문이 있었다고 문헌상에 나타나고 있고, 13세기 유럽에서는 마네징거의 「노래경기」가 성행하기도 했다. 그러나 오늘날의 콩쿨제도가 정착되고 성행하기 시작한 것은 1, 2차 대전후의 최근의 일이다. 각 나라마다 크고 작은 콩쿨이 수없이 많고 음악도들은 이 콩쿨을 통해 음악의 성취도를 가꿔나가고 있다.

그렇지만 국제적 인정을 받고 있는 콩쿨은 나라마다 그 수없이 많은 콩쿨 중에서 1백여 개 안팎이다. 문화예술이 한나라의 국력을 가름할 정도가 된 이즈음, 이 국제콩쿨에서 인정받기란 그만큼 어려워졌고, 그런 만큼 개인의 노력은 물론 국가적인 차원의 지원도 절실해지고 있다. 그 한 예로 일찍이 일본에서는 지금 세계적 지회자가 된 세이지 오자와를 그의 출신학교 도쿄음악원에서 키웠고, 또 국가에서 적극 지원해 주었다.

이제 우리도 스포츠의 올림픽만 할 것이 아니라, 국가적 차원에서의 문화예술 지원도 구체적이고 적극성을 띠어야 할 시점에와 있다고 생각된다. 어느 분야에서든 국제적 인정을 받는다는 것은 이미 개인을 떠난 문제이다. 더구나 예술에 재능있는 젊은 재원들을 많이 확보하고 있는 입장에서는 그들을 적극 지원하여 국력의 자랑으로 키워야 할 것이다. 이런 생각에서 현재 국제적 비중이 높은 국제음악콩쿨의 이모저모를 살펴본다.

제9회 차이코프스키 국제콩쿨 CONCOURS INTERNATIONAL TCHAIKOVSKY

소련의 모스크바에서 4년에 한번씩 열리는 국제콩쿨로 1958년에 제1회가 개최되었다. 처음에는 피아노와 바이얼린 두 종목뿐이었지만 1962년 제2회 때 첼로가 첨가되고, 1966년 제3회 때 성악이 추가되어 현재는 4개 부문에 걸쳐 시행된다.

연령제한은 기악의 경우 17세에서 32세까지이며, 성악은 18세에서 34세까지이다. 그리고 과제곡 속에 예선과 본선 포함해서 반드시 차이코프스키의 곡이 부과되며 심사는 공개로 하고 연주는 암보로 해야 한다.

그동안 입상한 주요 연주자는 1958년에 피아노 부문 반 클라이번(미국, 1등), 1962년에 존 오그돈(영국, 1등),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소련, 1등), 1966년에 그레고리 소로코프(소련, 1등), 미샤 더히터(미국, 2등), 1970년에 블라디미르 클라이네프(소련, 1등), 존 릴(영국, 1등), 1974년에 안드레이 가브릴로프(소련, 1등), 스타니슬라브 이고린스키(소련, 2등), 정명훈(한국, 2등), 1978년에 미하일 프레토뇨프(소련, 1등), 파스칼 드봐이용(프랑스, 2등), 앙드레 라프란트(캐나다, 2등), 1986년에 배리 더글러스(영국, 1등) 등이다.

바이얼린에서는 1958년에 발레리 크리모프(소련, 1등), 1962년에 보리스 구프니코프(소련, 1등), 1766년에 빅토르 프레차코프(소련, 1등), 하야다(일본, 2등), 올레그 카간(소련, 2등), 에릭 프리드만(미국, 6등), 1970년에 기돈 크레머(소련, 1등), 1974년에 루벤 아가로니안(소련, 2등), 루스단 크바사리아(소련, 2등), 유진 표도어(미국, 2등), 1978년에 일리야 그루베르트(소련, 1등), 엘머 올리베일라(미국, 1등), 1982년에 빅토리아 뮬로바(소련, 1등) 등이다.

첼로 부문에서는 1962년에 나탈리아 샤호프스카야(소련, 1등), 1966년에 카리네 게오르기안(소련 1등), 1970년에 다비드 게린가스(소련, 1등), 빅토리아 야그링그(소련, 2등), 이와자끼 (일본, 3등), 1974년에 보리스 페르가멘시코프(소련, 1등), 1978년에 나다니엘 로젠(미국, 1등), 후지하라(일본, 2등) 등이다.

성악 부문에서는 1966년에 제인 마쉬(미국, 1등), 블라디미르 아틀란토프(소련, 1등), 1970년에 엘레나 오브라스초바(소련, 1등), 타마라 시냐프스카야(소련, 1등), 에프게니 네스테렌코(소련, 1등), 니콜라이 오그렌치(소련, 1등), 1974년에 이반 포노마렌코(소련, 1등), 실비아 샤슈(헝가리, 2등), 1978년에 루드밀라 셈추크(소련, 1등), 루드밀라 남(한국계 소련인, 2등) 등이다.

제 7회 대회는 1990년 7월 14일부터 7월10일까지 열리며, 신청마감은 1990년 1월15일까지이다. 입상자 상금은 총 5만 3천 루블이며, 피아노, 바이얼린, 첼로에 8개의 상과 4개의 디플롬 증서가 수여되고, 성악에는 6개의 상과 2개의 디플롬 증서가 수여된다. 그리고 각 부문 3등까지 소련에서 순회연주가 있고, 참가자의 체류비는 물론 동반 반주자의 체류비와 돌아갈 때의 비용까지 주최측에서 모두 부담한다.

지난 1986년에 미국 거주 한국 유학생들이 여러 명 참가했으나 예선에서 모두 탈락, 그만큼 수준높은 국제콩쿨이다.

연락처 : Comite dorganisation du Concours international Tchaikovsky,

15, rue Neglinnaya, Moscou, URSS

전화번호 : 299 45 61 또는 299 28 92 telex : 411124 koncr SU.

제44회 쥬네브 국제음악콩쿨CONCOURS INTERNATIONAL D'EXECUTION MUSICALE

뭔헨 국제음악콩쿨, 차이코프스키 국제음악콩쿨과 더불어 세계 최고의 콩쿨 중의 하나로 1939년에 제 1회 대회가 열렸다.

연령제한은 기악 부문은 15세부터 30세까지이며, 성악은 여성이 32세, 남성은 34세까지이며, 앙상블도 이에 준한다. 매년 모든 종목에 걸쳐서 개최 하나 1979년부터 피아노와 성악이 1년 교대로 열린다.

오랜 전통의 최고의 콩쿨이므로 입상자들 역시 화려하다. 주요 입상자를 부문별로 살펴보면 피아노에서 1939년 제 1회 때 아르투로 베네디티 미켈란젤리(이탈리아, 1등), 1941년에 게오르그 솔티(헝가리, 2등, 1942년에 재도전 1등), 1946년에 프리드리히 굴다(오스트리아, 1등), 1952년에 잉글리드 헤블러(오스트리아, 2등 1953년에 재도전 2등), 1955년에 가브리엘 타키노(프랑스, 2등), 1957년에 마르타 아르게르히(아르헨티나, 1등), 1957년에 마우리치오 폴리니 (이탈리아, 2등, 1958년에 재도전 2등), 1959년에 마이클 폰티(미국, 2등), 1968년에 장 클로드 팡티에(프랑스, 2등), 1976년에 타티아나 세바노바(소련. 1등)등이 있다.

바이얼린에서는 1945년에 미셀 오클레르(프랑스, 1등), 1965년에 장 자크 캉트로프(프랑스, 2등), 1980년에 아니크루생(프랑스, 2등) 등이 있으며, 비올라에는 1948년에 파을 루카치 (헝가리, 2등), 1972년에 아타르 알라드(이스라엘, 1등), 1977년에 아나벨라 차베스(포르투갈, 1등) 등이 있다.

첼로에서는 1946년에 안토니오 야니그로(이탈리아, 2등), 1971년에 보그미라 레스케(폴란드, 공동 1등), 정명화(한국 공동 1등), 1979년에 프랑스와 기유예 (프랑스, 1등) 등이 있고, 콘트라바스에서는 1969년에 권터 크라우스(서독, 2등), 1973년에 이반 코토프(소련, 1등) 등이 있다.

플룻에서는 1939년에 앙드레 지오네(프랑스, 1등), 1942년에 오렐 니콜레(스위스, 1등), 1954년에 막상스 라류(프랑스, 2등), 1969년에 김창국(제일한국인, 2등), 1978년에 이레나 크르스티치 그라페나우아(유고, 1등) 등이 있다.

성악에서는 1947년에 빅토리아 데 로스앙헬레스(스페인, 1등), 1952년에 미셀 세네샬(프랑스, 1등), 1958년에 엘리 아멜링(네덜란드, 1등), 1964년에 호세 반 담(벨기에, 1등), 1970년에 리아 보렌(벨기에, 1등), 1978년에 마르가레타 하베리넨(핀란드, 1등) 등이 있으며, 이밖에도 오보에, 클라리넷, 바순, 호른, 트럼펫, 트럼본, 하프, 오르간, 타악기, 기타, 지휘 등에서 정상급 연주자들이 대거 이 콩쿨 입상자들이다.

금년도 제44회 대회는 8월 31일부터 9월 16일까지 열리며 개최 종목은 피아노, 트럼본, 기타, 오보에 등이다. 입상자 상금은 총 13만 스위스프랑이 지급되며, 스위스 로망드 오케스트라, 그레노블 목관앙상블과의 협연의 결승전으로 디스크와 라디오 방송에도 참여한다. 이밖에도 음악회에 출연하게 된다.

1987년도 우승자는 여성 성악 1등에 마리아 더아코누 Maria diaconu(루마니아), 남성 성악 1등 없는 공동 2등에 요한르네 슈미트 Johan-Rene schmidt(덴마아크)와 가쯔노리 고노 Katsunori Kono(일본)가 차지, 트럼펫에는 오레 에드바르트 안토센 Ole edvard antonsen(노르웨이)이 1등, 바순에서는 앤더슨 엔그스트렘Anders Engstrom(스웨덴)이 1등, 비올라에서는 쟈오 홍 메이 Hong-Mei Xiao(중공)가 1등을 차지했다.

1989년에는 성악 부문, 1990년에는 피아노, 콘트라바스, 클라리넷, 바이얼린 종목 콩쿨이 열린다.

연락처 : Secretariat du CIEM, 12. reu de 1'Hotel-de-Ville

CH-1204 Genfve, Suisse

전화번호: (022) 28 62 08.

제37회 뮌헨 국제음악콩쿨

CONCOURS INTERANTIONAL DE MUAIQUE DE L'ARD, MUNICH

1952년에 창설된 콩쿨로 매년 갖가지 종목에 걸쳐서 시행한다. 1972년까지는 피아노와 성악이 매년 개최되었고, 그밖에 현악기와 관악기는 매회 각기 한두 종목씨 추가되었고 또한 매년 실내악 부문이 반드시 하나씩 추가되었다. 1973년부터는 피아노와 성악이 1년씩 교대로 열리고 있다.

연령제한은 종목에 따라 각기 차이가 있는데, 기악이 17세부터 30세까지, 성악이 20세부터 30세까지, 앙상블은 멤버에 따라 35세까지도 허용하나 대체로 17세부터 32세까지이다.

그동안 주요 입상자를 살펴보면 피아노부문에서 1952년에 쿠르트 바우어(서독, 1등), 1954년에 잉글리드 헤블러(오스트리아, 1등), 1958년에 마이클 폰티(미국, 2등), 1962년에 크리스토프 에센바하(서독, 2등), 1968년에 안느 쿠웨켈레크(프랑스, 1등), 1973년에 제임스 토코(미국, 1등), 정명훈(한국 2등), 1979년에 한스 코리스찬 빌레(서독, 1등), 1982년에 서혜경(한국, 2등) 등이다.

성악에서는 1960년에 테레사 첼리스 갈라(폴란드, 3등), 1966년에 일리에라 코르투바스(루마니아, 1등), 1968년에 제시 노먼(미국, 1등), 1974년에 마가레트 마셜(영국 1등), 1976년에 이반 콘스로프(불가리아, 2등), 1984년에 마리아 루소(소련, 1등) 등이다.

바이얼린에서는 1953년에 이고르 온짐(유고, 1등), 1956년에 에디트 파이네만(서독, 1등), 1966년에 콘스탄티 쿨카(폴란드, 1등), 1977년에 유진 사루브(루마니아, 3등), 1984년에 다꾸미 구보다(일본,1등), 크리스찬 데출라프(서독, 2등) 등이다.

비올라에서는 1962년에 헤르만 포스(서독, 3등), 1971년에 블라디미르 스토피체프(소련, 1등), 1976년에 유리 바슈메트(소련, 1등), 1980년에 요하네스 프리다(오스트리아, 2등) 등이다.

첼로에서는 1957년에 레슬리 파르나스(미국, 2등), 1977년에 안토니오 메네세스(브라질, 1등), 1982년에 조영창(한국, 1등 없는 2등) 등이다.

