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해외예술

유명 뮤직 매니지먼트 컴패니와 정상급 연주자들




이인해 / 월간「객석」편집부장

매니저 하면 떠오르는 것이 연예인의 막후에서 「어떤 무대에 누구를 어떻게 내세우면 흥행에 성공할 수 있는가」에 관심을 가지고 사업을 벌이는 비즈니스맨의 모습이다. 공연예술계의 매니저도 가요계나 프로 권투계의 그것과 다를 것이없이 「어느 연주자를 어떤 무대에 세워야 흥행에 성공할 수 있는가」를 따지는 비즈니스맨이다. 매니저들은 크든 작든 회사(매니지먼트 컴패니)를 차리고 흥행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는 아티스트들을 확보하고 아티스트와 청중 사이에 연주무대를 마련한다. 그렇기 때문에 아티스트의 입장에서는 자기 예술행위에 관심을 기울여도 매니저 입장에서는 티켓판매에 보다더 신경을 쓰게 된다. 여기에서 각 매니지먼트 컴패니는 세계일류급의 아티스트를 확보하기에 서로 혈안이 되어 있다. 일류급 아티스트와 티켓판매는 반드시 비례하는 것은 아니나 매니지먼트의 사업적 수완만 잘 발휘하면 손해보는 장사는 면하게 되는 것이 일류급 아티스트의 무대이다. 최소한 안정권안에서 장사를 벌일 수 있기 때문에 각 매니지먼트 컴패니에서는 일류급 아티스트을 확보하고 그들 자신이 일류급 아티스트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아트스트에 대한 매니지먼트의 횡포도 없지않다. 아트매니지먼트라고 하면 예술행위를 우선 생각해야 하는데 흥행만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 무명의 아티스트가 하루 아침에 스타가 되기도 하고, 오랜 세월 각고의 노력 끝에 정상을 바라보는 아티스트가 한순간에사장되기도 한다. 천부적 재능과 노력만 있으면 인류급 아티스트가 될 수 있었던 옛날과는 달리 오늘날에는 흥행이라는 괴물이 그들에게 항상 따라다니기 때문에 매니지먼트의 역할과수완이 필요한 것이고,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하는 것이다.

매니지먼트의 역할

이처럼 매니지먼트이 횡포와 문제점이 나타나더라도 오늘날 예술행위에 있어서 그들의 역할이 없어서는 예술행위 자체가 이루어질 수 없다. 쉽게 말하면 아티스트와 무대, 아티스트와 청중이 만날 수 있도록 하는 매니지먼트의 교량 역할이 있어야 무대에서의 예술행위가 펼쳐질 수 있는 것이다. 뿐만아니라 매니지먼트 컴패니는 아티스트가 정상급이 될 수 있도록 모든 일을 도와주고 있다. 공연기획에서부터 무대마련, 선전홍보, 티켓판매, 보다 좋은 조건에서 예술행위를 할 수 있는 공연주선, 아티스트 개개인의 장점을 최대한 살려 그를 정상급으로 만드는 일 등. 그러기에 매니지먼트 컴패니는 세계무대를 지향하는 아티스트에게 없어서는 안 될 존재이다.

매니지먼트와 아티스트사이에 이런 함수 관계가 있기 때문에, 그리고 매니지먼트의 수완없이는 아티스트가 세계 예술무대에서 성공할 수 없기 때문에 오늘날 아티스트들은 저마다 이름있는 아트매니지먼트에 소속되기를 희망한다. 매니지먼트 컴패니는 흥행성은 곧 예술성이라는 공식을 창조하고, 오늘날 예술세계에서는 정상급 인물=재능 20퍼센트+노력 30퍼센트+니지먼트 50퍼센트의 등식이 성립되고 있기 때문에 세계 무대를 향해 뛰려는 아티스트는 소위 말하는 대형 매니지먼트에 소속되려고 필사적인 노력을 하는 것이다. 연주자의 세계적 콩쿨에 도전하는 것이 그 까닭이며, 대형 매니지먼트 컴패니가 밀집되어 있는 뉴욕이나 런던같은 곳에서 데뷔무대를 가져 성공하려는 것도 그 까닭이다. 매니지먼트 컴패니에 들어가는 일은 이밖에도 유명 아티스트의 추천을 받아 선택 될 수도 있고, 공개 오디션을 통해 선정될 수도 있다.

현재 미국에는 약 500개가 넘는 크고 작은 매니지먼트 컴패니가 있으며, 그 중 90퍼센트 정도가 뉴욕에 집중되어 있다. 그들은 미국내의 예술시장만 쥐고 있는 것이 아니라 전세계의 예술시장을 거의 다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유럽의 대형 매니지먼트 컴패니도 뉴욕의 대형 프로모터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뿐만아니라 이들이 하는 일도 분업화 되어있다. 아티스트를 확보하고 공급을 주로하는 「아트매니지먼트」가 있는가 하면, 공연기획을 전문으로 하는 「콘서트매니지먼트」 그리고 무대제작과 PR 등을 전문으로 하는 「에이전트」가 있다. 그 규모도 뮤직매니지먼트의 경우, 유명 연주가들이 소속되기를 바라는 CAMI나 ICM 등은 사장밑에 십여 명의 부사장급들이 포진되어 있고, 그 산하에 유명 아티스트를 확보하고 있는 매니저들이 일정 커미션을 지불하고 CAMI나 ICM의 브랜드를 사용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처럼 막강한 위력을 과시하는 매니지먼트를 하기 위해서는 어떤 조건을 갖추어야 할까? 첫째는 아티스트에게 개런티를 지불할 수 있는 자본력이 있어야 한다. 자본력이 있어야 그들이 내세우는 아티스트를 위해 기획에서부터 홍보, 티켓판매에 까지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유능한 아티스트를 발견하고, 발굴해내고, 소속시켜야 한다. 수요에 맞게 그때그때 공급해야 할 능력이 있어야 되는 것이다. 제작자이며 매니저인 디아길레프가 스트라빈스키를 발견하고 라벨에게 걸작을 남기게 한 것과 같이, 천재를 발견하는 천재성이 그들에게 있어야 하는 것이다. 셋째로는 기획에서부터 티켓판매까지 성공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완벽한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매니지먼트는 스타를 발견하는 능력도 있어야 하지만 스타를 만드는 재능도 있어야 하는 것이다.

아트매니지먼트는 최소한 이 세가지 조건을 갖추고 있어야 아티스트의 무형의 재화를 청중들에게 공급하여 유형의 재화로 만들 수 있는 황금의 손을 가질 수 있다.

그러면서 그들은 또한 흥행의 성정과 함께 새로운 청중을 형성해 나갈 수 있는 것이다.

이제 우리나라도 서서히 아트매니지먼트의 필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고 있다. 외국 아티스트의 초청 케이스도 많아지고 이따금씩 국내 아티스트의 수출도 이루어지고 있다. 아티스트가 공연기획에서부터 티켓판매까지 하던 시대는 이제 서서히 물러가고 있다. 매니저가 있는 예술행위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고, 그래야 만이 예술시장도 넓어지는 것이다.

외국 아티스트의 수입 문제도 마찬가지이다. 그동안 외국 아티스트들의 국내 초청은 우선 그들의 극동공연 일정을 추적해서 국내일정, 개런티, 흥행성 여부가 어느 정도 맞아 들어가면 협상에 들어갔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거의 대부분 그들이 흥행권을 선점하고 있는 일본 매니지먼트와의 재 계약방식을 취하다 보니 우리의 입장에서는 불리한 조건을 안고서 그 아티스트를 수입해야만 했다. 수입하는 아티스트에 대한 개런티 지불 문제에서도 거의 대부분 좀더 덜 주고 들여 올 수 있는데도 비싸게 주고 사는 경우가 없지 않았고, 수입하는 아티스트의 수준 자체도 정직한 평가가 결여될 경우가 있을뿐더러 그들의 질을 신화적으로 강조하여 국내 청중을 오도하는 경우도 없지 않다. A급의 아티스트가 소문없이 우리나라 무대에 섰다가 쓸쓸히 떠나가는가 하면 B급, C급의 아티스트가 호황된 갈채 속에서 무대에 서기도 한다. 아직은 협소하기 짝이 없는 국내예술시장, 매니지먼트의 역사도 일천한 우리의 흥행계. 그러나 우리도 이제는 매일같이 어느 곳에선가는 음악회가 열리고 공연예술 행위가 무대에서 펼쳐진다. 그렇기 때문에 이 시점에서 무엇이 매니지먼트이고, 누가 정상급이고 아니면 정상에 도전하는 아티스트인가는 알고 있어야 할 것이다. 지금 세계예술의 흥행은 뉴욕의 매니지먼트들 손아귀에 있다. 앞에서도 밝혔지만 뉴욕에만 해도 4백여 개가 넘는 매니지먼트 컴패니가 있고, 인종의 흑과 백, 양의 동서를 떠나서 정상급에서 신인급들까지 거의 대부분의 아티스트들이 뉴욕의 매니지먼트 컴패니에 소속되어 있다.

이런 실정에서 세계무대에 도전하는 연주가들이 동경하는 뮤직매니지먼트는 어느 곳이고, 그곳에 속해 있는 정상급, 또는 정상에 도전하는 연주가들은 누구인가를 알아본다.

이들은 연주실력에서 정상급일 수도 있고, 매니지먼트의 수완에 의해서 정상급일수도 있다. 어떻든 재능과 노력과 매니지먼트의 삼위일체 속에서 세계무대에서 그 이름이 알려진 아티스트들. 이들 중에는 스페셜리스트도 있을 것이고, 정상급 또는 정상에 도전하는 A급도 있을 것이다. 매니지먼트의 입장에서 생각할 때 최소한 이정도의 연주자급이 되어야 예술성=흥행성의 등식이 성립된다고 볼 수 있다.