플룻에서는 1960년에 파울 마이젠(서독, 1등), 1960년에 미셀 데보스트(프랑스, 2등), 1964년에 파울라 실베스터(미국, 2등), 1974년에 로스비타 스테게(서독, 2등) 등이다.

오보에서는 1961년에 하인츠 홀리거(스위스, 1등), 1967년에 모리스 부르고(프랑스, 1등), 아나톨리 류비모프(소련, 3등)등이다.

클라리넷에서는 1957년에 에드몽 블랑제(프랑스, 1등), 1962년에 칼 라이스터(서독, 2등) 등이다.

트럼펫에서는 1963년에 모리스 앙드레(프랑스, 1등), 1971년에 쟈니스 마샬 코흐만(미국, 2등) 등이다.

이밖에도 이 콩쿨에서는 호른, 오르간, 바순, 클라브생, 기타, 2중주, 현악 4중주 등에서 일급 연주자들을 대거 배출시켰다. 이 대회의 입상자 총 상금은 1987년에는 14만 4천 마르크였으나 1988년에는 18만 8천 마르크이다.

1987년도에 개최된 제36회 대회에서는 피아노 부문 1등 없는 공동 2등에 리카르도 크스트로Ricardo Castro(브라질), 베른트 글렘서 Bernd Glemser가 차지했고, 클라리넷에서는 1등 없는 2등에 안나 마야 코르시마Anna-Maja Korsimaa, 오르간에서는 공동 2등에 하이디 엠메르트 Heidi Emmert(서독), 마르틴 샌더 Martin Sander(서독), 현악 4중주에서는 공동 2등에 파리 11 콰르텟 Paris 11-Quartett(프랑스), 페터슨 콰르텟 Petersen-Quartett(동독)가 각각차지했다.

제37회 대회는 1988년 9월 6일부터 23일까지 개최되며, 경연 종목은 성악, 바이얼린, 호른, 플룻, 피아노와 현을 위한 트리오 등이다. 신청마감은 1988년 7월 1일까지. 한편 1989 제 38회 경연 종목은 피아노, 비올라, 트럼본, 기타, 목관 5중주 등이다.

연락처 : Interanationaler Musikwettbewerb der ARD, Bayerischer Rundfunk,

D-8000 Munchen 2, BRD,

전화번호 : 089/5900 2471

제40회 「프라하의 봄」 국제음악콩쿨

CONCOURS INTERNATIONAL DE MUSIQUE DU 「PRINTEMPS DE PRAGUE」

체코슬로바키아의 「프라하의 봄」음악제에 곁들여서 열리는 콩쿨로, 1등 입상자는 5월 12일부터 열리는 음악제에서 연주할 수 있다. 여러 종목에 걸쳐서 매년 거행되는데, 종목에 따라 건너뛰기도 한다.

그동안 주요 입상자를 살펴보면 바이얼린에서 1972년에 리마 스잔스카야(소련, 공동 1등), 보프슬라프 마루셰크(체코, 1등), 1976년에 체네크 과블리크(체코, 1등) 등이며, 피아노에서는 1973년에 발레비시네프스키(소련, 1등)가 있으며, 첼로에서는 1970년에 보리스 페르가멘시코프(소련, 1등), 1970년에 타리아나 자바르스카야(소련, 공동 1등), 다니엘 베이스(체코, 1등), 1980년에 미카엘 에릭손(스웨덴, 1등) 등이다.

오르간에서는 1966년에 페트르 소바디나(체코, 공동 1등), 오토프리프 밀러(서독, 1등), 1971년에 에드거 크라프(서독, 2등) 등이며, 플룻에서는 1968년에 바렌틴 즈베리에프(소련, 1등), 제임스 골웨이(영국, 2등) 1974년에 알렉산드르 마요로프(소련, 1등) 등이며, 오보에서는 1968년에 모리스 브루그(프랑스, 1등), 1974년에 라드 키스(루마니아, 1등), 1977년에 얀 아담스(체코, 1등) 등이며, 호른에서는 1968년에 즈데니에크 틸샤(체코, 1등), 1974년에 존 맥도널드(캐나다, 1등) 등이다.

현악 4중주에서는 1975년에 파노하 콰르텟(체코, 2등), 1979년에 브라자크 콰르텟(체코, 1등)등이며, 성악에서는 1967년에 게오르기 세레츠네프(소련, 1등), 1973년에 로버트 크리어 크리스른슨(미국, 2등), 1978년에 라드미라 스밀랴니크(유고, 1등) 등이다.

1987년 콩쿨에서는 바이얼린에 이반 제나티Ivan Zenaty(체코, 1등), 호른에 인드리히 페트라스Jindrich Petras(체코, 1등), 트럼펫에 윌리암 포맨 William Forman(미국, 1등), 트럼본에 이리 노본티Jiri Novtny(체코)가 우승했다.

1988년 콩쿨은 피아노와 현악 4중주 2종목에 걸쳐서 피아노는 5월 1일부터 10일까지, 현악 4중주는 5월 3일부터 8일까지 열렸다. 연령제한은 피아노가 30세까지, 현악 4중주는 35세까지.

1989년도에는 첼로와 오르간 콩쿨이 열리며, 1990년에는 지회와 기타 2종목, 1991년에는 성악, 플룻, 클라리넷, 바순, 오보에 등 5종목에 걸쳐서 콩쿨이 열릴 예정이다. 기간은 5월 음악제에 맞춰서 매 년 5월에 열린다.

연락처 : Concours du 'Printemps de Prague', Alsovo nabrezi 12,

CS-11000 Praha 1, Tchecoslovaquiek

전화번호 : 231 92 81 또는 231 93 07

제8차 바하 국제콩쿨CONCOURS INTERNATIONAL J. S. BACH

바하가 만년을 보낸 동독의 라이프치히에서 4년에 한 번씩 여러 종목에 걸쳐 열리는 콩쿨로 J .S.바하 사후 2백년이 되는 1950년에 제 1회 대회가 열렸다. 그후 한동안 쉬다가 1964년에 제2회 대회가 열렸고, 그후로는 4년에 한번씩 열린다.

콩쿨 종목은 피아노, 오르간, 성악은 매회 열리고 있으나 그밖의 악기는 채택되었다가 빠지기도 한다.

그동안 주요 입상자는 피아노 부문에 제1회 때인 1950년 타티아나 니롤라에바(소련, 1등), 1968년 발레리 아파나세프(소련, 1등), 1972년 빈프리트 아펠(서독, 1등), 1984년 알렉산더 팔레이(소련, 1등)등이 있다.

오르간 부문에서는 1950년에 아마데우스 베바진케(동독, 1등), 칼 리히터(서독, 1등), 1964에 페토르 소바디난(체코, 1등), 1972년에 헤닌크 바그너(동독, 1등), 1972년에 헤르베르트 메가(오스트리아, 1등), 1976년에 엘리자베트 울만(오스트리아, 1등), 1976년에 스잔나 에레케슈(헝가리, 1등), 1984년에 존가빈 스코트(영국,1등) 등이다.

성악 부문에서는 1964년에 브루스 아벨(미국, 1등), 1968년에 하이디 베르트호르 스트리스(동독, 1등), 1972년에 로제마리랑(동독, 1등), 디이타와이만(동독, 1등), 1976년에 야드비가라페(폴란드, 1등), 유끼오(일본, 1등), 1980년에 안젤라 리볼트(동독, 1등), 1984년에 에그베르트융 한스(동독, 1등) 등이다.

바이얼린에서는 1950년에 이골리 베즈로드니(소련, 1등), 1968년에 올레그 카간(소련, 1등), 블라디미르 이바노프(소련, 1등), 1976년에 니라 피에르(스웨덴, 1등), 1980년에 미하엘 에루크스레벤(동독, 1등), 1984년에 알렉세즈 코쉬바네츠(소련, 1등) 등이다.

첼로에서는 1976년에 알렉산드르 루딘(소련, 1등), 이반 쉬포로(프랑스, 2등), 1980년에 케르스틴 페르츠(동독, 1등) 등이다.

플룻에서는 1984년에 볼프강 리터(서독, 1등), 모니카 헤게뒤스(헝가리, 2등) 등이다.

하프시코드에서는 1950년에 잉글리트하이러(서독, 1등), 1972년에 라오넬 파티(칠레, 1등) 등이다.

제18회 대회인 1988년에는 경연 종목이 피아노, 오르간, 성악, 바이얼린, 첼로이며 연령제한은 32세까지이다. 기간은 6월 24일부터 7월 8일까지이며, 입상자 상금은 기악의 경우에 총 7만 4천 마르크에 해당하는 20개의 상과, 성악의 경우에 총 2만 8천 마르크에 해당하는 8개의 상이 있다.

제 9회인 1992년의 경연 종목은 피아노, 오르간, 성악, 바이얼린 이밖에 1개 종목이 추가된다.

연락처 : Internationaler Johan-Sebastian-Bach-Wettbewerb, Thomaskirchhof 16, 1301 DDR-7010 Leipzig, R. D.

전화번호 : 293458, tx 51 29 28

제 39회 비오티 국제음악콩쿨

CONCORSO INTERNAZIONALE DI MUSICA G. B. VIOTTI

이탈리아의 유명 작곡가 비오티를 기념하기 위해 그의 고향 베르첼리에서 1950년부터 피아노, 작곡, 성악종목에 한해 열리고 있는 콩쿨. 해에 따라 바이얼린, 첼로, 현악 4중주, 기타 등의 종목도 추가되며 1972년에는 오르간, 1974년에는 기타, 1976에는 플룻, 1977년에는 트럼펫, 1978년에는 호른, 1979년에는 클라리넷 등이 추가되었고 1980년에는 타악기, 1981년에는 트럼본, 1983년에는 작곡이 첨가되어 개최됐다. 제한연령은 32세까지.

그동안 주요 입상자를 보면 피아노에서는 1950년에 테레사 가라티(이탈리아, 2등), 1956년에 로베르토 알렉산더 본케(서독, 1등), 1964년에 라파엘 오로스코(스페인, 2등), 1966년에 헤수스 곤잘레스(스페인, 1등), 1971년에 빈첸조 바르자니(이탈리아, 1등), 1973년에 파스칼 드봐이용(프랑스, 2등), 1978년에 파벨 기릴로프(소련, 1등), 1983년에 볼코프 올레그(소련, 1등), 자루킨 파벨(소련, 2등)등이다.

성악에서는 1952년에 그레이스 호프만(미국, 3등), 1954년에 이보 빈코(이탈리아, 1등), 1957련에 미렐라 푸레니 (이탈리아, 1등), 1974년에 제인 넬슨(미국, 1등), 1978년에 마리온 버네트 무어(미국,1등) 등이다.

바이얼린에서는, 1955년에 살바토르 아카르도(이탈리아)가 1등을 했고, 작곡에서는 1983년에 후지와라 유타가(일본, 공동3등), 비오레타 디례스쿠(독일, 3등) 등이있다.

그런가 하면 1985년도 이 콩쿨에서는 피아노 종목에서 한국의 이미주가 1등을 했고, 성악 부문에서는 소프라노 조수경이 1등을 했고, 테너의 장유상이 3등을 했다. 이 콩쿨의 총 상금은 3천만 리라가 지급된다.

1988년 10월 4일부터 27일까지 열리는 종목은 성악, 풀룻, 피아노이며, 1989년에는 성악, 바이얼린, 피아노가 열린다. 신청마감은 해마다 9월 20일경이다.

1986년도 입상자를 살펴보면 오보에 부문 2등에 포마리코 프란체스코Pomarico Francesco(이탈리아), 바이얼린에서는 2등에 피에라눈찌 Pieranunzi(이탈리아), 작곡에서는 2등에 장 클라우드 울프 Jean-Claude Wolff(프랑스), 1987년 입상자는 성악 2등에 안토니아 브라운Antonia Brown(미국), 바이얼린에서는 노르디오 도메니코 Nordio Domenico(이탈리아), 피아노에서는 2등에 매츠 얀슨 Mats Jansson(스웨덴), 3등에 한국의 최희원 등이다.

연락처 : Societa del Quartetto, Casella Postale 127,

1-13100 Vercelli, Italia.

전화번호 : 0161/501548

제4회 일본 국제음악경연대회INTERNATIONAL MUSIC COMPETITION OF JAPAN

일본 도교에서 3년에 한 번씩 열리는 콩쿨로 피아노와 바이얼린 1종목에 걸쳐 개최된다. 1986년 제 3회 이어 제 4회 대회는 피아노 부문은 1989년 11월 4일부터 18일까지 열리며, 신청마감은 1989년 6월 15일까지이다. 바이얼린 부문은 1989년 11월 23일부터 12월 3일까지 열리며, 신청마감은 1989년 7월 15일까지이다.