※매니지먼트 컴패니는 뉴욕 중심으로 선정했으며, 런던에 본사를 두고 있는 몇 개 사도 고려했다. 아티스트도 주로 미국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사람으로 선정했으며, 지휘자 레오나르드 번스타인 Leonard Bernstein처럼 대여섯 군데의 매니저를 가지고 있는 아티스트와 피아니스트 블라드미르 호르비츠 Vladimir Horowitz처럼 프리로 활동하는 최정상급이라도 제외시켰다. 또한 미국내 매니지먼트 컴패니에 소속되어 있지 않은 유럽의 몇몇 정상급들(주로 지휘자)과 공산권의 정상급 아티스트들도 제외되었다.

매니지먼트 컴패니 CAMI는 Columbia Artists Management Inc.의 약자이며, 아티스트 이름밑에 명기한 영문자가 소속 매니지먼트 컴패니이다. 아티스트는 장르별로 구분, 많은 아티스트를 확보하고 있는 매니지먼트 컴패니 순서로 게재했다.

● 32명의 명지휘자

모세 아츠몬 Moshe Atzmon

ICM Artists, Ltd.

1931년 7월30일 헝가리 부다페스트 출생. 이스라엘 텔아비브 아카데미에서 공부했다. 호른 연주자로 출발했다가 지휘로 전향, 67년 잘츠부르크 음악제에서 데뷔했다. 69년 시드니 교향악단 수석지휘자, 72년 함부르크 북독일 교향악단 음악감독, 77년부터 바젤 교향악단 상임지휘자로 활동하고 있다. 리버풀 국제지휘자 콩쿨 우승의 경력이 있으며, 다이나믹한 지휘가 특징이다.

알도 체카토 Aldo Ceccato

ICM Artists, Ltd.

1934년 2월 18일 이탈리아 밀라노 출생. 베르디 음악원, 베를린 음대, 시에나의 카지아나 음악원에서 공부한 후 밀라노에서 지휘자로 데뷔했다. 73년에 미국 디트로이트 교향악단 음악감독, 76년부터는 독일 함부르크 필하모니 상임지휘자로 활동하고 있다. 오페라와 콘서트 지휘자를 함께 한 것이 특징으로, 유려한 지휘솜씨를 보이고 있다.

정명훈 Myung-whun Chung

ICM Artists,Ltd.

1953년 한국 서울 출생. 5세 때부터 피아노를 시작, 7세 대 서울시향과 협연, 9세 대 미국 시애틀 교향악단과 협연하는 등 주목을 끌었다. 73년 뮌헨 국제콩쿨 피아노 부분 2위, 74년 차이코프스키 국제콩쿨 피아노 부분 2위 입상으로 세계무대에 등장했다. 그러다가 78년 로스앤젤레스필의 부지휘자가 되면서 지휘자로 변신, 84년 베를린필을 객원지휘하여 세계지휘계의 유망주로 부상했다. 현재 자브뤼켄 방송교향악단 상임지휘자를 맡고 있으며, 이스라엘 필도 객원지휘하고 있다.

리카르토 샤이 Ricardo Chailly

ICM Artists,Ltd.

1953년 이탈리아 밀라노 출생. 밀라노음악원에서 작곡을, 시에나의 키지 음악원에서 지휘를 공부했다. 68년 15세의 나이로 베네치 실내합주단을 지휘하여 데뷔했다. 70년 스칼라 극장 부지휘자, 72년에는 밀라노에서 오페라 지휘를 하여 성공했다. 74년 시카고 리릭오페라 무대에서「나비부인」을 지휘, 미국음악계에 데뷔하여 21세에 그는 벌써 세계적 지휘자로 부상했다. 82년부터 베를린 방송교향악단 지휘자. 이밖에도 런던필, 로열필, 스칼라 극장 오케스트라를 맡고 있는 그는 자연스러운 소리를 추구하는 스타잉鱁이다.

샤를르 뒤트와 Charies Dutoit

ICM Artists,Ltd.

196년 스위스 로잔 출생. 로잔과 제네바의 음악원을 거쳐 베네치아의 마르첼로 음악원에서 수업했다. 64년 베른첼로 교향악단의 지휘잘 등장해 3년 후에 수석지휘자가 되었다. 유럽 무대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다가 78년부터 캐나다의 몬트리올 음악감독으로 있는데, 감정에 빠져들지 않으면서도 생동감 넘치는 연주를 한다는 평이다.

로렌츠 포스터 Lowrens Foster

ICM Artists,Ltd.

1941년 로스앤젤레스에서 출생. 갈뵘과 부르노 발터에게 사사받았다. 1960년 지휘자로 데뷔하여 4년간 미국 청소년음악가 재단의 음악감독, 65년 로스앤젤레스 필하모니 부지휘자, 7년부터 휴스턴 교향악단의 음악감독으로 있으며, 79년부터는 몬테카를로 국제가극장 음악감독을 겸임하고 있다.

알렉산더 깁슨 Alezxander Gibson

ICM Artists,Ltd.

1926년 영국 스코틀랜드의 머더웰 출생. 글래스고우 대학과 런던 왕립음악대학을 거쳐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에서 공부하면서 마르케비치에게 지휘법을 사사받았다. 5년 스코티시 관현악단 보조지휘자, 54년부터는 새들러즈웰즈 발레의 지휘자, 59년부터는 스코타시 내셔널 관현악단 상임지휘자가 되었다. 단정하고 명쾌한 해석으로 지휘를 하는 그는 앞으로 활약할 영국지휘자로 기대를 받고 있다.

권터 헤르비히 Gunter Herbig

ICM Artists,Ltd.

1931년 체코슬로바키아 출생. 독일의 바이마르 리스트 음악원에서 바이올린과 지휘 전공. 57년 바이마르 국립가극장의 악장으로 있다가 62년 포츠담 시의 음악감독, 66년 베를린 교향악단 지휘자, 7년 드렌스덴필의 상임지휘자, 78년부터는 베를린 교향악단의 수석지휘자로 활동하고 있다. 독일의 전통적인 고전적 연주가 특징이다.

제임스 리바인 James Levine

ICM Artists,Ltd.

1943년 6월 23일 미국 신시내티에서 출생. 줄리어드 음악원에서 피아노와 지휘 전공. 조지 셀의 권유에 따라 클리블랜드 관현악단의 보조지휘자로 있다가 1971년 메트로폴리탄 가극장에서「토스카」지휘의 성공을 계기로 단번에 미국악단의 총아가 되었다. 73년 메트의 수석지휘자. 76년부터는 음악감독을 맡고 있으며, 젊고 싱싱한 소리로 현재 미국이 낳은 지휘자로 가장 눈부신 활동을 보이고 있다.

헤수스 로페스-코보스 Jeasus Lopez Cobos

ICM Artists,Ltd.

1940년 스페인에서 출생. 마드리드 대학에서 철학을 전공했으나 비엔나에서 지휘로 바꿔 69년 브잔손 국제지휘자 콩쿨에 출전, 1위를 했다. 이를 계기로 프라하에서 지휘잘 데뷔, 70년에 베를린 도이치오페라, 72년 잘츠부르크 음악제에서 비엔나 필하모니를 지휘하는 등 주로 오페라 지휘자로 유럽과 미국 무대에서 맹활약했으며. 80년부터 베를 도이치오페라의 음악감독으로 있다.

주빈 메타 Zubin Mehta

ICM Artists,Ltd.

936년 인도 봄베이 출생. 7세 대부터 피아노, 바디올린을 배웠고, 10세때는 지휘봉을 들었다. 본격적인 지휘법 수업은 18세에 비엔나 국립아카데미에 유학하면서부터이다. 그러다가 58년 리버풀 국제지휘자 콩쿨에서 우승하면서부터 두각을 나타내 60년 몬트리올 심포니 음악감독, 63년에는 로스앤젤레스필의 음악감독 겸 상임지휘자로 있다가 76년 불레즈의 뒤를 이어 뉴욕필을 이끌고 있다.

헬무트 릴링 Helmouth Rilling

ICM Artists,Ltd.

933년 독일의 슈투트가르트 출생. 슈투트가르트 음대에서 오르간, 작곡, 합창지휘를 전공, 다시 로마의 성 시칠리아 음악원에서 제르마니에게 오르간을 사사하고 57년에 슈투트가르트 기념 교회의 합창지휘자로 출발했다. 65년부터 슈투트가르트 바하 관현악단의 지휘자로 있으면서 적극적으로 국외연주를 펼쳤다. 바하 음악의 현대적 해석에서 세계 제1인자로 평가된다.

스타니슬라프 스크로바체프스키 Stanislaw Sktowaczewski

ICM Artists,Ltd.

19년 폴란드 주보프 출생. 주보프 음악원에서 수폂한 뒤 파리에 유학, 나디아 블랑제 여사와 파울 클레쯔키에게 사사받았다. 피아노와 작곡도 했지만 48년부터 지휘자로 나서서 바르샤바 국립필 지휘자, 60년부터는 미국에 건너가 미네아폴리스 교향악단 상임지휘자로 활동했다. 70년부터는 이 악단이 미네아폴리스 교향악단 상임지휘자로 활동했다. 70년부터는 이 악단이 미네소타 교향악단으로 명칭이 바뀌었고, 스크로바체프스키는 음악감독을 맡았으며, 이밖에도 유럽 유명악단의 객원을 맡고 있다.

레오폴드 하거 Leopold Hager

Thea Dispeker Artists Represetave

1935년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출생. 모차르테움 음악원에서 지휘 전공, 57년 마인쯔의 가극장 지휘자로 데뷔. 65년 프라이부르크 가극장 음악감독, 68년부터는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음악원 관현악단 수석지휘자로 있으며, 유럽무대에서 주로 오페라 지휘의 큰 몫을 하고 있다. 소박하고 자연스러우면서 모차르트 음악에 탁월한 솜씨를 보이고 있다.