연령제한은 제4회 대회의 경우 1957년에서 1972년 사이 출생자에 한한다.

입상자에게는 1등에 2백만 엔, 2등엔 1백만 엔, 3등에 80만 엔, 4등에 50만 엔, 5등에 40만 엔, 6등에 30만 엔과 연주회에 참가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이밖에도 다른 특별상이 있다.

1986년도 입상자는 피아노에서 공동 1등에 란 제마하Ran Zemach(이스라엘), 안드레이 디에프Andrei Diev(소련), 3등에 수지 다나까Shuhji Tanaka(일본), 4등에 이미주Mi Joo Lee(한국)이고, 바이얼린에서는 1등에 막심 페도토프Maxim Fedotov(소련), 2등에 에바 코스키넨Eeva Koskinen(핀란드), 공동 3등에 미에꼬 가노Mieko Kanno(일본), 야요이 도다Yayoi Toda(일본)가 차지했다.

연락처 : Sengokuyama Annex 110,

Toranomon 5-3-20, Minato-Ku, Tokyo 105, Japan

전화번호 : Tokyo 03-437-6837/6820

엘리자베드 국제음악콩쿨

CONCOURS MUSICAL INTERNATIONAL REINE ELISABETH DE BELGIQUE

벨기에의 알베르 왕의 비인 엘리자베드가 창설한 콩쿨로 1937년에 이자이 콩쿨로 처음 설립되었다가 1951년에 엘리자베드 왕비 국제음악콩쿨로 개칭되었다.

창설 당시는 바이얼린 부문만 경연종목이 확정되었다가 1938년에 피아노, 1939년에는 지휘, 2차 대전 후에는 성악과 작곡도 포함시켰다.

이 콩쿨의 특징은 기악 부문에서 본선 진출자는 소나타 1곡과 협주곡 1곡을 연주하는 외에 벨기에 작곡가의 미출판 신곡을 하나 더 연주해야 한다.

연령제한은 각 부문 약간씩 차이가 있으나 30세에서 32세 정도. 예를 들면 성악은 32세이나 기악의 경우는 37세까지이다.

1988년 경연대회는 성악 부문에서 5월 10일에서 29일까지 열렸고, 1989년 5월 2일에서 6월 3일까지 바이얼린 부문 콩쿨이 개최될 예정이고(신청마감일 1989년 1월 15일), 1991년에는 피아노 부문 콩쿨이 개최될 예정이다.

그동안 주요 입상자는 창설 당시 바이얼린에 소련의 다비드 오이소트라프(1937년)가 1등을 했고 이밖에 바이얼린 부문에 레오니드 코간(1955년 1등), 벌 세노프스키(1955년 1등), 알렉세이 미플린(1963년 1등), 기돈 크레머(1967년 3등), 밀리엄 프리드(1971년 1등), 강동석 (1976년 3등), 호리요네 유즈꼬(1980년 1등) 등이 있으며 1985년에는 바이얼린 부문에서 한국의 배익환이 2등, 이미경이 5등, 김 진이 6등을 차지했다.

피아노 부문에는 개설 때인 1938년에 처음으로 소련의 에밀 길레소가 1등에 입상했고, 그후로는 레온 플라이셔(1952년 1등),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1956년 1등), 존 브라우닝(1956년 2등), 엠마누엘 엑스(1972년 7등), 미하일 페르만(1975년 1등), 레고리 알렌(1978년 2등)등이 있다. 1987년도에는 피아노 부문만 개최되었는데 1등에 안드레이 니콜스키Andrei Nikolski(서독), 2등에 아끼라 와까하야시Akira Wakahayashi(일본)가 차지했으며 6등에 한국의 이미주가 입상했다.

연락처 : Secretariat du Concours Reine Elisabeth, 20, rue aux Laines,

B-1000 Bruxelles, Belglque

전화번호 : (2) 513 00 99

제 18회 벨그라드 국제청소년음악경연대회

INTERNATIONAL JEUNESSES MUSICALES COMPETITION, BELGRADE

매년 경연종목이 달라지는데 1988년도에는 솔로 보이스(독창)와 보컬의 두 개 부문에 걸쳐 경연대회가 9월 18일부터 10월 1일까지 열린다. 신청마감은 매년 5월 15∼30일 사이 금년도 신청마감은 5월 30일까지였는데, 독창 부문은 30세, 보컬은 36세까지의 연령제한이 있다.

1989년도 경연은 피아노 독주와 피아노 두오 등 두 개 부문에 걸쳐 개최될 예정. 각 부문 3개의 특별상과 1등 입상자에게는 순회 콘서트의 기회가 주어진다.

1987년도 클라리넷 종목에서의 우승자는 주앙 엔리크 리우나Juan Enric Liuna(스페인)이고, 목관 5중주 종목에서의 우승팀은 마아로트 퀸테트Ma'Alot Quintet(서독)이다.

연락처 : International Jeunesses Musicales Competition, Terazije 26/11.

Yu-11000 BELGRADE, Yugoslavia

전화번호 : 011/686-380

제25회 부다페스트 국제음악콩쿨INTERNATIONAL MUSIC COMPETITION BUDAPEST

이 콩쿨이 처음 개최된 것은 1933년 리스트 국제피아노콩쿨이 그것이며, 15년 뒤인 1948년에 바르톡을 추모하기 위해 피아노 외에 바이얼린, 현악 4중주 등이 추가되었으며 이때부터 일명 리스트-바르톡 피아노콩쿨로 불리면서 부다페스트 국제음악콩쿨이란 대회명칭이 정식으로 사용되었다.

1956년에는 부다페스트 국제음악콩쿨이란 명칭 아래 리스트 피아노콩쿨, 59년에는 하이든 현악 4중주콩쿨, 60년에는 엘켈 성악콩쿨, 61년에는 리스트-바르톡 피아노콩쿨, 63년에는 카잘스 첼로콩쿨과 웨이네르 현악 4중주콩쿨이 개최되었으며, 이후부터는 성악, 피아노, 첼로와 현악 4중주가 5년 주기로 열리고 있으며 오르간과 바이얼린, 비올라, 플룻, 호른 종목에 걸쳐서도 개최된다(해마다 규칙이 변경된다)

1988년에는 리스트 추모 국제오르간콩쿨로 9월 4일부터 14일까지 열린다. 제한연령은 32세이며, 신청마감은 지난 5월 1일까지였다.

입상자상금은 1등에 10만 포린트, 2등에 6만 포린트, 3등에 3만 포린트가 지급되며 이밖에 특별상 제도가 있다.

연락처 : Interkoncert Festivalbureau,

P.O. Box, 80, H-1366 Budapest, Hungary

전화번호 : 36-1-179-910, tx 22-4121

제20회 몬트리올 국제음악콩쿨

CONCOURS INTERNATIONAL DE MUSIQUE DE MONTREAL

1965년 제 1회 때는 피아노 부문만 있었는데 그 이듬해에 바이얼린, 그 다음해에 성악의 순서로 3년을 주기로 개최되고 있다. 연령은 피아노와 바이얼린이 16세부터 30세까지 이고, 성악은 20세부터 35세까지이다. 과제곡 중에는 캐나다작곡가에 의한 신곡이 한 곡 첨가되며 이 신곡 연주에 대한 특별상도 주어진다. 입상자에 대한 상금 총액은 3만 달러.

그동안 주요 입상자들은 피아노 부문에서 1965년에 클로드 팡티에(프랑스, 1등), 1968년에 개릭 올슨(미국, 1등), 1976년에 에테리 안쟈파리제(소련, 1등), 1980년에 이보 포고렐리치 (유고, 1등) 등이다.

바이얼린 부문에서는 1969년에 블라디미르 스피바코프(소련, 1등), 기돈 크레머(소련, 3등), 미리암 프리드(이스라엘, 4위), 1972년에 루벤 아가로니안(소련, 1등), 1975년에는 공동 2등에 강동석(한국)과 유발 아론(이스라엘)이 있으며, 1979년에 피터 자로프스키(미국, 1등) 등이다.

성악 부문에서는 1967년에 유리 마즈로크(소련, 1등), 마리나 크리로비치(루마니아, 공동 1등), 1973년에 게오르게 에밀 크라스날(루마니아, 1등), 1977년에 라일리엄 파커(미국, 1등) 등이다.

1987년에는 바이얼린 종목 콩쿨이었는데, 1등에 디미트리 벨린스키Dimitri Berlinski(소련), 공동 2등에 캐더린 조Catherine Cho(미국), 알렉산더 시모네슈Alexander Simionescu(미국), 4등에 스코트 st 존Scott St, John(캐나다), 5등에 노부 와까바야시Nobu Wakabayashi(일본), 6등에 마틴 찰리포어Martin Chalifour(캐나다)가 차지했다.

1988년 대회는 5월 28일부터 6월 15일까지 피아노 종목으로 열렸다. 1989년에는 성악, 1990년에는 한 해 건너뛰고, 1991년에 다시 바이얼린 종목 경연대회가 열린다.

연락처 : Concours international de musique de Montreal, Place des Arts

1501, rue Jeanne-Mance

Montreal(Quebec), Canade H2X 129

전화번호 : (514) 285-4381

비안나 다 모타 국제콩쿨CONCOURS INTERNATIONAL, VIANNA DA MOTTA

포르투갈의 작곡가 겸 피아니스트인 호세 비안나 다 모타(1868∼1948)를 기념하기 위해 시작한 피아노 콩쿨, 1962년에 시작해 격년으로 실시해 왔는데, 1970년대부터는 홀수 해에 개최되고 있다. 6월 하순부터 7월 초에 열린다.

그동안 주요 입상자는 1964년 제2회 때 디미르 크라네프(소련, 공동 1등), 넬슨 프레이레 (브라질, 공동 1등), 1968년에 빅토리아 포스트니코바(소련, 공동 1등), 팔하드 바달페이리 (소련, 공동 1등), 1972년에 엠마누엘 엑스(미국, 3등), 제프리 스웬(미국, 4등), 1979년에 알치운 파파잔(소련, 1등) 등이다.

연락처 : Concours International, Vianna da Motta, Edificio

Castil, Rua Castilho 39, Fracgao H-11.

P-1200 Lisbonne, Portugal

제10회 슈만 국제콩쿨 CONCOURS INTERNATIONAL, ROBERT SCHUMAN

로베르트 슈만을 기념하기 위해 동독의 즈빅카우에서 4년마다 열리는 콩쿨로, 매회마다 종목이 바뀐다.

1989년 제10회 콩쿨은 피아노와 성악 두 부문으로 6월 2일부터 24일까지 열린다. 연령제한은 피아노는 25세까지, 성악은 32세까지이다.

입상자 상금은 피아노의 경우 총 1만 8천 5백 마르크, 성악의 경우 1만 8천 5백 마르크가 1, 2, 3등에게 나누어 지급된다.

제10회 콩쿨의 신청마감은 1989년 3월1일까지이며, 제11회 콩쿨은 1993년도에 열린다.

연락처 : Organisationsburo des X. Internationalen Robert Schumann Wettbewerbs, Munzstrasse 12,

DDR-9540 Zwickau, B.D.A.

전화번호 : 2736

제13회 툴롱 음악페스티벌 국제콩쿨

CONCOURS INTERNATIONAL DU FESTIVAL DE MUSIQUE DE TOULON

프랑스의 툴롱에서 열리는 뮤직페스티벌에서 개최되는 관악콩쿨로 연령제한은犯세에서 30세까지이다 .

입상자상금은 1등웨 1만6천프랑, 2등에 9천 5백 프락, 3등에 6천 5백 프랑이 지급된다.

1988년 5월 25일부터 6월 1일까지 열린 제 13회 대회 경연종목은 바순 부문이었으며, 1989년에는 트럼본, 1990년에는 오보에, 1991년에는 클라리넷, 1992년에는 호른, 1993년에는 트럼펫 경연이 있을 예정이다. 신청마감일은 매년 3월 1일까지이다.

1987년도에는 트럼펫콩룰히 있었는데, 공동 2등에 우르반 아그나스Urban Agnas(스웨덴), 가브리엘레 카소네Gabriele Cassone(이탈리아), 3등에 프랑크 풀시니Fanck Pulcine(프랑스)가 차지했다.

연락처 : Secretariat du Concours, Palais de la Bourse, Avenue Jean-Moulin, F-83000

Touton, france

전화번호 : 94 93 52 84

제34회 마리아 카날스 국제음악콩쿨

CONCOURS INTERNATIONAL D'EXEUTION MUSICALE, MARIA CANALS

마리아 카날스 부인이 창설하고 주치하는 콩쿨로 피아노, 바이얼린, 첼로, 기타, 플룻, 성악 등의 여러 종목 중에서 매년 몇 종목을 선택해서 개최한다.

1988년도에는 지난 4월 2일에서 27일까지 피아노와 플룻 두 부문을 개최했는데, 1989년에 다시 피아노, 바이얼린, 기타 부문에 걸쳐 개최한다.