구스티프 쿤 Gustav Kuhn

Thea Dispeker Arists Representative

1946년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출생. 모차르테움을 거쳐 비엔나 국립아카데미에서 지휘법을 공부했다. 69년 모차르테움 관현악단을 지휘하면서 데뷔, 같은 해에 프랑스 국립방송 지휘자 콩쿨에서 우승하면서 국제무대에 등장했다. 70년 이스탄불 국립가극장에서 오페라를 지휘,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76년에는 비엔나 국립가극장, 78년에는 잘츠부르크 음악제에 출연해 선풍을 일으켰다. 83년부터 본 오페라하우스 음악감독과 수석지휘자를 맡고 있다.

라인하르트 페터스 Reinhard Peters

Thea Dispeker Arists Representative

1926년 독일 마그데부르크 출생. 마그데부르크 음악원에서 공부, 45년 베를린 국립가극장 오케스트라의 바이올리니스트로 악단에 데뷔했다. 51년에 제1회 부잔손 국제지휘자 콩쿨 우승으로 주목받았다. 그후 라인오페라 음악감독, 74년부터는 필하모니아 푼카리카 관현악단 수석지휘자로 있으며, 구성이 견실하고 학구적인 지휘자로 알려져 있다.

레이몬드 레파드 Raymond Leppard

Colbert Artists Management Inc.

197년 영국 출생. 트리니티 대학과트 출새이 부다페스트 음악원에서 코다이, 바르톡, 도흐나니에게 피아노, 작곡, 지휘법을 배웠다. 33년부터 39년까지 부다페스트 nrflq가극장 전속지휘자, 37년에는 잘츠부르크 음악제에 참가하여 토스칸니니 군수로 있기도 했다. 42년에는 제네바 국제콩쿨에서 피아노부문 1위를 차지했다. 47년 뮌헨 국립가극장 음악감독, 52년 프랑크푸르트 시립가극장 음악감독, 61년에는 코벤트가든의 음악감독, 69년부터는 시카고 교향악단을 이끌고 있다. 말러의 교향곡은 명연주로 평가받고 있다.

실비오 바르비조 Silvio Varviso

Coletr Artists Management, Inc.

1924년 스위스 취리히에서 출생, 취리히 음악원에서 피아노와 지휘 전공. 상 갈레(스위스에서「마적」으로 지휘계 데뷔. 50년 바젤 국립가극장 지휘자, 6년에는 메트로폴리탄 가극장에 데뷔, 64년에는 스톡홀름 가극장 음악감독, 7년에는 슈투느가르트 가극장 음악감독, 80년부터는 파리 오페라극장의 음악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탈리아와 독일의 오페라를 두루 섭렵, 케임브리지대학에서 공부. 쳄발로 주자로 활약하다가 52년 레파드앙상블을 조직하여 바로크 음악의 지휘로 알려지게 되었다. 53년 글라인드본 음악제 부지휘자가 되었고, 그 뒤에는 영국 실내관현악단 음악감독과 코벤트가든 오페라의 지휘를 맡았다. 이때부터 그는 메트로폴리탄 가극장 수석지휘자를 맡는 등 세계적 지휘자로 부상하였다. 현재 케임브리지에서 강의를 하며, 세계 각지에서 쳄발로 주자와 활동을 하고 있다.

게오르크 솔티 Georg Solti

Coletr Artists Management, Inc.

921년 10월 2일 헝가리 부다페스트 출생. 풍부한 레퍼터리가 장기이다.

세르지 보도 Serge Baudo

Shaw Concert Inc.

927년 프랑스 마르세이유 출생. 파리음악원에서 공부, 52년 라무뢰 관현악단을 지휘하여 데뷔했다. 그 뒤 프랑스 국립방송관현악단, 콜론느관현악단, 파리 오페라극장 관현악단을 객원지휘하여 실력을 인정받고 체코필, 스위스 로앙드오케스트라, 이스라엘필, 스칼라 극장 오케스트라, 베를린 국립가극장 오케스트라 등에 초청 지휘를 했으며, 현대작품과 프랑스 음악에 강하다는 평을 받았으며, 작곡자로도 활약, 여러 작품을 썼다.

라파엘 프뤼벡 데 부르고스 Raphael Fruhbeck de Burgos

Shaw Concert Inc.

94년 스페인 브르고스 출생. 마드리드 음악원에서 수학, 0세에 마드리드에서 오페라와 발레의 지휘를 하다가, 다시 뮌헨에 가 공부를 계속했다. 59년 빌바오 시립관현악단 지휘자가 되었다. 이제 유럽정상급 지휘자가 된 그는 62년 스페인 국립관현악단 상임지휘자가 되었고 7년부터는 몬트리올 교향악단 음악감독도 겸임하고 있다. 현대적 리듬감이 뛰어나고 스페인음악 해석에서는 세계 최정상이다.

엘리아우 인발 Eliahu Inbal

Shaw Concert Inc.

96년 이스라엘 예루살렘 출생. 예루살렘 음악원과 동아카데미에서 바이올린을 전공했다. 58년까지 바이올리니스트로 활동하다가 지휘로 전향, 레오나르드 번스타인의 지도를 받는 한편 유럽에서 지휘법을 마스터했다. 63년 이탈리아의 노바라에서 열린 구이도 칸델리 지휘자 콩쿨에서 우승함으로써 유럽 무대에 알려지게 되었다. 앞으로 오페라 지휘에서 두각을 보일 유망주이다.

피에르 불레즈 Pierre Boulez

Ingpen & Williams Limited

1925년 월 6일 프랑스 몽브리룽 출생. 17세 때 파리 음악원에 들어가 메시앙에게 작곡을 배웠으며, 45년수석 졸업하고 48년 파리의 마리니 극장 음악감독이 되었다. 불레즈의 지휘법은 이곳에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54년 현대음악 연주단체인 도메느뮤지컬을 창립했고, 이때부터 작곡가와 지휘자로서 창립했고, 이때부터 작곡가와 지휘자로서 왕성한 활동을 했다. 7년부터는 영국 BBC을 76년에는 뉴욕필을 사임하고, 현재는 객원지휘와 작곡에 몰두하고 있다.

미하엘 길렌 Michael Gielen

Ingpen & Williams Limied

97년0일 독일의 드레스덴 출생이나 아르헨티나로 이주하여, 부에노스아이레스 음악원에서 공부, 테아트르콜론의 보조지휘자로 출발했다. 50년부터 비엔나 국립가극장의 보조지휘자로 있다가. 69년벨기에 국립교향악단 음악감독, 이어 네덜란드 가극장의 수석지휘자, 77년 이후에는 프랑크푸르트 국립가극장의 음악감독으로 있다. 작곡가로도 활동하며 현대작품에 깊은 통찰력을 가지고 있다.

크리스토퍼 호그우드 Christopher Howood

Harrison Parrott Ltd.

9년 9월 10일 영국의 노팅검에서 출생. 60년 케임브리지대하가에 진학하여 푸야나, 레온하르트에게 챔발로를 배웠다. 66년 먼로가 조직한 런던 고음악 콘소르트에 쳄발로 주자로 입단. 68년부터는 아카데미 실내관현악단의 솔리스트로 참여했다. 73년 고음악아카데미를 창립하면서 지휘자로 부상했다. 현재 그는 고음악 학자요, 지휘자·챔발로 주자로 고음악 재현의 세계 제인잘 평가되고 있다.

니콜라우스 하르논쿠르 Nikolaus Hanoncurt

Mried Aners Artists Management, Inc.

1929년 독일의 베를린 출생. 1948년 비엔나 음악아크데미에서 파울 그뤼머에게 첼로를 배우며 고음악에 흥미를 가졌다. 52년부터 69년까지 비엔나필의 첼리스트로 활동, 54년에는 고음악을 주로 연주하는 앙상블 비엔나 콘첼투스 무지쿠스르 조직항 16~18세기 고음악을 재현하고 있다.

찰즈 그로브스 Chrles Goves

Herbert Barrett Mangement.

1915년 런던에서 태어나 런던 왕립음악원에서 공부했다. BBC극장 합창단의 지휘자로 데뷔하여 1944년 로잔 고향악단, 61년에 웰즈 국립가극장, 78년부터는 영국 네셔널 오페라의 음악감독을 맡고 있다. 온후하고 성실한 지휘를 하며, 영국 작곡가 델리어스의 작품 연주에 탁월한 솜씨를 보이고 있다.

다니엘 바렌보임 Daniel Barenboim

Haroid Holt Limitde.

1942년 11월 16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출생. 7세 대 아르헨티나 여러 교향악단과 피아노 협연, 10세 때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에 입폂하여 마르케비치에겟 지휘법을, 피셔에게서 피아노를 배웠다. 그 뒤 파리에서 블랑제 여사에게 피아노를 배우다가 로마의 성 시칠리아 음악원에 드억 수업을 계속했다. 54년 비오티 국제콩쿨에서 우승, 57년 카젤라 콩쿨에서도 우승하고 피아노와 지휘로 유럽무대에서 활약했다. 영국 실내악단 지휘도 하면서 75년부터는 파리관현악단수석지휘자로 있다.

앤드루 데이비스 Andrew Davis

American International Artists

1944년 2월 2일 영국. 하트포드셔 출생. 케임브리지 킹스 컬리지와 로마의 성시칠리아 음악원에서 공부, 1970년 BBC 교향악단 부지휘자로 데뷔했다. 73년 뉴 필히모니아 관현악단의 부지휘자를 거쳐 75년부터 캐나다 토론토 교향악단 음악감독으로 있다. 솔직하고 담백한 지휘가 특징이다.

사이몬 래틀 Simon Rattle

Frank Saloman Awwociates

1955년 영국 리버풀에서 태어난 신진 지휘자로서 왕립 음악아카데미를 졸업했다. 19세 때 존 플레이어 국제지휘자콩쿨에서 우승, 76년에 로열 페스티벌홀에서 뉴 필하모니아 관현악단을 지휘하여 데뷔했다. 뉴 필하모니아 관현악단 객원지휘자로 있으며, 세련된 표현으로 대성이 기대되는 젊은 지휘자이다.