연령제한은 기악의 경우는 18세에서 32세까지, 성악의 경우는 18세에서 35세까지이다. 입상자 상금은 총액 1백 40만 페계타이며 이밖에 메달이 수여된다. 특이한 것은 선착순 참가자 25∼40여명에게까지 숙소와 아침식사가 무료로 제공된다(문서로 요구할 것).

1987년 피아노 부문 입상자는 1등 없는 2등에 크리스토퍼 오크던Christiopher Oakden(영국), 공동 3등에 게이꼬 나까이Keiko Nakai(일본)와 알렉산드르 따로Alexandre Tharaud(프랑스)가 차지. 성악 부문에는 1등 없는 공동 2등에 제니 밀러Jenny Miller(미국), 김진Jin-Ok Kim(한국)이 차지했고, 두오 소나타에서는 1등에 동독의 미카엘 산더링Michael Sanderling(첼로)과 제랄드 파우스Gerald Fauth(피아노)조가 차지했다.

연락처 : Secretariat du Concours Maria Canals, Gran Via de

les Corts Catalanes 654, pea

E-08010 Barcelona, Espagne

전화번호 : 318 77 31

마리아 칼라스 국제음악콩쿨

CONCOURS INTERNATIONAL DE MUSIQUE, MARIA CALLAS

피아노와 성악(오페라, 오라토리오)으로 나누어서 진행된다.

피아노는 1988년 3월 13일부터 21일까지, 성악은 1989년 3월 13일부터 20일까지 진행되는데, 금년도 피아노 부문은 이미 지났으므로 1990년 3월 다시 개최된다.

연령제한은 피아노 부문 30세까지, 성악 부문은 여성일 경우 30세, 남성일 경우 32세까지이다.

신청마감일은 매년 1월 15일까지이며, 1989년 개최되는 성악 부문 콩쿨의 신청일 역시 1989년 1월 15일까지이다.

우승자에게는 1만 8천 달러의 상금과 금메달이 수여되며, 1987년도 입상자는 피아노 부문에서 1등에 엑카르트 하일리게르스Eckart Heiligers(서독), 성악에서 오페라 여성 성악 부문 1등 없는 공동 2등에 베세라 즐라테바Wessela Zlateva(불가리아)와 나탈리아 다쯔코Natalia Dazko(소련)가 차지. 오페라 남성 성악 부문에서 1,2등 없는 3등에 아르세니 아르소프Arsenii Arsov(불가리아)가 차지했고, 오라토리오-리트에서는 1등에 트리마케테 시지테Trimakaite Sigite(소련)가 차지했다.

연락처 : Centre Culturel International 《Athenaeum》 8, rue

Amerikis-GR-10671 Athenes, Grece

전화번호 : 36 22 952-36 33 701-2

비나 델 마르 국제음악콩쿨

CONCOURS INTERNATIONAL DEXCUTION MUSICALE, DR, LUIS SIGALL

칠레의 비나 델 마르에서 매년마다 종목을 바커가며 열리는 콩쿨로 1등 입상자에게는 3천 달러, 2등에는 2천 달러, 3등에는 1천 달러가 지급된다.

1986년도에는 첼로 경연이 있었는데, 1등에 이본느 티모이아누Ivonne Timoianu(루마니아), 2등에 장 루 보르Jean-Luc Bourre(프랑스), 3등에 나딘 피에르Nadine Pierre(프랑스)가 차지했다.

1988년도 종목은 클래식기타로 11월 12일부터 20일까지 열린다. 연령제한은 17세에서 32세까지이며 신청마감은 8월 15일까지. 1989년도는 성악, 1990년도는 바이얼린, 1991년도는 첼로, 1992년도는 피아노 종목이 열린다.

연락처 : Direccion del Concurso, Ca11e Arlegui N. 683, casilla 4-d,

Vina del Mar, Chili.

전화번호 : 6806 33

제12회 쇼팽 국제피아노콩쿨

CONCOURS INTERNATIONAL DE PIANO, FREDERIC CHOPIN

피아노 단일 종목 콩쿨로서는 세계 최대의 콩쿨이며, 1927년 제1회 대회가 열렸다. 처음에는 7년에 한 번씩 열리다가 1939년 쇼팽 사후 1백주년을 맞아 재정비하여 다시 시작, 6년마다 열리다가 1955년 이후부터는 다시 5년마다 열리고 있다. 연령제한은 17세부터 30세까지이며, 과제곡은 모두 쇼팽곡으로 주어진다.

입상자상금은 1등에 1백만 즐로티야, 2등에 75만 즐로티야, 3등에 50만 즐로티야, 4등에 40만즐로티야, 5등에 30만 즐로티야, 6등에 20만 즐로티야와 금,은,동메달이 주어진다.

지금까지의 주요 입상자로는 1927년 제1회 때 레프오보린(소련, 1등), 1932년에 알렉산드르 우닌스키(프랑스, 1등), 1937년에 야코브 자크(소련 1등), 1949년에 하리나 체르니 스테판스카(폴란드, 1등), 1955년에 아담 하라세비치(폴란드, 1등),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소련, 2등), 후오쫑(중공, 3등), 1960년에 마우리치오 폴리니(이탈리아, 1등), 1965년에 마르타 아르게르히(아르헨티나, 1등), 에드워드 아우어(미국, 5등), 1970년에 게릭 올슨(미국, 1등), 우찌다 미찌꼬(일본, 2등), 나탈리아 가브릴로바(소련, 5등), 1975년에 크리스티안 짐머만(폴란드, 1등), 파벨 기릴로프(소련, 4등), 1980년에 다이 타이손(베트남, 1등), 타치아나 슈바노바(소련, 1등)등이다.

제12호 콩쿨은 1990년 10월 1일부터 20일까지 열리며, 신청마감은 1990년 5월 1일까지이다. 매회마다 10월에 열리고 있으며, 심사위원 수가 많은 것도 이 콩쿨의 특징이다.

연락처 : Societe Frederic Chopin, Okolnik 1.

PL-00-368 Warszawa, Pologne(Poland)

전화번호 : 279589 또는 275471

제40회 부조니 국제피아노콩쿨

CONCOURS INTERNATIONAL DE PIANO, F. BUSONI

이탈리아의 북부 볼차노에서 1949년부터 매년 열리는 국제피아노콩쿨로 1,2차에 걸쳐 입상자를 선정한다. 1970년부터 참가규정을 개정하여 1967년 이후 클라이번, 몬트리올, 차이코프스키, 리오데자네이로, 트레비소 등의 콩쿨에서 3위 이내 입상자에게는 1차 예선이 면제된다.

제40회 콩쿨은 1988년 8월 19일부터 9월 3일까지 열리는데, 1차 예선은 8월 19일부터 23일까지 열린다. 연령제한은 매년 5월 31일 기준으로 하여 15세에서 32세까지. 신청마감일은 매년 5월 31일까지이다.

1등인 부조니상은 1명에게만 주어지며 오케스트라 협연과 리사이틀을 열어주며, 1천만 리라의 상금이 지급된다. 2등은 5백만 리라, 3등은 3백 50만 리라, 4등은 2백만 리라, 5등은 1백 80만 리라, 6등에게는 1백 60만 리라가 지급된다.

이 콩쿨의 발기인은 클라우디오 아라우, 빌헬름 박하우스, 아르투로 베네덱티-미케란젤리, 알렉산더 보로프스키, 로베르트 카사디우스, 알프레드 코토, 에드빈 피셔, 발터 키제킹, 아르투로 루빈스타인, 루돌프 제르킨 등 정상급 연주자들이 총망라되어 있다. 따라서 이 콩쿨의 명성에 걸맞게 우승자 역시 외로크 데무스(56년), 마르타 아르게르히(57년), 세롬 로즈(61년), 개릭 올슨(66년), 로베르트 벤츠(74년), 보리스 보로츠(78년), 서헤경(80년)등 쟁쟁한 연주자들이 많다.

1987년도 입상자는 1등에 릴리야 질베르스타인Liliya Zilberstain(소련), 2등에 발레리 쿨레쇼프Valery Kuleshov(소련), 공동 3등에 이안 먼로Ian Munro(호주), 알프레도 펠Alfredo Perl(칠레) 등이다.

연락처 : Prospectus et infomations aupres du Secretariat du

Concours, Conservatorio Monteverdi

Piazza Domenicani 19, 1-39100 Bolzano, Italie.

전화번호 : 0471-97 35 79

리즈 국제피아노경연대회

THE H-ARVEYS LEEDS INTERNA-TIONAL PIANOFORTE COM-PETITION

잉글랜드 북부 웨스트 요크셔주리즈 시에서 1963년부터 3년마다 열리는 국제피아노콩쿨로 본선에서는 로열 리버풀 필,BBC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여 입상자를 가린다.

국제 릭아노콩쿨 1987년도 입상자들

그동안 9회째 대회가 열렸는데 주요입상자는 1963년 제1회 때 마이클 롤(영국, 1등), 1966년 라파엘 오로스코(스페인, 1등), 1969년 라두 루푸(루마니아, 1등), 1972년 머레이 페라이어 (미국, 1등), 1975년 드미트리 알렉세에프(소련, 1등), 안드라슈 시프(소련, 3등), 파스칼 드봐이용(프랑스, 3등), 정명훈(한국, 4등), 1978년 미셀 달베르트(프랑스, 1등), 1984년 존 키무라 파커(캐나다, 1등), 서주희(한국, 2등) 등이다.

제 9회 대회인 1987년에는 1등에 블라디미르 오프치니코프Vladimir Ovchinnikov(소련), 2등에 이 안 먼로Ian Munro(호주), 3등에 노리꼬 오가와Noriko Ogawa(일본), 4등에 보리스 베레초프스키Boris Berezovsky(소련), 휴티니Hugh Tinney(영국), 마르칸토니오 바로네Marcantonio Barone(영국)가 차지했다.

상금은 1등 5천 파운드, 2등 3천 파운드, 3,4,5,6등에 각 2천 파운드씩 지급되며 이밖에도 1등 입상자에게는 런던에서 데뷔 리사이틀을 열어준다.

제 10회 대회는 1990년 9월에 개최되며, 신청마감은 1990년 3월 31일까지이다. 연령제한은 30세

연락처 : Hon Administrator, Mrs, F.Logan, The Harveys Leeds International Pianoforte Competition, The University, GB-Leeds LS2 9JT, England.

전화번호: (532) 431751, EX.7193 or 7425, Telex 557141(AlertG)

반 클라이번 국제피아노경연대회

THE VAN CLIBURN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1958년 제 1회 차이코프스키 국제콩쿨에서 1등을 한 반 클라이번을 기념하기 위하여 그의 출생지 텍사스 주의 포트워드에서 4년마다 열리는 콩쿨로 1962년에 제 1회 대회가 개최되었다.

연령제한은 18세에서 30세까지이며, 예선을 거쳐 오케스트라와 협연하는 본선에서 입상자를 선정한다.

1962년 제1회 대회에는 니콜라이 페트로프(소련)가 2등을 했고, 그밖의 주요 입상자는 1966년에 자두 루푸(루마니아)가 1등을 했고, 1969년(이 대회만 3년만에 개최)에는 1등에 크리스티나 오르티스(브라질)가 차지했고, 1973년에는 크리스티안 차하리스(서독)가 2등을 차지했다.

이번 대회는 1989년 5월 27일부터 6월 11일까지 열리며, 신청마감은 1988년 11월까지이다.

입상자에게 주어지는 상금은 1등에 금메달과 1만 5천 달러, 그리고 뉴욕에서 데뷔 리사이틀을 열어주고, 30개월에 걸쳐 북미와 유럽 순회연주회를 열어준다. 2등에는 은메달과 1만 달러, 뉴욕 데뷔 리사이틀과 30개월 동안 북미와 유럽 순회연주를 열어준다. 3등에는 동메달과 7천 5백 달러와 30개월 동안 순회연주를 열어준다. 4등에는 5천 달러, 5등에는 3천 5백 달러, 6등에는 2천 달러가 지급되며, 수상자 6명 전원에게 2년동안 후원 서어비스managerial service를 받는다.

연락처 : 3505 West Lancaster, Fort Worth, Texas 76107, USA

전화번호 : (817) 738-6536

제8회 카사드쉬 국제피아노콩쿨

CONCOURS INTERNATIONAL DE PIANO, ROBERT CASADESUS

미국 오하이오 주의 클리블랜드 음악원에서 개최되는 피아노콩쿨로 연령은 17세에서 32세까지만 참가할 수 있다. 격년제로 열리는데 제 7회 대회는 1987년에 개최되었고, 제8회 대회는 1989년 8월 11일부터 19일까지 열린다. 참가신청은 1989년 5월 15일까지.