제라드 쉬와르츠 Gerald Schwarz

Ibbs & Tillet Limited

1949년 미국에 이민 온 오스트리아인 양친 사이에서 출생. 트럼펫 주자로 처음 암악계에 알려졌으나 1973년 뉴욕필 하모니에 입단하면서 스스로 지휘법을 깨우쳐 79년부터 로스앤젤레스 실내관현악단의 음악감독과 수석지휘를 맡음으로써 지휘자로 전향했다. 현재 미국이 내세우는 지휘계의 젊은 기수인 그는 시애틀 교향악단 상임지휘자도 겸하고 있다.

장 푸르네 Jean Fournet

Interntional Artists Management.

1913년 월 4일 프랑스 루앙 출생. 파리음악원에서 플루트와 지휘 전공, 지방 오페라극장에서 지휘를 하다가 41년 프랑스 국립방송관현악단 지휘자가 되었다. 에콜노르말 교수로도 있었고, 61년부터는 네덜란드 방송관현악단 상임지휘자가 되었다. 이제 유럽의 대지휘자로 올라선 그는 67년 로테르담필 상임지휘잘 73년가지 이 악단을 유럽 정상으로 이끌었다.

섬세한 표현과 색채감이 뛰어나다는 평이다.

43명의 명피아니스트

마르트 아르게리치 Martha Argerich

CAMI

94년 6월 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출생. 굴다. 베네데티-미켈란젤리, 아라우에게 사사받았다. 57년 이탈리아 부조니 콩쿨 우승, 또 제네바 국제콩쿨 우승, 65년 바르샤바 쇼팽 쿨 우승으로 국제적 명성 얻게 된다. 현재 젊은 여류로서는 세계 제일급으로서 열정적이고 감각적인 날카로움이 두드러지며, 차이코프스와 쇼팽, 리스트의 피아노협주곡이 명연주로 꼽힌다.

아르트로 베네데티-미켈란젤리 Aruro Benedetti- Michelangeli

CAMI

1920년 1월 일 이탈리아 브렛샤 출생으로 이탈리아가 내놓은 최고의 피아니스트, 브렛샤 음악학교와 밀라노 음악원에서 공부했다. 39년 19세 대 제1회 제네바 국제콩쿨에서 우승, 그의 이름이 국제적으로 알려진 것은 46년 영국과 프랑스에서 연주하면서부터이다. 연주회도 많이 열지 안고, 레코딩도 별로 하지 않으며, 금욕적인 생활을 하는 만큼 신비성을 지니고 있다. 투명함과 날카로움과 콘트롤로 정평이 나 있는 완전주의자이다.

미셀 베로프 Michel Beroff

CAMI

1950년 5월 9일 프랑스 보즈에서 태어난 신성. 11세 때 파리 음악원에 들어가 피에르 상캉에게 배우고 3년 만에 1등 상을 받고 졸업했다. 67년 제회 메시앙 피아노콩쿨에서 우승하여 유럽악단에 혜성처럼 등장했다. 날카로운 감각으로 메시앙과 드뷔시르 장기로 하고 있는데, 프랑스의 피아노를 한몸에 짊어지고 있는 기대주이다. ENI레코드 메시앙의 대작「어린 아기예수를 바라보는 20개의 시선」이 명반으로 평가된다.

크리스토프 에센바하 Christoph Eshenbach

CAMI

90년 2월 20일 폴란드 보로츨라프 태생의 독일 피아니스트로서 10세 대 함부르크로 이사蝩 가 에리짜한젠에게 사사받았다. 51년 스타인웨이 주최 피아노콩쿨에서 1위, 56년 뮌헨 국제콩쿨에서 특상, 59년 쾰른 고등음악학교 졸업, 65년 제1회 클라라 하스킬 콩쿨에서 우승하면서 해외藉동의 길을 열었다. 작품을 성실하게 대하고 대담하게 연주하는 스타일로 고전과 낭만에 뛰어난 명연주가이다.

레온 플라이셔 Leon Fleisher

CAMI

1928년 7월 28일 미국 샌프란시스코 출생. 10세 때에 거장 아르투로 쉬나벨에게 인정받아 그의 애제자가 되었다. 43년에 피에르 몽퇴 지휘의 샌프란시스코 교향악단과 협연 데뷔, 절찬받았다.

52년에 엘리자베드 콩쿨 우승으로 세계무대에 등장, 70년부터 지휘도 하고 있는 그는 기교를 부리지 않는 성실한 표현이 호평받고 있다.

넬손 프라이레 Nelson Freire

CAMI

1944년 10월 18일 브라질의 아파네마 출생. 12세로 리오데자네이로 국제콩쿨에서 우승하여 주목받기 시작했다. 64년 띌 데뷔 이래 독일과 런던에서 가진 콘서트가 성공하여 국제적인 피아니스트가 되었다. 아르게리치,겔바를 잇는 남미 출신의 젊은 피아니스트로 인기 절정을 눈앞에 두고 있다. 브루노 자이들호퍼와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에게 사사했다.

릴리 크라우스 Lili Kraus

CAMI

1908년 월 3일 헝가리 부다페스트 출생. 17세 때 부다페스트 음악원 수석 졸업, 26년에 비엔나 음악원을 wjh업하고 약관 20세에 그곳의 교수가 되었다. 코다이, 바르톡, 시나벨에게 사사받은 그녀는 자타가 공인하는 모차르트 연주가로 명레코드를 많이 남기고 있다. 바르톡의 피아노 작품을 세계 최초로 레코딩한 것도 유명한 일이다.

알리시아 데 라로차 Alicia de Larrocha

CAMI

1923년 5월 23일 스페인의 바르셀로나 출생. 5세 대 최초의 리사이틀을 열 정도로

천재소녀였다. 아카데미 그라나도스에서 공부했으며. 47년부터 국외 활동을 시작하여 두각을 보이기 시작, 4년 미국 데뷔에서도 절찬을 받았다. 현재 여류로서는 세계 제일급으로 명쾌한 터치, 강한 리듬, 정열적인 연주스타일이 돋보인다. 스페인음악 연주에서는 누구도 그녀를 따르지 못한다는 평을 받고 있다.

라파엘 오로즈코 RAFAEL Orozco

CAMI

194년 스페인 고르도바 출생. 마드리드 시에나 음악원에서 수학하고 바이젠베르크에게 사사, 66년 리즈 국제피아노콩쿨에서 20세라는 최연소자로 우승하여 국제적 각광을 받기 시작했다. 그 뒤부터 구미 각국의 유명 오케스트라와 협연하면서 명성을 쌓아가고 있는 기대주이며, 낭만주의 지향의 피아니스트로 건강함 속에서 심정적인 따스함을 추구한다.

마우리찌오 폴리니 Nauizio Pollini

CAMI

1942년 1월 5일 이탈리아 밀라노 출생. 밀라노 음악원에서 공부했으며, 이미 15세 때 제네바 국제콩쿨에 참가하여 1위 없는 2위를 했다. 그러나 그의 이름이 결정적으로 세계에 알려지게 된 것은 60년 쇼팽 콩쿨 우승에서부터였다. 이후에도 그는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루빈시타인 등에게 10여 년간 사사를 받았다. 그래서 그가 유럽무대에 다시 나타났을 때는 이미 대가가 되어 있었다. 작품해석이 분석적이고, 완벽한 테크닉을 구사한다.

안드라스 쉬프 Andas Schiff

CAMI

195년 12월 21일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출생. 68년 헝가리 텔레비전 방송국 콩쿨에서 우승, 이어 리스트 음악원에 입학한 그는 카도샤, 라도슈에게 사사받았고, 73년 국립방소욱 콩쿨에 입상했다. 7년 차이코프스키 국제콩쿨 입상, 75년 리즈 국제콩쿨에서 입상하고 헝가리의 기대주로 국제무대에 급작스레 부상했다. 쉬프는 바로크와 고전파의 레퍼터리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는데, 그런만큼 음색의 결이 곱고, 경쾌한 것이 특징이다.

앙드레 와츠 Ande Watts

CAMI

198년 6월 20일 독일 뉘른베르크 출생. 필라델피아 웨이커螡 음악폂교에서 공부, 루비어 여사에게 사사받았다. 번스타인오디션에 합격하고 16세 때 굴드의 대역으로 뉴욕필과 협연하여 화제를 모았다. 리스트나 라흐마니노프에서 단연 두각을 보이며, 그의 커다란 손으로 울리는 소리는 거장 못지 않다는 평이며 기대되는 젊은 피아니스트로 최근 미국에서 활발한 연주를 벌이고 있다.

알렉시스 바이젠베르크 Alexis Weissinberg

CAMI

1929년 7월 6일 불가리아 소피아 출생. 어릴 때부터 시나벨과 란도프스카에게 사사받았으며, 8세 때 첫 연주회를 가졌다. 줄리어드 음악원에서 공부했고, 47년에 레벤트리트 국제콩쿨에서 우승했다. 그러나 56년 이래 한동안 연주활동을 중지했다가 66년 파리에서 재기연주를 가져 건재함을 과시했다. 난곡도 거침없이 연주하는 테크니션에다 스피드한 현대 연즈기술의 전형으로 평가되고 있다.

로저 우드워드 Roger Woodward

CAMI

1942년 오蝡트레일리아 시드니 출생. 시드니 음악원에서 공부, 64년 오스트레일리아 방송국 주최 콩쿨에서 우승했다. 런던에 유학, 다시 폴란드로 가서 공부를 계속하다가 67년 바르샤바필과 협연하여 성공을 거두었다. 피아노계의 이단자로고도 불리는 그는 71년 이후 현대음악에 몰두, 다채로운 음색을 추구하며 감성거부의 자유로운 음악세계를 구축하고 있다.

클라우디오 아라우 Claudio Arrau

ICM Aritists, Ltd.

1903년 2월 6일 첼레 출생. 세 때부터 공개연주를 가졌으며, 베를린 시테른 음악원에 유학, 11세 때 베를린 무대에 데뷔했다. 10대에 연속 리스트상을 수상했으며, 27년에 제네바 국제콩쿨 우승 등 어려서부터 천재성을 과시했다. 초년에는 쇼팽, 리스트 등 낭만음악에서 이름을 날렸는데 말년에는 베토벤에서 두각을 보이고 있다. 라틴적 즉 흥성과 독일 정통의 엄정성을 동시에 구사, 지난 2월에 85회탄생기념연주를 가져 건재함을 과시했다.

미샤 디히터 Mischa Dichter

ICM Arists, Ld.

1945년 중국 상해에서 폴란드의 양친 사이에서 출생. 2년 후 로스앤젤레스로 이주, 6세 때부터 피아노를 시작하여 그곳에서 신동으로 알려졌다. 16세에 음악교육가 국민회의 주최 콩쿨 우승, 줄리어드 음악원에서 로지나 레빈 여사에게 사사받는 한편 66년 차이코프스키 국제콩쿨에서 2위 입상으로 일약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열정적인 연주스타일에 대성이 기대되는 피아니스트이다.

필립 앙트르몽 Phillppe Entremont

ICM Arists, Ltd.

194년 6월 6일 프랑스 랭스 출생. 파리 음악원에서 장드와앵에게 사사, 50년 롱티보 콩쿨에서 입상, 다시 53년에 재도전하여 우승을 차지했다. 같은 해 영국인 이외에 최초로「헬리엣 코헨 피아노 메달」을 획득했으며, 이때부터 국제적 피아니스트로 유롭과 미국 각지에서 연주활동을 벌여 세계 정상의 피아니스트임을 과시했다. 라벨의 피아노곡 전집이 명연주 레코드로 알려지고 있다.

안드레이 가브릴로프 Andei Gavilo

ICM Arists, Ltd.

955년 9월 21일 소련의 모스크바 출생. 15세에 모스크바 중앙음악학교에 입학, 다시 모스크바 음악원에 진학하여 피아노 전공. 74년 차이코프스키 국제콩쿨 우승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잘츠부르크 음악제에서 병이 난 리히터의 대역으로 성공을 거둔 뒤 77년 런던 교향악단과의 협연이 호평받아 EMI 녹음 실현, 격렬한 연주스타일의 대형 LDKSLTMXM라는 평을 얻고 있다.

존 기무라 파커 Jon Kimura Parker

ICM Arists, Ltd.

1959년 12월 25이 캐나다 뱅쿱 출새이 줄리어드 음악원에서 아델마커스에게 사사받았으며, 캐나다의 수많은 thbah 콩쿨과칠레의 비뇨 델마 콩쿨에서 우승했다. 그러다가 8년 영국의 리즈 국제콩쿨에서 우승하면서부터 그의 이름이 세계음악게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이후 런던 교향악단과 협연으로 런던 데뷔연주를 가졌으며, 85년 로스트로포비치 지휘의 워싱턴 내셔널 교향악단과의 협연에서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협주곡 1번을 연주해 대호평을 받았다. 힘이 있는 연주가 특징이다.

졸탄코치슈 Zolan Kosis

ICM Arists, Ltd.

1925년 5njf 0일 허가리 부다페스트 출신의 신진. 바르톡 음악원과 리스트 음악아카데미에서 공부했으며, 70년 헝가리 방송국 주최 베토벤과 피아노콩쿨에서 우승하여 주목받기 시작했다. 71년 부다페트 4중주단 솔리스트로 미국 순회연주 때 뉴욕타임즈의 해럴드 숀버그에게 절찬받으며 서방세게에 알려졌다. 7년 리스트상 수상, 1년 연상의 데즈 랑키와 함께 장래가 기대되는 헝가리의 자랑거리이다.

라두 루푸 Radu Lup

ICM Arists, Ltd.

1945년 루마니아 출신으 루마니아가 2차대전 이후에 배출한 최고의 피아니스트로서 17세에 모스크바 음악원에 유학했다. 66년 에네스코 국제콩쿨 우승, 69년에 리즈 국제피아노콩쿨에서 우승하는 등 세계 악단의 혜성으로 부상했다. 베토벤과 브람스 피아노협주곡의 명연주가로 개성이 강한 연주를 들려준다.

이보 포고렐리치 Ivo Pogorelich

ICM Arists, Ltd.

1958년 10월 20일 유고슬라비아에서 출생.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공부, 79년 몬트리올 국제콩쿨에서 우승했다. 그 이듬해인 80년 쇼팽 국제콩쿨에 도전하는데 쇼팽풍 연주가 아니라고 포고렐리치는 3차예선 통과가 거부되어 심사위원 아르게리치가 퇴장해 버리는 사건이 터졌다. 이를 계기로 포고렐리치는 개성파 연주가로 세계무대에 알려져 날로 인기를 더해 갔다. 전통을 거부하며 항상 새로운 음을 찾고 고전을 새로 해석한다는 평을 받고 있다.

크리스티나 오르티즈 Chistina Ortiz

ICM Arists, Ltd.

1950년 브라질의 리오데자네이로 출생. 어린 나이에 브라질 음악원에서 수학한 뒤 15세에 파리로 유학하여 66년 파리 국제피아노콩쿨, 67년 에네스코 국제콩쿨, 69년 반 클라이번 콩쿨에서 우승하여 구미음악계를 놀라게 했다. 68년부터 파리 연주를 시작으로 미국 연주, 70년에는 런던에 이주하여 다시 유럽 중심으로 연주를 계속한다. 리듬감이 뛰어나고 기지에 찬 연주가 특징이다.

서혜경 Hai- Kum Suh

ICM Arists, Ltd.

1960년 2월 10일 한국 서울 출생. 8세 때 서울교대 콩쿨에서 우승, 국민학교 학년 때 경향·이화콩쿨 대상. 5·16콩쿨 대상을 받으며너 화제를 모았다. 메네蝡 음악학교에서 라이젠베르크 교수에게 사사받고, 줄리어드에서 박사과정을 마쳤다. 80년 부조니 콩쿨 2위, 83년 뮌헨 국제콩쿨에서 2위에 입상하면서 국제적인 활동의 길이 열려 유럽의 유명 오케스트라와의 협연을 거쳤다. 아무리 어려운 곡이라도 당당하게 쳐내는 열정이 그녀의 장기이다.

라자르 베르만 Lazar Berman

Jacqus Leiser Artists Manaement

1930년 소련 레닌그라드 출생. 일찍부터 음악적 재능을 나타냈는데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골덴베이젤 교수를 만나면서부터 그 재능이 빛나기 시작, 1년 동독의 청년음악콩쿨에서 1위, 다시 56년 브뤼셀 엘리자베드콩쿨에서 아쉬케나지가 1위에, 베르만이 2위에 입상했다. 71년 처음 서방에 알려지면서 밀라노와 뉴욕에서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명쾌함과 호방함을 함께 갖추고 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스테판 비숍코비체비치 Stephen Bishop-Kovacevich

Jacques Leisr Artists MANAEMENT

1940년 10월 17일 미국 로스엔젤레스 출생. 11세 때 오케스트라와 협연, 13세 때 샌프란시스코 교향악단과 슈만의「피아노협주곡」을 협연하는 등 일찍부터 재능을 나타냈다. 런던 데뷔는 61년 위그모어 HF에서 이루어졌고, 국제적 명성을 얻게 된 것은 런던 페스티벌홀에서 연주한 베토벤의「디아벨리변주곡」에서부터. 이미 중견 피아니스트로서 자리를 굳힌 그는 현대음악 연주에도 뛰어난 재질을 인정받고 있다.

조르지 시프라 Georges Czifra

Jacqus Leiser Artists Manaement

1921년 9월 5일 헝가리 부다페스트 출생. 9세 대 프랑츠 리스트 음악원 입학, 도호나니에게 사사받으며 천재소년으로 이름났다. 56년 서방세계로 망명, 비엔나와 파리에서의 데뷔에서 센세이션을 일으켰다.「리스트의 재래」라는 표현에 걸맞게 호쾌한 기교파이며, 레코드도 상당히 많이 있으나 역시 리스트 연주가 일품이다. 쇼맨쉽으로 청중을 사로잡는 힘이 강하다.

아니 피셔 Annie Fischer

Jacqus Leiser Artists Manaement

1941년 7월 5일 헝가리 부다페스트 출생. 8p 때 베토벤의「피아노협주곡 제1번」을 연주하여 데뷔했다. 그 뒤 부다페스트 음악원에서 아놀드 세케이와 도흐나니에게 사사, 년 19세에 리스트 국제콩쿨에서 우승하여 국제적인 여류피아니스트로 명성을 높였다. 강인한 힘과 개성적 감각이 뛰어나며, 부드러운 뉘앙스가 충만하다는 평과 함께 모차르트 피아노협주곡이 일품이다.

데즈 랑키 Dezso Ranki

Jacqus Leiser Artists Manaement

1951년 헝가리 부다페스트 출생. 8세때부터 리스트 음악아카데미에서 천재 교육을 받고, 바르톡 음악원에서 공부를 계속했다. 65년 헝가리 중등음악 콩쿨 우승, 69년 동독에서 열린 슈만 국제콩쿨에서 우승하여 이름이 알려지게 되었다. 이어서 70년에 베를린과 파리에 데뷔하여 유럽무대의 신성으로 칭송을 받고, 7년에는 리스트상을 수상했다. 현재 헝가리가 자랑하는 유망주로서 뛰어난 테크닉과 솔직한 표현이 특징이다.