입상자의 총 상금은 1만 8천 달러이며 1등 입상자는 클리블랜드 오케스트라와 함께 협연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또 하나 특징은 참가자의 체재비는 주최측에서 부담한다.

1987년도 입상자는 1등에 띠에리 월레Thierry Huillet(프랑스), 2등에 아사프 조하르Asaf Zohar(이스라엘), 3등에 조나단 배스Jonathan Bass(미국), 4등에 베아트리스 신첸롱Beatrice Hsin Chen Long(대만), 5등에 다까유끼 이또takayuki Ito(일본), 6등에 히로꼬 아쯔미Hiroko Atsumi(일본)가 차지했다. 1985년도에는 한국의 김대진이 1위로 우승하기도 한 콩쿨이다.

연락처 : Secretariat, Robert Casadesus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The Cleveland Institute of Music, 11021 East Boulevard Cleveland, Ohio 44106, USA

전화번호 : (216) 791-5165

제8회 몬테비디오 국제피아노콩쿨

CONCOURS INTERNATIONAL DE PIANO, CIUDA DE MONTEVIDED

우루과이의 몬테비디오에서 3년마다 열리는 콩쿨로 32세까지 참가자격이 있다. 제8회 대회는 1988년 11월에 열리며, 신청마감은 8월 말일까지이다.

입상자 상금 총액은 4천 달러이며, 메달과 연주회 참가기회를 제공한다.

연락처 : Secretariat du Concours internatioal de piano, Ciudad de Montevideo,

Santiago Vazquez 1178

Montevideo, Uruguay

전화번호 : 78 18 55

월리암 카펠 국제피아노경연대회

THE UNIVERSITY OF MARYLAND INTERNATIONAL PIANO FESTIVAL

AND WILLIAM KAPELL COMPETITION

메릴랜드대학 칼리지 파크에서 열리는 국제피아노경연대회로 해마다 7월에 열린다. 금년도는 7월 14일부터 23일까지 개최되며 연령제한은 16세에서 31세까지이다. 예선을 거쳐 최종 결선은 워싱톤 D. C에 있는 케네디 센터에서 오케스트라와의 협연으로 이루어진다.

1등에 1만 5천 달러, 2등에는 1만 달러, 3등에는 5천 달러의 상금이 주어지며, 지난해에는 1등 없는 2등에 윌리암 울프램William Wolfram(미국), 공동 2등에 캐드린 셀비Kathryn Selby(호주)와 칼렙차이Caleb Tsai(홍콩)가 차지했다.

연락처 : William Kappel Piano Competition, Summer Programs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MD 20742, USA

전화번호 : (301) 454-5276

제6회 루빈스타인 국제피아노콩쿨

CONCOURS INTERNATIONAL DE PIANO, ARTYHUR RUBINSTEIN

이스라엘의 텔 아비브에서 3년마다 열리는 국제피아노콩쿨로 참가연령은 18세에서 32세까지이다. 1986년 대회에 이어 1989년 콩쿨은 4월 2일부터 16일까지 열리며 신청마감은 1988년 11월 1일까지이다.

입상자에게는 1등에 메달과 1만 달러, 2등에 메달과 5천 달러, 3등에 메달과 3천 달러가 지급된다. 이밖에 알아 둘 사항은 참가자 거주비는 주최측에서 일체 부담한다.

연락처 : The Arthur Rubinstein Internatioal Music Society

Director : J . Bistritzky

Shalom Tower, P.O.B.

IL-29404 Tel-Aviv, 61293, Israel

전화번호 : 03 65 16 04

제8회 베에토벤 국제피아노콩쿨

CONCOURS INTERNATIONAL DE PIANO, L.VAN BEETHOVEN

비인 예술주간과 때를 맞춰 개최되는데, 매회마다 갖가지 종목에 걸쳐 시행된다. 그중에 4년마다 열리는 것이 이 콩쿨이다. 1985년도에 제7회 대회를 열었고 1989년도에 제8회 콩쿨을 연다.

그동안 주요 입상자로는 1965년에 에드워드 아우어(미국, 2등), 1969년에 우찌다미쯔꼬(일본, 1등), 옥사나 야브론스카야(소련, 2등), 1973년에 존 오코너(아일랜드, 1등), 1977년에 나탈리아 판코바(소련, 1등) 등이다.

1989년 콩쿨은 5월 15일부터 6월 8일까지 열리며, 연령제한은 17세에서 32세까지이다.

연락처 : M Elga Ponder, Secretaire genera1e, secretariat du Concours,

Hochschule fur Musik und darstellende Kunst,

Lothringerstrasse 18, A-1037 Viene, Austriche,

전화번호: (0222) 56 16 85

제13회 클라라 하스킬 피아노콩쿨CONCOURS DE PIANO CLARA HASKIL

루마니아의 저명한 여류 피아니스트 클라라 하스킬을 기념하기 위해 스위스에서 개최한 콩쿨, 제1회는 1963년 루체른 국제음악주관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가 제5회 대회부터는 몽트르외-부비에서 격년제로 열리고 있다.

연령제한은 32세까지이고, 1등의 클라라 하스킬상에는 1만 2천 스위스프랑이 주어진다.

그동안 주요 입상자료는 1965년 제2회때 크리스토프 에센바하(서독)가 1등을 했고, 1967년에 디노라 발시(우르과이, 1등), 1973년에 리처드 구드(미국, 1등), 브리기테 마이어(스위스, 3등), 1975년에 미셀 달베르트(프랑스, 1등), 1977년에 에프게니 코롤료프(소련, 1등), 1979년에 신시아 레임(미국, 1등), 마리 폴 실게(프랑스, 3등) 등이다.

1989년 대회는 8월 23일부터 9월 2일까지이며, 신청마감은 1989년 7월 5일까지이다.

연락처 : Direction du Concours Clara Haskil, 35, rue du

Village-CH-1802 Cnrseaux/vevey, Suisse

전화번호 : (021) 921 30 14, Telex : 453 302 FIDE CH,

제4회 시드니 국제피아노경연대회

SYDNEY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OF AUSTRALIA

시드니 콘서바토리와 오스트레일리아 문화교류기구 공동주최의 콩쿨로 4년마다 열린다. 연령제한은 18세에서 32세까지.

1등 입상자에게는 5만 호주달러가 주어지며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싱가포르, 홍콩 등지의 순회연주 기회가 부여된다.

제4회 대회는 1988년 7월 8일부터 24일까지 열리며, 신청마감은 1988년 1월 5일까지였다.

제5회 대회는 1992년 7월에 열리며 신청마감은 역시 그해 1월이다.

연락처 : Sydney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of Australia,

P.O.Box 420 Double Bay NSW 2028, Australia

전화번호 : (02) 326 2405

제10회 팔로마 오시아 국제피아노콩쿨

CONCOURS INTERNATIONAL DE PIANO PALOMA O'SHEA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탄생 1백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스페인에서 제정한 콩쿨로 3년마다 한 번씩 열린다. 연령제한은 16세에서 37세까지.

입상자에게는 1등에 팔로마 오시아 금메달, 1백 60만 페제타, 전세계를 통해 1백회 이상의 연주회 개최, 데카에 의해 출판되는 디스크 출반 기회가 주어진다. 2등에는 1백만 페제타와 연주회 개최, 3등에는 75만 페제타와 연주회 개최가 주어진다.

1987년 콩쿨에서는 1등에 데이비드 웨어David Wehr(미국), 2등에 세르게이 예로킨Sergei Yerokhin(소련), 3등에 베른트 F. 글렘서Bernd F. Glemser(서독) 등이 입상했다.

제10회 대회는 1990년 7월 6일부터 8월 6일까지 열리는데, 신청마감은 1990년 3월 20일까지이다.

연락처 : Secretariado Concours International de Piano 0'shea,

Hernan Cortes 3, E-37073 Santander, Espagne

전화번호 : (02) 21 48 01/31 12 66

Telex : 35 833 BADER E

.

지나 박하우어 국제피아노경연대회

THE GINA BACHAUER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미국의 유타 주 솔트레이크 시티에서 2년마다 열리는 콩쿨로 연령제한은 19세에서 33세까지이다.

입상자에게 1등에 금메달, 볼드윈 그랜드 피아노, 뉴욕 데뷔 리사이틀, 3천 달러, 이밖에도 유타 심포니와 협연, 지방 리사이틀을 마련해 준다. 2등에는 은메달, 5천 달러, 유타 심포니 협연, 지방 리사이틀을 마련해 주고, 3등에는 동메달, 3천 달러, 지방 리사이틀 참여기회 제공하며, 4등에 2천 달러, 5등에 1천 5백 달러, 6등에 1천 달러가 지급되며, 이밖에도 특별상이 있다.

1988년 콩쿨은 6월 14일부터 25일까지 열렸으며, 다음 대회는 1989년에 있는데, 신청마감은 3월 1일까지 이며 4,5,6,월 중에 열리는 예선전을 거쳐 본선에 진출한다.

연락처 : The Gina Bachauer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P.O.Box l1664, Salt

Lake city, Utah 84147, USA

전화번호 : 801/521-9200

알렉산드로 카사그란데 국제피아노콩쿨

CONCOURS INTERNATIONAL DE PIANO, ALESSANDRO CASAGRANEDE

이탈리아의 테르니에서 격년제로 열리는 피아노콩쿨로 연령제한은 30세까지이다. 입상자에게는 1등에 1천 2백만 리라와 연주회를 제공하여, 2등에 6백만 리라, 3등에 4백만 리라를 수여한다.

1988년 대회는 6월 9일부터 19일까지 열렸으며, 다음 대회는 1990년 6월에 열린다.

연락처 : Secretariat du Concours de Piano, Alessandro Casagrande,

C/O Assessorato Benie Servize Culturali del Comune di Term Vico S.

Lorenzo, 1, 1-05100 Term Italie

전화번호: (0744) 549 731

바이요나 국제피아노콩쿨CONCOURS INTERNATIONAL DE PIANO, PILAR BAYONA

스페인의 자라고자에서 2년마다 열리는 콩쿨로 연령제한은 16세에서 30세까지이다. 입상자상금은 1등에 1백 25만 pts, 2등에 70만 pts, 3등에 50만 pts, 그리고 특별상이 있다.

1985년도 입상은 1등에 마르틴 쉐데르 베르크Martin Soderberg(미국), 2등에 김영호Young ho kim(한국)가 차지했다.

1989떤도 콩쿨은 12월 4일부터 12일까지 열린다. 신청마감은 1989년 10월 16일까지. 그 다음 콩쿨은 1991년에 개최된다.

연락처 : Concurso International de Piano Pilar Bayona, Calle Cose, 57, 2, E-50001

Zaragoza, Espagne

제12회 에피날 국제피아노콩쿨CONCOURS INTERNATIONAL DE PIANO

격년으로 열리는 국제피아노콩쿨로 연령제한은 32세까지이다.

지난 1987년의 11회 대회에 이어 12회 대회는 1989년 3월 12일에서 19일까지, 13회 대회는 1991년에 개최예정이다.

입상자에게 지급되는 상금은 2만 프랑, 7천 프랑, 5천 프랑, 3천 프랑이며 이밖에도 알베르또루셀위원회 상금 3만 프랑과 특별상 3천 프랑이 지급된다.

1987년도 입상자는 공동 1등에 이사벨레 뒤브와Isabelle Dubuis(프랑스)와 모모코다마Momo Kodama(일본)가 차지했다.

연락처 : Secretariat du Concours, 4, guaides Bons-Enfants

F-88000 Epinal, France

전화번호 : 29 82 53 48

제35회 파가니니 국제바이얼린콩쿨

CONCORSO INTERNAZIONALE DIE VIOLINO, PREMIO N. PAGANINI

파가니니의 탄생지인 이탈리아의 북부제노바 시가 주축이 되어 1954년부터 매년 개최되는 국제바이얼린경연대회로 예선과 본선에서 파가니니의 작품이 과제곡에 꼭 포함된다.

연령제한은 35세까지이며, 매년 9∼10월경에 개최되며 신청마감은 7월 15일까지이다.

1988년도 개최일시는 10월 1일부터 9일까지. 상금은 총 3천만 리라이며, 다음 대회는 1989년에 열린다.

그동안의 주요 입상자는 1958년에 아카르도(이탈리아, 1등), 1964년에 피에르 아모와얄(프랑스, 2등), 1968년에 밀리엄 프리드(이스라엘, 1등), 1969년에 기돈 크레머(소련, 1등), 1972년에 유진 표도어(미국, 1등), 19755년에 유리 코르친스키(소련, 1등), 1977년에 일리아 그루베르트(소련, 1등), 1984년에 바딤 브로드스키(소련, 2등) 등이다.

1987년도 제34회 대회의 입상자는 1등에 루쥬칭Szu-Ching Lu(중공), 2등에 파벨 베르만Pavel Berman(소련), 3등에 알렉세이 코슈바네츠Aleksei Koshvanets(소련), 공동 4등에 빈센조 볼로그네세Vincenzo Bolognese(이탈리아)와 아담 타우빅Adam Taubic(폴란드), 6등에 빅터 쿠즈네초프Victor Kuznetsov(소련) 등이 차지했다.

연락처 : Segreteria del Concorso Internazionale die violino, Premino Paganini

Palazzo Doria, Via Garibaldi 6, 1 piano, 1-16124 Genova, Italy

전화번호 : 010-20981

제6회 시벨리우스 국제바이얼린콩쿨

CONCOURS INTERNATIONAL DE VIOLON, FEAN SIBELIUS

얀 시벨리우스를 기념하기 위해 핀란드의 헬싱키에서 5년마다 열리는 콩쿨로 아직 연조는 일천하나 세계적 연주자들을 배출하고 있다. 연령제한은 16세에서 33세까지로 비교적 폭이 넓은 편이다.

입상자 상금은 총 2만 5천 달러이며 11월에서 12월 사이에 열린다.

그동안 입상자들을 살펴보면 1965년 제1회 대회 때 올레그 카간(소련)이 1등을 했고, 1970년에는 리아나 이사카제(소련)와 파벨 코간(소련)이 공동 1등, 1975년에는 유발 아론(이스라엘)이 1등을 차지했다.

제6회 대회는 1990년 12월 1일부터 14일까지 열리며, 신청마감은 1990년 8월 15일까지이다.

지난 5회 대회의 우승은 레오니다스 카바코스Leonidas Kavakos(그리이스)와 질라 칼러Jlja Kaler(소련)가 공동 1등을 차지했다.

연락처 : Secretariat du Concours, Sibelius, B. P. 31

SF-00101 Helsinki, Finlande

전화번호 : 40 81 66(Academie Sibelius)

제10회 비니압스키 국제바이얼린콩쿨

CONCOURS INTERNATIONAL DE VIOLON, hENRYK WIENIAWSKI

폴란드가 자랑하는 작곡가 비니압스키탄생 1백주년을 기념해 1935년에 시작된 콩쿨이다. 처음에는 5년마다 한 번씩 열렸지만 1981년 8회 대회 때부터 4년으로 바뀌었다.

이 콩쿨의 특색은 악기제작경연대회도 겸하고 있다는 것인데, 이것은 1957년 제13회 대회 때부터 시행되어 오고 있다. 이밖에 작곡 부문도 열리고 있는데 작곡콩쿨은 본콩쿨과 구분지어 따로 열린다.

그동안 주요 입상자들을 살펴보면 1952년에 이고르 오이스트라흐(소련, 1등), 1957년에 로샤파인(폴란드, 1등), 1962년에 찰즈 트레가(미국, 1등), 1967년에 표트르 야노브스키(폴란드, 1등), 1972년에 타치아나 그린데이엔코(소련, 1등), 1977년에 와짐 브로두스키(소련, 1등), 미하일와이만(소련, 2등) 등이다.

1986년 바이얼린콩쿨에서는 1등에 에브게니 브즈코프Ewgenij Buszkov(소련), 2등에 노부 와까바야시Nobu Wakabayashi(일본), 3등에 로베르트 카바라Rovert Kabara(폴란드)가 차지했다.

제10회 바이얼린콩쿨은 1989년 11월 9일부터 23일까지 열리며, 신청마감은 1989년 6월 1일까지이다. 연령제한은 30세까지.

한편 제7회가 되는 작곡콩쿨CONCOURS INTERNATIONAL DE COMPOSITION은 바이얼린 음악에 한하는데, 1990년에 열릴 예정이다. 연령제한은 없으며 누구도 참가할 수 있다.

연락처 : Secretariat des Concours internationaux, Henryk

Wieniawske, 7, rue Swietoslawska,

PL-61-840 Poznan, Pologne(Poland)

전화번호 : 52 26 42 또는 52 89 91

제3회 칼 닐센 국제바이얼린콩쿨

INTERNATIONAL CARL NIELSEN VIOLIN COMPETITION

덴마아크가 낳은 유명 작곡가 칼 닐센을 기념하기 위해 1980년에 시작한 콩쿨로 금년 대회가 제 3회가 된다. 연령제한은 30세까지이며, 1988년 대회는 6월 1일부터 9일까지 열렸다.

수상자 상금은 1등에 6만 D.Kr, 2등에 4만 D.Kr, 3등에 2만 5천 D.Kr, 4등에 1만 2천 D.Kr, 5등에 1만 D.Kr, 6등에 6천 D.Kr이다.

1984년 제1회 대회에서는 오사무 야구찌Osamu Yaguchi(일본)가 1등에 입상했다.

연락처 : International Carl Nielsen Violin Competition, Odense Koncerhus,

C1aus Bergsgade 9, DK5000 Odense C, Denmark.

전화번호: (09) 12 93 57

제7회 리피제르 국제바이얼린콩쿨

CONCORSO INTERNAZIONALE DI VIOLINO, PREMIO RODOLFO LIPIZER

1895년부터 1974년까지 생존했던 마에스토로 리피제르를 기념하기 위한 국제바이얼린콩쿨. 입상자 3명 (1,2,3등)에게 70여 회의 연주회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준다.

상금은 총 3천만 리라이며 1988년 대회는 9월 11일부터 18일까지 열린다. 매년 4월 30일까지 신청마감을 하며 연령제한은 32세까지이다.

1987년도 입상자는 1등에 막시밀리안 쉐너Maximilian Schoner(오스트리아), 2등에 스테판 피카르트Stephan Picard(서독), 공동 3등에 아라 마리키안Ara Malikian(서독)과 히로미 키쿠쉬Hiromi Kikuchi(서독), 5등에 유리 브라진슨키Yuri Braginsky(벨기에), 6등에 르누타슈라이 아타나시우Lenuta Ciulei Atanasiu(미국) 등이다.

연락처 : Segreteria del Concorso Internazionale die Violino,

Premio Rodolfo Lipizer, Viadon Giovanni Bosco 91, 1-34170 Gorizia, Italie.

전화번호 : (0481) 34775

칼 플레시 국제바이얼린콩쿨

CITY OF LONDON CARL FLESCH INTERNATIONAL VIOLIN COMPETITION

헝가리의 유명한 바이얼리니스트 칼 플레시(1873∼1944)가 런던에서 오랫동안 살았다는 이유로 런던 길드홀 음악학교를 중심으로 시작한 국제바이얼린경연대회로 1945년 제1회가 열렸다. 1968년부터 국제규모의 대회로 변경되었으며 이때부터 격년제로 열리고 있다.

참가연령은 1980년부터 30세까지로 제한되었으며, 입상자 상금은 1등에 5천 파운드, 2등에 3천 5백 파운드, 3등에 2천 5백 파운드, 4등에 1천 5백 파운드, 5등에 1천 파운드, 6등에 7백 5십 파운드와 특별상이 주어진다.

주요 입상자는 1945년에 1등 레이몬드코헨(영국), 1946년에 1등 노르바트 브레이닌(영국)이 차지했으며, 1968년에 요수아 에프시타인(이스라셀, 1등), 1970년에 스토이카 밀라노바(불가리아, 1등), 1972년에 챠바 엘디(헝가리, 1등), 1974년에 민초 민체프(불가리아, 1등), 강동석(한국, 2등), 1976년에 도라 슈바르츠베르크(이스라엘, 1등), 1978년에 유진 샤브르(루마니아, 1등), 1980년에 발바라 고르신스카(폴란드, 1등) 등이다.

1988년 대회는 10월 10일부터 19일까지 열리며, 다음 대회는 1990년에 개최된다.

연락처 : City of London Carl Flesch

International Violin Competition, City Arts Trust Ltd,

Bishopsgate Hall, 230 Bishopsgate,

GB- London EC2M 4QH .

전화번호 : 01 377 0540

제22회 티보바가 국제바이얼린콩쿨

CONCOURS INTERNTIONAL DE VIOLIN TIBOR VARGA

스위스의 시온에서 티보바가 페스티벌과 함께 열리는 바이얼린콩쿨로 매년 여름에 개최된다. 연령제한은 15세에서 35세까지이며, 입상자에게는 1등에 1만 스위스프랑, 2등에 5천 스위스프랑, 3등에 2천 스위스프랑이 주어지며 이밖에도 특별상이 있다.

1988년 콩쿨은 8월 11일부터 19일까지 열리며, 신청마감은 1988년 6월 30일까지이다. 1989년도 콩쿨의 신청마감도 같은 날짜이다.

1987년도 입상은 2등에 쥬라 둔제르스키Zuhra Dundjerski(오스트리아), 공동 3등에 캐드린 라부스Kathrin Rabus(서독), 루미니타 부르카Luminita Burca(루마니아), 5등에 다렐 스타크Darel stark(미국)가 차지했다.

연락처 : Secretariat du Festival Tivor Varga, Concours International de Violin,

Case postale 3374, CH-1951 Sion, Suisse

전화번호 : 027/22 66 52

루이스 스포아 국제바이얼린콩쿨

CNCOURS INTERNATIONAL DE VIOLON LOUIS SPOHR

남부 독일 프라이부르코에서 스포아를 기리기 위하여 열리는 국제바이얼린콩쿨. 연령제한은 32세까지이다.

3년마다 개최되는데, 입상자 상금은 1등에 1만 2천 도이치마르크, 2등에 8천 도이치마르크, 3등에 5천 도이치마르크가 지급된다.

1988년도는 8월 29일에서 9월 4일까지 열리는데, 신청마감은 1988년 6월 15일까지이다.

1988년 이후의 콩쿨은 1991년에 개최된다.

연락처 : Internationaler Violinwettbewerb Louis Spohr, Burgunder strasse 4,

D-7800 Freiburg, BRD

전화번호 : 0761/23380

인디애나폴리스 국제바이얼린경연대회

INTERNATIONAL VIOLIN COMPETITION OF INDIANAPOLIS

18세에서 30세까지 참가할 수 있는 국제바이얼린경연대회. 상금 총액은 20만 달러가 지급되며 이밖에도 카네기홀 데뷔 음악회를 열어주며 레코드 취입의 기회도 제공한다.

4년마다 한 번씩 열리는데, 1986년에 이어 1990년 대회는 9월 1일부터 16일까지 열리며, 신청마감은 1990년 2월 28일까지이다.

연락처 : International violin Competition of Indianapolis,

Thomas J. Beczkiewicz, Executive Director, 47 S. Pennsylvania, Suite 401,

Indianapolis, IN 46204, USA

전화번호 : 317637-4574

제10회 쿠르치 국제바이얼린콩쿨

CONCOURS INTERNAZIONALE DI VIOLINO , A. CURCI

이탈리아의 나폴리에서 매년 11월에 열리는 콩쿨로 31세까지 참가할 수 있다.

입상자 총 상금은 1천 3백만 리라이며, 1988년 콩쿨은 11월 15일부터 30일까지 열린다. 신청마감은 1988년 6월 30일까지. 1989년 콩쿨도 날짜는 마찬가지이다.

연락처 : Segreteria del Concorso di Violino Fondazione, A. Curci

Via Nardones 8, 1-80132 Napoli, Italie

전화번호 (081) 417 244

제21회 콜마르 국제실내악콩쿨

CONOURS INTERNATIONAL D'ENSEMBLES DE MUSIQUE DE CHAMBRE

피아노 삼중주, 현악 사중주, 목관 오중주 종목을 해마다 달리해서 개최하는 실내악콩쿨, 연령제한은 각 연주자 35세까지. 지난해 현악 4중주콩룰에 이어 금년도는 목관 5중주, 1989년에는 피아노 트리오, 1990년에는 현악 4중주콩쿨이 계속된다.

금년도 목관 5중주 종목은 지난 4월 6일에서 10일까지 개최되었다. 입상자 상금은 1만 프랑에서 4만 프랑까지 지급되며, 그리고 특별상과 연주회 참여의 기회도 주어진다.

1987년도 현악 4중주 부문 입상팀은 1등에 에라토 콰르텟 바젤Erato-Quartett-Basel(스위스), 2등에 휴고 볼프콰르텟 뮌헨Hugo Wolf-Quartett-Munchen(독일), 3등에 콰뚜 파리11Quatuor Paris 11(프랑스)이 차지했다.

연락처 : Hotel De Vill-Service des Activites Culturelles

F-68000 Colmar, France

전화번호 : 89 23 99 68 poste 1333

제4회 포츠머드 국제현악4중주경연대회

INTERNATIONAL STRING QUARTET COMPETUITION

영국의 포츠머드에서 2년마다 열리는 현악 4중주콩쿨로 연령제한은 팀당 합해서 120세를 넘지 말아야 한다. 1988년 대회는 4월 5일에서 13일까지 열렸다. 입상자 상금은 1등에 6천 5백 파운드, 2등에 3천 7백 5십 파운드, 3등에 2천 5백 파운드, 4등에 2천 파운드, 5등에 1천 2백 5십 파운드, 청중상에 5백 파운드, 메뉴힌상에 5백파운드가 지급된다.