유진 이스토민 Eugene Isomin

Jacqus Leiser Artists Manaement

1925년 11월 26일 미국 뉴욕 출생. 커티스 음악원에서 루도프 제르킨에게 사사받았으며, 필라델피아 관현악단 주최 청소년 콩쿨에 입상하고 미국 주요 오케스트라와 협연을 펼쳤다. 65년에 바이올린의 아이작 스턴과 첼로의 레너드 로우즈와 더불어 트리오를 조직하여 실내악 분야에서도 활약이 두드러지고 있다. 고저적 양식감과 리리시즘이 조화된 연주를 들려준다는 평이다.

피터 제르킨 Peter Sekin

Jacqus Leiser Artists Manaement

1947년 7월 24일 미국 뉴욕 출생. 현존 정상의 피아니스트 루도프 제르킨의 아들이다. 11세 때 커티스 음악원에 입학하여 공부했고, 59년 말보로 음악제, 61년에는 필라델피아 관현악단과 협연, 64년부터 뉴욕과 런던 중심의 본격적인 연주활동으로 세계악단의 신성으로 떠올랐다. 나이에 비해 스케일이 큰 연주를 보여주며, 현대음악에도 의욕적인 연주를 하고 있다.

알프레드 브렌델 Alfred Brdndel

Colber Artists Manaement Inc.

1931년 1월 15일 bhtmffkql아 베젠베르크에서 출생 자그레브, 그나쯔 두 음악원에-서 수폂하고 에드빈 피셔, 바움가르트너 두 선생에0게 사사받았다. 9년 18세의 나이로 부조니 국제콩쿨에 우승하면서 주목을 받기 시작한 그는 기교파 피아니스트로 리스트 연주에 정평이 나 있다.「생각하는 피아니스트」라는 병멸이 있다.

브루노-레오나르도 겔버 Buno-Leonado Gelber

Colber Artists Manaement Inc.

1942년 3월 19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출생. 소아마비를 이기고 1년에 데뷔하여 이미 10대에 아르헨티나의 대표적 피아니스트가 되었다. 56년에 테아트르 콜론에서 로린 마젤과 협연하여 세계무대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으며, 이어 프랑스로 건너가 60년대 초에 유럽에서 겔버선풍을 일으켰다. 나이에 맞지 않게 원숙하고 집약된 테크닉을 보여 젊은 대가로 불리고 있다.

알도 차콜리니 Aldo Ciccloini

IMG Arests

1930년 1월 19일 체코의 프라하 출생. 프라하 음악원을 거쳐 프라하 음악예술 아카데미mf 마쳤으나 팔에 이상이 생겨 5년간 연주활동을 중지했다가 58년 유럽 연주여행으로 재기했다. 4년 조지 셀의 클리블랜드 관현악단과의 협연이 성공을 거두면서 미국에 데뷔, 국제적인 명성을 쌓아나가기 시작했다. 베네데티-미켈란젤리에게 사사받았고 드뷔시의 레코드로 유명하다.

존 오그던 John Ogdon

Basil Douglas Artists Management

1937년 1월 27일 영국 노팅검 맨스필드 출생. 7세 때 맨체스터 음악원 뇌먼소에 이박했고, 58년 이스토민의 대역으로 브람스「피아노협주곡 제2번」을 연주하여 일약 유명해졌다. 60년 부조니 국제콩쿨 우승, 61년 리스트 국제콩쿨 우승, 62년에는 차이코프스키 국제 콩쿨에서 아쉬케나지와 함께 공동 1위를 하여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스케일이 큰 연주를 들려주는 그는 리스트와 부조니의 작품 연주에 장기를 갖고 있다.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 Vladimi Ashkenazy

Harrison Parrot Ltd.

1937년 7월 6일 소련 고리키시 출생.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피아노를 전공했으며, 56년 퀸엘리자베드 국제콩쿨 우승, 62년 차이코프스키 국제콩쿨에서 영국의 존 오그던과 공동 1위를 하여 세계에 알려졌다. 정확한 테크닉과 천부의 시적 감수성으로 연주의 깊이를 추구한다는 평을 받고 있다. 소련국적을 그대로 간직한 채 영국에 살고 있는 그는 최근 실내악 연주와 지휘에도 손을 뻗쳐 각광을 qker 있다. 시적 감흥이 넘치는 연주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파울 바두라 - 스코다 Paul Badura Skoda

Thea Dispeke Artists Represenative

1927년 6월 10일 오스트리아 비엔나 출생. 비엔나 음악원 재학중 오스트리아 음악상 1위에 입상했고, 48~49년에 부다페스트와 파리에서 연달아 피아노상을 수상함으로써 유럽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감미롭고 서정적이며, 깔끔함이 특징이다. 모차르트와 수베르트에서 뛰어나다는 평을 받고 있는 그는 현재 데무스와 굴다와 더불어 오스트리아의 피아노 3총사로 불린다.

개릭 몰슨 Garick Ohlsson

Shaw Concerts, Inc.

1948년 4월 일 미국 뉴욕 태생의 신성. 줄리어드 음악원에서 공부했으며, 66년 부조니 국제콩쿨 우승, 68년 몬트리올 국제콩쿨 우승, 70년 쇼팽 국제콩쿨에서 미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우승하여 국제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서정적인 쇼팽 연주가 일품이며, 기대되는 유망주로 거구의 중량감에 걸맞게 스케일이 크다는 평도 듣고 있다.

메레이 퍼라이어 Murry Ferahia

Fank Salomon Associates

1947년 미국 뉴욕 출생. 메네스 음대에서 피아노, 작곡, 지휘 공부를 했다. 72년 린즈 콩쿨에 도전하여 우승하면서부터 국제적 명성을 얻었다. 7년 슈만 소국집 첫 레코드를 내놓고 평론가들의 극찬을 받았다. 10년의 작업 끝에 84년에는 모차르트 협주곡 전 29곡을 레코드로 출반해 화제를 낳았고, 프랑스의 음악지「음악의 세계」로부터 폴리니, 브렌델, 라두 루푸와 함께 피아노의 네 별이라는 찬사를 받았다. 모차르트 연주가 며연으로 꼽히며, 섬세한 시정이 장기이다.

루돌프 제르킨 Rudolf Serkin

Jdd Concert Bureau

1903년 3월 28일 보헤미아 에게르 출생. 9세 때부터 비엔나에서 리하르트 로베르트, 쇤베르크 등에게서 피아노와 작곡 수업을 받았다. 12p 때 비엔나필과 멘델스존 피아노협주곡을 연주하여 유럽악단의 주목을 받았으나 20년까지 공부를 계속했고, 이후부터 연주활동을 개시항 세계 정상의 연주를 계속하고 있으며, 39년부터 커티스 음악원에서 많은 제자도 길러내었다. 독일 낭만파 음악 해석의 제일인자로 알려져 있다.

요르크 데무스 Jorg Demus

Sheldon Soer Manaement Inc.

1928년 12월 2일 오스트리아 장크트페르텐 출생. 비엔나 국립아카데미에서 피아노와 지휘蝩 전공했고, 그 뒤에 베네데티-미켈란젤리와 기제킹에게 사사받았다. 43년 비엔나 악우협회 주최 연주회에서 데뷔, 56년 부조니국제콩쿨에서 우승, 이후부터 유럽과 미국 각지에서 활동을 하며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바하 연주에 뛰어나며, 바두라-스코다, 굴다 등과 더불어 비엔나의 중추적 피아니스트이다.

발터 클린 Walter Klien

Kaye Artists Management

1928년 11월 27일 오스트리아 그라쯔 출생. 시타이어마르크 주립음악원을 거쳐 비엔나 국립음악아카데미에서 공부했다. 51년과 52년 국제콩쿨입상 이후 그는 오스트리아의 정상 피아니스트로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63년 이래 바이올리니스트 볼프강 쉬나이더한과 두고를 만들어 소나타 연주에 주력했다. 섬세한 터치로 호평을 받고 있다.

20명의 명바이올리니스트

살바토레 아카르도 Salvatore Acardo

CAMI

194년 이탈리아 나폴리 출생. 10대에 벌써 화려한 여주활동을 시작한 천재소년으로 국제콩쿨에서 우승도 여러 번 했다. 그의 이름이 세계에 알려지게된 것은 제노바에서 열린 파가니니 국제콩쿨 우승 이후이며, 이때부터 그는「카가니니의 재래」라는 찬사를 받으며 대단한 기교를 국제무대에서과시했다. 파가니니의 바이올린 협주곡 전곡도 레코딩한 그는 역시 파가니니 연주의 제일인자로 평가되고 있다.

정경화 Kyung-wha Chung

CAMI

1947년 한국 서울 출생. 11세 때 서울대 음대 콩쿨에서 입상, 6년 줄리어드 음악원에 들어가 갈라미언 문하가 된다. 67년 레멘트리트 국제콩쿨에서 핑커스 주커만과 공동우승한 것이 계기가 되어 서서히 국제무대에 알려지게 되었고, 70년 런던교향악단과의 차이코프스키 바이올린협주곡 협연은 그녀를 세계악단의 총아로 만들었다. 프랑스에서는「느뵈의 재래」라고 격찬했고, 독일에서도 스트라빈스키 연주로 최고의 찬사를 받았다.

하이메 라레도 Jime Laredo

CAMI

1941년 6월 7일 볼리비아 코카밤바에서 출생. 커티스 음악원에서 공부하면서 가라미언의 문하로 들어갔다. 59년 브뤼셀에서 열린 퀸 엘리자베드 콩쿨에서 우승함으로써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이어서 카네기홀 리사이틀에서 호평을 받고, RCA와 레코딩하면서 미국 니에서 인기를 쌓아 갔다. 라틴아메리가의 유망주로 깔끔한 연주르 들려 준다.

예후디 메뉴한 Yhudy Menuhin

CAMI

1916년 월 22일 미국 뉴욕 출생. 신동으로 불리면서 7세에 샌프란시스코 교향악단과 협연, 9세에는 파리, 1세에 베를린, 13세에는 런던에서 데뷔를 하여 큰 성공을 했다. 미국에서는 퍼싱거에게, 파리에서는 에네스코, 독일에서는 아돌프 부시에게 사사받았으며, 2차대전 이전에 이미 세계 제일급의 바이올리니스트가 되었다. 명연주 레코드도 수없이 많고 바이올린 음악의 저서도 있다.