연락처 : The Administrator, Civic Offices Guildhall Square,

GB-Portmouth POI 2AL.

England

전화번호 : (0705)834106

제3회 밴프 국제현악4중주콩쿨

NFF INTERNATIONAL STRING QUARTET COMPETITION

1987년 4월 2일부터 8일까지 개최되는데 1988년 12월 19일까지 신청해야 된다.

연령제한은 35세까지이며, 상금은 캐나다 달러로 3만 달러이며 기타 다른 상도 주어진다.(개최시에 공고).

연락처 : The Banff Centre C/O Alberta House 1 Mount street BOX 1020

Canda TOL OCO

전화번호: (403) 762-6231

제13회 에비앙 국제현악4중주콩쿨

CONCOURS INTERNATIONAL DE QUATUOR A CORDES

매년 5월에 열리는 국제현악4중주콩쿨로 연령제한은 각 연주자 30세까지이다. 금년도 대회는 5월 17일부터 22일까지 개최 입상자에게는 1등 9만 프랑, 2등 4만 5천 프랑, 비평가상 4만 5천 프랑, 문화성 장관상 3만 프랑, 에비방Evian상 3만 프랑, 오뜨 사보이Haute-Savoie상 2만 5천 프랑의 상금이 주어진다.

1987년도 콩쿨에서는 1등 없는 공동 2등에 콰뚜 파리 l1Quatuor Paris l1(프랑스)와 콰또이르 휴고 볼프Quatuor Hugo-Wolf(독일)가 차지했다.

연락처 : Rencontres musicales d'Evian, SEAT Chateau de Blonay, F-74500 Evian-les- Bains, France

전화번호 : 50 75 03 78, Telex 385 867 F

제14회 오페라와 발레음악국제콩쿨

CONCOURS INTERNATIONAL DE MUSIQUE D'OPERAET BALLET

나이제한, 국적제한 없이 모든 작곡가에게 해당되는 콩쿨로 1989년도 제14회 콩쿨은 오케스트라를 위한 발레음악 종목에 한함. 발송마감은 1989년 9월 30일까지. 총 상금은 3만 스위스프랑. 격년제로 개최한다.

연락처 : Concours international de musique d'opera et de bellet

Maison de la Radio, Case postage 233

CH-1211 Geneve 8, Suisse

전화번호: (022) 29 23 33

롱 티보 국제피아노와 바이얼린콩쿨

CONCOURS INTERNATIONAL DE PIANO ET DE VIOLON MARGUERITE

LONG-JACQUES THIBAUD

1943년에 프랑스의 유명 연주자인 피아니스트 마르게르트 롱(1874-1966)과 바이얼리니스트 자크 티보(1880∼1953)가창설한 국제콩쿨이다.

처음에는 3년에 한 번씩 개최되었으나 제4회 때부터는 격년제로 열리고 있다가 최근에는 바이얼린과 피아노 번갈아 매년 열린다. 연령제한은 16세부터 30세까지이며, 과제곡 중에는 포레, 생상스, 드뷔시, 라벨 등 프랑스 작곡가의 작품이 포함된다.

그동안 주요 입상자를 살펴보면 피아노에서는 1949년에 알도 치콜디니(이탈리아, 1등), 파울 바두라스코다(오스트리아,1등), 1953년에 필립 앙트르몽(프랑스, 2등), 1957년에 페터 프란클(헝가리, 1등), 가브리엘 타키노(프랑스, 3등), 1961년에 레오나르도 겔바(아르헨티나, 3등), 1965년에 엘리자베타 레온스카야(소련, 3등), 1967년에 에드워드 아우어(미국, 1등), 1971년에 블라디미르 페르츠만(소련, 1등), 파스칼로 제(프랑스, 1등), 1975년에 미하일 루디이(소련, 1등), 니나 코간(소련, 4등), 1983년에 스타니슬라프 부닌 (소련, 1등) 등이다.

바이얼린에서는 1949년에 크리스티앙 페라스(프랑스, 2등), 1957년에 보리스 구트니코프(소련, 1등), 1963년에 일리나 보치코바(소련, 1등), 1965년에 리아나 이사카제(소련, 1등), 1967년에 장 자크 캉트로브(프랑스, 4등), 1973년에 루스단 그바사리아(소련, 1등), 1975년에 알렉시스 브루시로프스키(소련, 1등), 1977년에 프로리안 파울(루마니아, 2등) 등이다.

입상자 상금은 총 20만 프랑인데, 1989년 12월 1일부터 11일까지 열리는 콩쿨에서는 피아노 부문 경연이다. 1989년 콩쿨의 신청마감은 1989년 9월 15일까지이다.

1986년 대회(피아노 부문) 입상자는 공동 1등에 유끼노 후지와라 Yukino Fujiwara(일본), 호세 카로스 코카렐리Jose Carlos Cocarelli(브라질), 3등에 베세린 스타네프Vesselin Stanev (불가리아), 4등에 안영신Young Shin An(한국), 5등에 하루꼬 우에다Haruko Ueda(일본), 6등에 교오꼬 타베Dyoko Tabe(일본) 등이다.

연락처 : Secretariat du Concours, 32, avenue Matignon

F-75008 Paris, France.

전화번호 : (1) 42 66 80

제3회 모리스 비유 국제비올라콩쿨

CONCOURS INTERNATIONAL D'ALTO, MOURICE VIEUX

3년마다 개최되는 비올라콩쿨로 개최지는 프랑스의 오를레앙이다. 제3회 콩쿨은 1989년 3월 6일부터 12일까지이며, 신청마감일은 1989년 1월 31일까지이다. 연령제한은 32세.

입상자 상금총액은 6만 프랑이며 콘서트와 리사이틀의 기회를 제공한다. 제4회 대회는 1991년에 개최하며 날짜는 추후에 발표하나 3월에 열리는 것은 변동없다.

1986년에 열린 제 2회 대회 우승자는 라앙드 통트Lars Anders Tomter(프랑스)이다.

연락처 : Contours Maurice Vieux 1989, Les Amis de L'Alto, c/o Paul Hadjaje,

llbis, rue Neuve-Saint-Germain, F-92100 Boulogne, France

전화번호: (16) 42 03 09

제22회 타레가 국제기타콩쿨

COURS INTERNATIONAL DE GUITARE, FRANCISCO TARREGA

매년 여름에 열리는 국제기타콩쿨로 1988년도 경연대회는 8월 22일부터 25일까지 열린다. 신청마감은 1988년 8월 1일까지. 연령제한은 금년도 8월 22일(콩쿨시작되는 날)을 기준으로 32세 되는 사람까지이다.

1등 입상자에게는 50만 페제타, 2등에게는 30만 페제타, 특별상인 타레가상에는 20만 페제타가 주어진다. 이밖에도 몇개의 특별상 제도가 마련되어 있다.

1987년도 1등 입상자는 프랑TM와 로랑Fransois Laurent(프랑스), 2등 입상자는 에스테르 구즈만 블랑코Esther Guzman Blanco(스페인)이다.

제23회 경연은 1989년 8월에 개최예정.

연락처 : Presidente de la Comision Organizadora del XX Ⅱ Certamen

International de Guitarra, Francisco Tarrega, Ayuntamiento de Benicasim, E-Benicasim, Espagne.

전화번호 : (964) 30 09 62

제29회 파리 국제기타콩쿨

CONCOURS INTERNATIONAL DE GUITARE, RADIO FRANCE

로베르 비달의 기획에 의해 프랑스방송 협회가 주최하는 콩쿨 1985년에 제 1회가 열렸다. 매년 열리고 있는데 이 콩쿨의 특색은 기타 연주뿐만 아니라 기타곡 작곡콩쿨도 매년 함께 열고 있다. 기간은 매년 10월 하순에 개최한다.

연락처 : Concours International de Guitare, Radio France, 116,

avenue du President- Kennedy, 75016, Paris, France

제21회 국제클래식기타콩쿨

CONCORSO INTERNAZIONALE DI CHITARRA CLASSICA,

CITTA DI ALESSANDRLA

빌라-로보스에게 경의를 표하기 위하여 제정된 이 콩쿨은 솔로 부문과 오케스트라 협연 부문으로 나누어서 진행된다.

1988년 9월 30일부터 10월 26일까지 진행되며, 신청마감일은 1988년 9월 20일까지이다.

연령은 1958년 1월 1일부터 1968년 12월 31일 사이에 출생한 사람에 한해서 참가할 수 있다.

입상자에게는 1등에 2백만 리라, 2등에 1백만 리라, 3등에 50만 리라가 주어주며, 1987년도 입상자는 1등에 아르투로 탈리니Arturo Tallini(이탈리아), 2등에 페르스카렌크Per Skareng(스웨덴), 3등에 로베르토 람보Roberto Lambo(이탈리아)가 차지했다.

연락처 : Presidente Concorso Internazionale di Chitarra Classica D Michele Pittaluga, Piazza Garibaldi 16, 1-15100 Alessandria, Italia

전화번호 : (0131) 53 170, 507 372

제10회 이스라엘 국제하프컨테스트INTERNATIONAL HARP CONTEST IN ISRAEL

A.Z.Propers에 의해 설립된 콩쿨로 35세 이하이면 누구나 참가할 수 있다. 제10회 대회는 1988년 11월 20일부터 12월3일까지 열린다. 신청마감은 5월 1일까지였다.

1등상에는 리욘 앤드 힐리 콘서트 하프Lyon and Healy Concert Harp, 2등상에는 5천 달러, 3등상에는 3천 달러, 그밖에 이스라엘 작품을 잘 연주한 입상자에게는 1천 2백 5십 달러, 그리고 그란쟈니Grandijany상에는 1천 달러가 지급된다.

1973년에 한국의 정혜연이 이 콩쿨에서 우승했다.

연락처 : International Harp Contest, 4, Aharonowitz Street,

IL-63566 Tel-Aviv, 1-srael

전화번호 : 03-280233

제9회 파리 국제하프시코드콩쿨

CONCOURS INTERNATIONAL DE CLAVECIN DE PARIS

파리에서 격년으로 열리는 하프시코드콩쿨로 연령제한은 32세까지이다.

제9회 대회는 1989년 8월에 2주간에 걸쳐 열리며, 신청마감은 1989년 6월 1일까지이다.

입상자 상금은 1등에 3만 프랑, 2등에 1만 8천 프랑, 3등에 1만 프랑이 수여된다. 이밖에도 현대음악상에 1만 2천 프랑 등이 지급된다.

지난해 8월 14일부터 22일까지 열린 대회에서는 1등에 미크로스 스파냐이Miklos Spanyi(헝가리), 2등에 아끼꼬 구와가타Akiko Kuwagata(일본), 3등에 캐롤 케라시Carole Cerasi(스웨덴)가 입상했다.

연락처 : F.E.P., 20, rue Geoffroy- I'Asnier, F-75004 Paris, France

제28회 베르디 국제성악콩쿨CONCORSO INTERNAZIONALE PER VOCI VERDIANE

일명 부세토 국제성악콩쿨이라고 불리는 경연대회로 베르디 음악에 한해서 개최된다. 매년 6월에 벌어지는데, 1988년에는 6월 15일부터 25일까지 열렸다. 신청마감은 6월 4일까지. 연령제한은 35세까지이다.

우승자에게 수여되는 상금은 1천 2백만 리라에 해당하는 금액과, 밀라노에서 발표회 그리고 조직위원회의 주관으로 라디오, 텔리비전 발표회에 출연할 수 있으며, 결승전 참가자들과 함께 부세토에서 오페라공연에 출연한다.

1987년도 입상자는 공동 1등에 카타린스첸드레냐이Katalin Szendrenyi(소프라노, 헝가리)와 아나톨리 로샤크Anatoli Loshak(바리톤, 소련)이며, 공동 2등에는 지젤 몬타네츠Giselle Montanez(소프라노, 미국)와 아이네스 프란시스카 살라자르 곤잘레스Ines Francisca Salazar Gonzales(소프라노, 베네주엘라)가 차지했으며, 3등에는 조네바 캐일런Joneva Kaylen(소프라노, 미국)이 차지했다.

연락처 : Secr. Ceneral : Elio Manzoni, Viale F. Testi, 76,

1-20126 Milano, Italie

전화번호 : 02-6471761

제26회 비냐스 국제성악콩쿨

CONCOURS INTERNATIONAL DE CHANT, FRANCISCO VINAS

매년 11월에 열리는 성악부문콩쿨로 참가자들의 연령제한이 여성의 경우는 32세이고 남성은 35세까지이다.

신청마감은 매년 10월 말일까지이며, 입상자에게는 총 3백만 페제타의 상금이 주어지며 오페라 데뷔 약속과 장학금도 지급된다.