빅토리아 뮐로바 Viktoria Mllova

CAMI

1959년 소련 모스크바 출생. 16세에 폴란드 비니압스키 콩쿨에서 우승했고, 모스크바 음악원 재학중 80년 시베리우스 국제콩쿨에서도 우승했으며, 8년에는 차이코프스키 국제콩쿨에서 우승하면서 세계에 알려졌다. 이후 그녀는 부유럽 여러 나라의 순회연주를 다녔는데 83년 6월 핀란드 연주시에 서방세게로 망명했다. 그래 9월과 10월 캐나다와 미국에서 망명 후 첫 연주회를 가져 대호평을 얻었다.「대가의 자질을 갖춘 뛰어난 연주가」라고 평한다.

안네-소피 무터 Anne-Sophie Mutter

CAMI

1963년 6월 29일 스위스의 라인펠델 출생. 7세 때 전 독일 청소년콩쿨에서 우승하면서 세상을 놀라게 했다. 76년 루체른 페스티벌에 참가하여 천재소녀의 기량을 과시했다. 77년 14세 대는 카라얀의 주선으로 모차르트 협주곡 2곡을 녹음하였고, 이때부터「메뉴힌 이래 최고의 천재」라는 찬사를 받으며 본격적인 연주가 일품이다.

기돈 크레머 Gidon Kremer

ICM Arists Ltd.

1947년 2월 27일 소련의 리가에서 출생.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다비드 오이스트라흐에게 사사받았다. 67년에 퀸엘리자베드 국제콩쿨 1위, 69년 몬트리올 국제콩쿨 입상, 제노바 파가니니국제콩쿨 우승, 70년 차이코프스키 국제콩쿨 1위를 차지해 일약 거물급 바이올리니스트로 부각되었다. 82년 잘츠부르크 음악제에서 서방으로 망명한 그는 이후에도 계속적인 연주활동을 보이는데, 견고한 테크닉과 놀라운 감성의 연주가 특징이다.

초량린 Cho-Liang Lin

ICM Arists Ltd.

1960년 중국 타이페이에서 출생. 7세 때 첫 연주를 가졌으며, 10세 때 타이완 청소년콩쿨에서 대상을 차지했다. 그후, 시드니 음악원에서 공부하다가 줄리어드 음악원으로 옮겨 도로시 딜레이에게 퀸 소피아 국제콩쿨에서 우승하여 세계악단에 알려지게 되었다. 80년 말 뮤직센터에서 헨리크 셰링의 대역으로 시벨리우스 협주곡을 완벽하게 연주하여 정상에 도전하는 신성으로 부상되었다. 청량하고 우아한 연주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아이작 스턴 Isaac Stern

ICM Arists Ltd.

920년 7월 21일 소련의 크레메네츠 출생의 유태계. 어려서 샌프란시스코에 이주하여 미국에 귀화, 처음에는 피아노를 배웠으나 바이올린으로 전향했으며, 뉴욕으로 가서 퍼싱거에게 사사 받았다. 15세 때 샌프란시스코 교향악단과 협연으로 데뷔, 7세 때 뉴욕의 타운홀에서 첫 독주회를 열어 그곳 비평가들을 놀라게 했다. 그가 국제무대에서 인정받게 되는 것은 3년 카네기홀 연주회가 폭발적인 성공을 거두면서부터이다. 그후부터 그는 정상으로의 질주를 계속하며, 유태계 음악인의 대부 노릇도 톡톡히 하고 있다.

핑커스 주커만 Pinchas Zukerman

ICM Arists Ltd.

1948년 이스라엘 텔아비브 출생. 텔아비브 음악원과 줄리어드 음악원에서 공부했으며, 갈라미언의 문하이다. 67년 레벤트리트 국제콩쿨에서 정경화와 공동우승을 차지했다. 아이작 스턴의 아낌을 받았으며, 68~69년에는 번스타인의 주선으로 뉴욕필과 여러 차례 협연을 가지면서 촉망받는 바이올리니스트로 등장했다. 레코드도 여러 장 내놓고 있는데, 요즘 다소 슬럼프에 빠져 있다는 소식이다.

나탄 밀스타인 Nahan Milstein

Shaw Concerts Inc.

1904년 1월 31일 소련의 오뎃사에서 출생. 10 때 이미 공개연주를 했으며, 그후 페테르부르크 음악원에서 레오薩트 아우어에게 사사받고 19세 때 정식 데뷔했다. 그러다가 5년 소련을 떠나 파리에서 연주, 유럽 데뷔를 서공적으로 이끌고 29년 필라델피아 관현악단과 협연함으로써 미국 데뷔를 했다. 깔끔한 연주스타일을 말년까지 계속 유지하는 그는 메뉴힌과 함께 세계 최고의 정상을 차지하고 있다.

루지에로 리치 Ruggiero Rici

Shaw Concers, Inc.

1920년 미국 샌프란시스코 데뷔로 신동으로 불리면서 알려지기 시작했다. 9세 때는 뉴욕에서 멘델스존을 연주하여 대단한 찬사르 받았다. 스승은 메뉴힌, 스턴 등을 길러낸 퍼싱거이며, 리치의 스타일은 기교가 기교로 느껴지지 않을 만큼 완숙되어 있다. 담백하고 유려한 연주가 장기이다.

헨리크 셰링 Henryk Szeryng

Shaw Concers, Inc.

1927년 폴란드 바르샤바 출생. 13세 때 베를린에 가서 가알 플레시에게 사사받고, 그 뒤 파리에서 자크티보에게 다시 배웠다. 2차대전 뒤 그는 멕시코에 정착, 그가 세계무대에 등장하게 되는 것은 54년 멕시코를 찾은 아르투르 루빈 시타인과 협연을 하면서부터였고, 그 결과 그는 원숙과 기교의 극치를 보이면서 세계 정상에 서게 된 것이다. 엄격하면서도 유연하고 서정적이면서도 지적인 상방된 논리를 갖고 있는 것이 그의 연주의 특징이다. 한국 연주를 추진중이었는데, 지난 3월 4일 6세의 나이로 타계했다.

아르투르 그뤼미오 Arthur Grumiaux

Thea Dispeker Artists Representative.

1922년 벨기에 비유에르베르랭 출생. 브뤼셀 음악원에서 공부하고 파리에서 에네스코의 문하에 들어갔다. 2차 대전 후에 한때 프로아르테 현악 4중주단 멤버로도 활동했는데 얼마 후 다시 솔리스트로 나서서 유럽무대에 두각을 나타냈다. 프랑크-벨기에파를 계승하는 그의 특징은 단정하고 우아한 점이며, 바로크 음악에 정동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에릭 프리드만 Crick Fiedmann

International Artist Manaement

1933년 미국 뉴저지 출생. 10세-에 뉴저지주 뉴아크센터 심포니에 데뷔하고 2년후에는 뉴욕필 청소년 콘서트에 출연하여 천재적 재능을 과시했다. 14세에는 음악 교육연맹 오디션에서 우승하요, 56년 카네기薩 리사이틀에서 대호평을 받음으로써 연주가로서의 발판을 굳혔다. 하이페츠의 수제자로 유려한 음색을 자랑하고 있다.

이차크 펄만 Itahak Pelman

IMG Artists

1946년 이스라엘 텔아비브 출생. 4p 때 소아마비에 걸렸으나 이를 극복하고 어려서부터 바이올린의 재능을 보였다. 쇼프로 제작자 설리반에게 발탁되어 미국으로 건너가 줄리어드 음악원에 다니면서 갈라미언의 문하로 들어갔다. 64년 레벤트리트 국제콩쿨에서 우승하면서부터 세계무대에의 길이 열렸고, 67년에는 유럽데뷔 무대를 가졌다. 시벨리우스의 바이올린협주곡, 바하의 바이올린협주곡 등이 명연으로 꼽힌다.

요제프 수크 Josef Suk

Mariedi Anders Arists Managiment

1928년 8월 8일 체코의 프라하 출생. 프라하 음악언과 프라하 예술아카데미에서 공부했으며, 50년에 프라하 현악 4중주단의 제1바이올리니스트로 활동했다. 그러다가 2년에 dis 파넨가(Pf)와 요제프 후흐로(vc) 등과 더불어 수크 트리오를 결성하여 체코가 세계에 자랑하는 3중주단으로 부상했다. 이처럼 실내악단도 이끌고 있는 그의 연주스타일은 보헤미아 악파의 단정하고 청결하면서도 감수성이 풍부한 연주라는 평과 함께 많은 레코드를 내고 있다.

이다 헨델 Ida Haendel

Haold Holt, Ltd.

1928년 1월 5일 폴란드의 헤흠 출샌의 여류 바이올리니스트로서 바르샤바 쇼팽 음악원을 졸업했다. 35년 비니압스키 콩쿨에서 1위의 느뫼와 2위의 다비드 오이스트라흐와 함게 3위로 입상했는데 이것이 7세 때의 일이다. 천재소녀로 불렸던 그녀는 그후 시게티, 에네스코의 사사蝩 받으며 국제무대 캐리어를 화려하게 쌓아나갔다. 현재는 캐나다로 이주, 몬트리올을 중심으로 국제적 활약을 하고 있으며, 명쾌한 음색을 자랑하고 있다.

울프 휠셔 Ulf Hoelscher

Colbert Artists Management, Inc.

1942년 독일의 키칭겐 출생. 쾰른과 하이델베르크에서 배운 뒤 미국 커티스 음악원에서 공부했고, 갈라미언에게 사사 받았다. 66년 이후부터 세계 각지 연주로 명성을 얻기 시작했으며, 72년에 EMI와 녹음계약, 독일이 자랑하는 바이올리니스트로서 정통적인 연주로 호평을 받고 있다.