지난 대회 입상자는 남성 성악 부문에 1등 없는 2등 입상자가 알렉산더 페딘Alexander Fedin(소련), 3등이 조르제얀 안톤Jorge-Juan Anton(스페인)이고, 여성 성악 부문에는 1등이에 마리아토마체Maia Tomadze(소련), 2등에 헬레나 루빈Helena Rubin(소련), 3등에 마리아 이사벨 레이Maria Isabel Rey(스페인)가 차지했다.

연락처 : Secretariat du Concours International de Chant,

Francisco Vinas, Bruc 125, E-08037 Barcelone, Espagne

전화번호 : 2134727-2578646

제35회 헤르토젠보쉬 국제성악경연대회

INTERNATIONAL SINGING COMPETITION'S HERTOGENBOSCH

네덜란드에서 매년 열리는 성악콩쿨로 네덜란드 음악과 현대 레퍼토리가 중심 과제곡으로 나온다. 연령제한은 32세까지이며, 상금 총액은 2만 2천 달러이다.

1988년 대회는 8월 26일부터 9월 7일까지 열리며, 제36회 대회는 1989년 8월∼9월 사이에 개최된다.

1987년 입상은 피오나 카메론Fiona Cameron(영국)이 1등을 했고, 2등은 없으며 공동 3등에 뷔리안 첸Qilian Chen(중공), 마리에 노일레 칼라타이Marie-Noelle Callatay(벨기에)가 차지했다.

연락처 : International Singing Competition's, Hertogenbosch, P.O.Box 1225

NL-5200 BG's, Hertogenbosch, Netherlands

전화번호 : (073) 13 65 69

제8회 베르비어스 국제성악콩쿨

CONCOURS INTERNATIONAL DE CHANT DE CHANT DE VERVIERS

벨기에에서 2년마다 열리는 국제성악콩쿨. 연령제한은 여성의 경우 18세에서 30세까지이고, 남성의 경우는 18세에서 35세까지이다.

제8회 대회는 1989년 9월 17일부터 24일까지 열리는데 신청마감은 1989년 8월 15일까지이다. 제9회 대회는 1991년에 열릴 예정.

1987년도 입상자는 대상에 디미트리 카리토노프Dimitri Kharitonov(소련), 남성 부문 1등에 다니엘 워싱턴Daniel Washingtion(미국), 2등에 미하일 레이소프Milhail Ryssov(소련), 3등에 장 루샤그노Jean-Luc Chaignaud(프랑스)이고, 여성 부문공동 1등에 마리아 이사벨 레이 카스텔로Maria Isabel Rey Castello(스페인), 파리다 수브라타Faridah Subrata(스위스), 3등에 퀴리안 첸 Qilian Chen(중공)이 차지했다.

연락처 : Concours international de Chant, Opera Royal de

Wallonie rue des Dominicains 1.

B-4000 Liege, Belgique

전화번호 : (32/41) 23 59 10 (교환)10

제34회 툴루즈 국제성악콩쿨

CONCOURS INTERNATIONAL DE CHANT DE LA VILLE DE TOULOUSE

프랑스의 툴루즈에서 매년 열리는 성악콩쿨로 연령제한은 18세에서 33세까지이다. 상금은 총 8만 5천 프랑이 주어진다.

1988년 콩쿨은 10월 2일부터 8일까지 열리며, 제35회 콩쿨은 1989년에 열린다. 신청마감은 매년 9월 15일까지이다.

1987년도 입상자를 살펴보면 여자 성악의 경우 1등에 메조 소프라노 나탈리아 에라소바Natalia Erassova(소련), 2등에 소프라노 마리아 레이 카스텔로Maria Rey-Castello(스페인), 3등에 메조 소프라노 조종미Chong-Mi Cho (북한)가 차지했고, 남자의 경우 2등에 베이스 공돈 지안Don-Jian(중공), 3등에 바리톤 토마스 비티그Thomas 벵경(동독)가 차지했다.

연락처 : Secretariat du Concours, Theatre du Capitole,

F-31000 Toulouse, France

전화번호 : 61 23 21 35 Te1ex : 530891

파리 국제성악과 실내악콩쿨

CONCOURS INTERNATIONAL DE CHANT ET D'ENSEMBLES DE MUSIQUE

DE CHAMBRE DE PARIS

성악과 실내악을 1년씩 번갈아가며 개최하는 콩쿨로 연령제한은 금년도의 성악 부문 경우 테너는 34세, 바리톤은 36세, 소프라노는 32세 , 메조와 알토는 34세까지이다. 실내악은 35세까지이다.

입상자 상금은 총 20만 프랑이다.

1986년도 성악경연대회의 경우 입상자는 대상에 리차드 코완Richard Cowan(바리톤, 미국), 1등에 시미나 이반Simina Ivan(소프라노, 루마니아), 2등에 로빈 타바크니크Robin Tabachnik(메조 소프라노, 미국) 등이다.

1988년에는 성악 부문콩쿨로 11월 17일부터 24일까지 열린다. 신청마감은 10월 3일까지.

1989년에는 실내악, 1990년에는 다시 성악 부문이 개최된다.

연락처 : Secretariat, 10, rue du Dome,

F-75116 Paris, France

전화번호 : 47 04 76 38

제4회 토스카니니 국제지휘자콩쿨

CONCOURS INTERNATIONAL DE DIRECTION D'ORCHESTRE,

ARTURO TOSCANINI

이탈리아의 파르마에서 개최되는 국제지휘자콩쿨로 2년마다 한 번씩 열린다. 연령제한은 32세까지. 입상자 상금은 1등에 5백만 리라, 2등에 2백 50만 리라, 3등에 1백 50만 리라가 지급된다.

1987년 제3회 콩쿨의 입상자는 공동 1등에 카주시 오노Kazushi Ono(일본)와 올라프 멘졸트Olaf Meenzold(동독)가 차지했으며, 3등에 안토니오 피롤리Antonio Pirolli(이탈리아)가 차지했다.

이 콩쿨은 고드프레도 페트라씨GOFFREDO PETRASSI 국제작곡콩쿨과 동시에 개최되는데, 1987년도 작곡콩쿨에서는 2등에 에른스트 헬무트 플라머Ernst Helmut Flammer(서독)와 3등에 스테파노 게르바소니Stefano Gervasoni(이탈리아)가 차지했다. 제4회 토스카니니 지휘자콩쿨과 제3회 페트라씨 작곡콩쿨은 1989년도에 개최된다.

연락처 : Segreteria dei Concorsi Internazionali di Direzione d'Orchestra, A.Toscanini edi Composizione, G. Petrassi-c/o Orchestra Sinfonica

dell Emilia- Romagna, A. Toscanini

P. le Cesare Battisti, 15-1-43100 Parma Italia.

전화번호 : (0521) 39829-30478-208121

Te1ex : 311165 OSER 1

제15회 카라얀 국제지휘자콩쿨

CONCOURS INTERNATIONAL DE DIRECTION D'ORCHESTRE,

HERBERT VON KARAJAN

서베를린에 있는 카라얀 재단 주최의 지휘자콩쿨로 1969년에 제1회가 열렸다. 2년마다 한 번씩 열리는데 연령제한은 20세부터 30세까지이다. 3회의 예선과 2회의 본선을 거쳐야 되는데, 입상자 연주 때는 베를린 필 지휘를 하게 되며, 1등 입상자에게는 1만 마르크의 상금이 주어진다.

1989년 9월에 제15회 대회가 열릴 예정이다.

그동안의 주요 입상자를 살펴보면 1969년 제1회 때 오코카므(핀란드, 1등), 디미트리 기타엔코(소련, 2등), 1971년에 가브리엘 츄무라(이스라엘, 1등), 1973년에 도이즈미(小泉和裕, 일본, 공동 1등), 바실리 시나스키(소련, 공동 1등), 1975년에 다니엘 오랜(이스라엘, 1등), 1977년헤 발레리 게르제프(소련, 1등 없는 2등), 금난새(한국, 4등), 1979년에 로날드 브라운 스틴(미국, 1등), 브루노바일(서독, 2등) 등이다.

연락처 : Herbert-von-Karajan-Stifrung, Berlin 15, Bundesalee 1-12, BRd(West Germany)

제38회 브장송 국제지휘자콩쿨

CONCOURS INTERNATIONAL DE JERNES CHEFS D'ORCHESTRE

매년 8월에서 9월 사이에 개최되는 국제지휘자콩쿨로 1988년도는 9월에 개최된다. 연령제한은 1988년 10월 1일을 기준으로 하여 30세까지 신청마감은 매년 5월 15일까지 접수를 받는다.

입상자에게는 1등에 프랑스 문화성장관이 수여하는 2만 프랑과 금메달, 이밖에 Credit Agricole지역은행에서 주어지는 1만 프랑의 상금이 입상자에게 지급되며, 프랑스의 오케스트라에 참여하는 특전도 주어진다.

1987년도 1등 입상자는 니콜라스 파스퀘트Nicolas Pasquet(유고슬라비아)가 차지했다.

연락처 : Secretariat du Concours, 2d, rue Isenbart, F-25000

Besanon, France

전화번호 : 81 80 73 26

마리 호세 여왕 작곡상

PRIX DE COMPOSITION MUSICALE, REINE MARIE JOSE

나이제한도 국적제한도 없으나 콩쿨의 주제가 주어지는 국제작곡콩쿨로 격년제로 개최된다. 상금은 1만 스위스프랑.

1988년도 대회는 11월에 개최되며 신청마감은 1988년 5월 31일까지이다. 이번대회의 주제는 CHCEUR CHAMBREA CAPPELLA, ou CHCEUR CHAMBRE AVEC UN INSTRUMENTISTE, 기타 자세한 것은 콩쿨비서실에 연락 바라고 있다.

1986년 1등 입상자는 테로 하우타 아오Teppo Hauta-Aho(핀란드)가 차지했다.

연락처 : Secretariat du Prix de composition musicale, Reine Marie-Jose

Merlinge. CH-1251 GY-Gen-eve, Suisse.

제27회 트리스테 국제작곡콩쿨

EMIO CITTA DI TRIESTE, CONCOURS INTERNATIONAL DE COMPOSITION

이탈리아의 트리스테에서 매년 개최되는 작곡국제콩쿨로, 연령제한이 없으나 매년 테마가 주어진다.

1988년도 테마는 「오케스트라만을 위한 작곡」으로 1988년 8월 31일까지 마감된다. 1989년도 작곡콩쿨의 테마는 「두 개의 목관 솔리스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이중 협주곡」이며 마감일은 역시 8월 31일까지이다.

1987년도에는 「연주되지 않고 발표되지 않은 악기 또는 오케스트라를 위한 곡」이테마였는데, 1등 입상자는 아우렐리오 사모리Luis Mucillo(아르헨티나), 공동 3등에 루이스 무칠로Aurelio Samori(이탈리아)와 보찌다르 코스Bozidar Kos(유고)이다.

연락처 : Premio Citla di Trieste, Palazzo Municipale, Piazza dell'Unita d'Italia, 4

1-34100 Trieste, Italie.

전화번호 : 67 51

이밖에도 국제음악콩쿨은 수없이 많다. 피아노, 작곡 두 부문에 걸쳐 격년제로 열리는 알프레드 카셀라 국제콩쿨(이탈리아), 1966년에 창설되어 격년제로 열리는 파리 국제하프시코드콩쿨, 잘츠부르크의 모짜르트 주간 행사에서 열리는 잘츠부르크 국제모짜르트콩쿨도 한 번 도전해 볼 만한 유명 콩쿨이다.

이 잘츠부르크 국제모짜르트콩쿨은 처음에 성악과 피아노 두 부문이었는데, 1978년부터 바이얼린 부문도 추가되었다. 입상자로는 성악에 이슈트반 가티(제1회, 1등), 피아노에 다이안 원슈(제1회, 2등)

1978년도 바이얼린 부문에서는 토마스 제헤트마이어가 차지해 이 콩쿨의 성가를 높였다.

이밖에도 이탈리아의 마리오 델 모나코국제콩쿨. 이 콩쿨에서는 독일에서 활동하는 한국인 베이스 강병운, 소프라노 한민회가 1979년도에 우승하기도 했다. 또한 바이얼리니스트 정경화가 1967년에 도전하여 우승한 미국의 리벤트리트 국제콩쿨, 1981년에 첼리스트 조영창이 4등으로 입상한 로스트로포비치 국제콩쿨, 역시 조영창이 1985년에 코다이 음악상을 받은 카잘스 국제콩쿨, 바이얼리니스트 김영욱이 1965년에 우승한 워싱턴의 메리위도우 국제음악경연대회, 피아니스트 민혜성이 1985년에 우승한 영국의 뉴포트 국제피아노경연대회, 작곡가 진은숙이 1985년에 우승한 가우데아무스(네덜란드) 현대음악콩쿨 등도 한 번 도전해 볼만한 세계적 규모의 음악콩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