유진 포도어 Euine Fodor

Kazuko Hillyer International, Inc.

1950년 미국의 덴버에서 출생. 줄리어드음악원을 거쳐 인디애나 대학에서도 공부했다. 하이페cm에게 사사했으며, 미국 최초의 파가니니 국제콩쿨 입상, 차이코프스키 국제콩쿡에서도 입상했다. 갈라미언의 문하생이지만 스승과 다른 개성을 가지고 있다는 평을 받고 있다.

● 7명의 명첼리스트

미클로스 페레니 Miklos Peenyi

CAMI

948년 헝가리 부다페스트 출생. 리스트 음악원과 산타 체칠리아 음악원에서 공부했다. 15세에 카잘스 국제콩쿨에서 입상하면서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이를 계기로 카잘스의 제자가 되기도 해으며, 공여노 함께 다녔다. 현재 리스트 음악원 교수이며, 70년에 리스트상을 수상했고, 내성적이며 완성된 음악을 들려준다는 평을 받고 있다.

므스타슬리브 로스트로포비치 Mstislav Rostropovich

CAMI

1927년 3월 27일 소련의 바쿠 출생.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첼로와 작곡을 배우고, 48년에 모교의 교수가 되었다. 45년 전 소련 콩쿨, 47년 프라하 청년음악콩쿨, 49년 부다페스트 국제청년콩쿨, 50년 프라하 국제첼로콩쿨을 모조리 휩쓸어 유럽을 놀라게 했다. 76년 서방세계로 망명. 비교적 늦게 서방세계에 알려진 그는 이때부터 경이적인 활동을 펼쳐 장대하면서도 풍부한 인간적 소리로「로스트로포비치」스타일을 만들었다. 최근에는 워싱턴 내셔널 심포니의 지휘도 맡고 있다.

하인리히 쉬프 Heinrich Schiff

CAMI

1952년 오스트리아 태생의 젊은 첼리스트로 비엔나 국립아카데미를 wwhf업하고 솔리스트로 데뷔했다. 72년에 그라쯔에서 열린 국제현대음악제에서 로스트로포비치의 대역으로 로토스와프스키의 첼로蕳주곡 연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고전에서 현대까지 폭넓은 레퍼터리를 구사하는 그는 현재 로스트로포비치의 첫째 후계자로 꼽히고 있다.

요요마 Yo-Yo Ma

ICM Artists Ltd.

1055년 10월 7일 프랑스 파리에서 중국인 부모 사이에 출생. 줄리어드 음악원에서 레오너드 로즈 여사에게 사사받았으며 하버드 대학에 진학하여 독문학, 인류학 등을 서렵하다가 77년부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78년 에버리 피셔상을 수상하면서 세계적 스타로 부상하여 카라얀, 줄리니 등 거장들과 성공적인 연주를 계속하고 있다. 그의 연주는 동양적 포용력과 우아함의 극치를 이룬다는 평을 받고 있다.

야노스 스타커 Janos Strker

Colbert Artists Management Inc.

1924년 7월 5일 헝가리 부다페스트 출생. 부다페스트 음악원에서 공부했으며, 12세 때 부가레스트에서 리사이틀을 가지면서 데뷔했다. 그러나 헝가리 동란 이후 미국에 이주하여 댈라스 교향악단, 메트로폴리탄 가극장 관현악단 시카고 교향악단 수석주자를 지냈다.

이후 인디애나 음대 교수로 지내는 한편 솔리스트로 왕성한 활동을 펼쳤다. 기교파이며, 대헝 주자다운 스케일이 특징이고 코다이 무반주 소나타가 명연주로 남아 있다

지그프리트 팔름 Siegfried Palm

Thea Dispeker Artists Representative

1927년 독일 부퍼탈 출생. 18세 때 뤼백 시립관현악단 독주자로 데뷔, 47년부터 15년간 함부르크 북도이치 방송관현악단 수석, 62년 쾰른 음대 교수가 되면서 곧이어 학장, 75년에는 독일 오페라의 총본산격인 베를린 도이치오페라 총감독이 되었다. 이렇듯 행정력도 뛰어난 그는 현대음악연주에서 독특한 스타일을 보이며, 현대 첼로곡의 연주에서는 제일인자라는 평을 받고 있다

폴 토틀리에 Paul Tortelier

Mariedi Anders Artists Management

1914년 3월 21일 프랑스 파리 출생. 10세로 파리 음악원에 입학하여 16세에 수석 졸업했으며, 35년 보스턴 교향악단 수석 첼리스트로 활동하다 47년부터 솔리스트로 활동했다. 56년 이후에는 지휘자로서뿐만 아니라 교육이나 작곡에서도 활동하고 있는 그는 탄탄한 구축력을 장점으로 내세울 수 있는 진지한 첼리스트로 평가받고 있다.

● 31명의 명소프라노

캐슬린 배틀 Kathleen Battle

CAMI

미국 오하이오 포츠머스 출생. 생년월일은 미상이나 30대 후반 정도의 나이로 신시내티 음대에서 공부했다. 대학시절 지휘자 토마스 쉬퍼즈를 만나면서부터 두각을 보이기 시작, 쉬퍼즈는 그녀를 「독일레퀴엠」에 출연시켰고, 이것이 메트로폴리탄의 음악감독 레바인의 눈에 띄어 오페라 스타의 길을 걷게 되었다. 최근 그녀의 인기는 계속 치솟고 있는데, 87년 잘츠부르크 음악제에서 공연된 「돈 조반니」의 쩨를리나역은 역사상 가장 사랑스러웠다는 평이다. 청순하고 정겨운 소리가 특징이다.

힐데가르드 베르엔스 Hildegard Behrens

CAMI

독일의 올덴부르크 출생. 프라이부르크 음악원에서 성악 전공. 1917년 뒤셀도르프 오페라에서「피가로의 결혼」에 데뷔하며 인정받았고, 그 후 라인오페라, 프랑크푸르트 가극장, 뮌헨 가극장 등에서 활동하다가 77년에 카라얀에게 발탁되어 잘츠부르크 음악제에 출연하면서, 세계적 소프라노로 급성장했다. 드라마틱한 강인함과 리릭한 정감을 동시에 표출하는 독특한 소프라노로 독일 오페라계의 새 스타로 인정받고 있다.

잉그리드 뵤너 Ingrid Bjoner

CAMI

노르웨이 태생의 소프라노. 뒤늦게 프랑크푸르트 음악원에서 성악을 수업했으며, 57년 오슬로에서「돈 조반니」의 돈나 안나를 불러 정식으로 데뷔했다. 이 해부터 뒤셀도르프, 비엔나 등에서 활약하다가 60년에 바이로이트 음악제, 61년에 메트로폴리탄 가극장에 초청되면서 국제적 명성을 얻었다. 현재 뮌헨의 바이에른 국립가극장에 소속으로 있으면서 고전에서 현대에 이르는 폭넓은 레퍼터리를 자랑하고 있다.

몽세라 카발예 Montserrat Caballé

CAMI

스페인 바르셀로나 출생. 1965년 뉴욕의 미국 오페라협회가 주최한 연주회 형식의 「루크레찌아 보르지아」(도니제티 작품)에 데뷔하여 국제적 가수로 갑자기 나타났다. 그때까지 스페인 안에서만 활동했기 때문에 국제적 각광을 받지 못하다가 처음 국제무대에서 이미 대형가수로 성장해 있었던 것이다. 「춘희」의 비올렛타, 「카르멘」에서의 카르멘역이 특히 유명하다.

마리아 키아라 Maria Chiara

CAMI

이탈리아의 베네치아 출생. 베네치아 음악원에서 공부한 뒤 1965년 베네치아도제 궁전에서 「오델로」로 데뷔, 67년에 베로나 야외무대에 등장하여 「후란도트」를 불렀고, 72년에는 스칼라 극장에 진출하여 「카르멘 」의 미카엘라를 훌륭히 해냈었고, 목소리는 벨칸토 오페라보다는 베리즈모풍 오페라가 적격이라는 평이다.

레리 그리스트 Reri Grist

CAMI

미국 뉴욕 출신의 흑인 콜로라투라 소프라노. 출생과 학력이 분명치 않으나 브로드웨이 뮤지컬에서 활동하다가 59년 산타페오페라의 「후궁으로부터의 탈주」에 등장해 오페라가수로 대성의 길을 걷는다. 60년 취리히 오페라극장, 이어서 비엔나 국립가극장, 잘츠부르크 음악제에 출연하여 유럽무대를 석권한 뒤 66년 메트로폴리탄으로 다시 복귀했다. 현재는 뮌헨 가극장을 중심으로 폭넓은 활동을 하고 있다.

홍혜경 Hei-Kyung Hong

CAMI

1958년 한국 서울 출생. 선명회합창단을 거쳐 예원학교를 마치고 줄리어드에서 공부했다. 84년 대학원을 마치면서 메트로폴리탄 오디션에 참가하여 합격, 메트로폴리탄 가극장에서 모차르트의 「황제 티투스의 자비」의 세빌리아역으로 데뷔했다. 86년에는 워싱턴 오페라단 공연 「에프게니 오네긴」의 여주인공으로 출연, 워싱턴 오페라가이드지의「올해의 예술가상」을 수상했다. 순수하고 감수성이 풍부한 목소리로 찬사받는 그녀는 88년 캘거리 동계올림픽 문화축전에도 참가했다.

마릴린 혼 Marilyn Horne

CAMI

1934년 1원 16일 미국 펜실베니아 브래퍼드 출생. 남캘리포니아 대학에서 로테 레만에게 성악지도를 받은 뒤 스트라빈스키의 도움으로 유럽무대에 서게 된다. 57년 독일의 겔젠키르헨 가극장과 계약, 이곳에서 「보체크」의 마리역이 대성공을 거두고, 69년 스칼라 극장, 70년에 메트로폴리탄 무대에서 호평을 받아 국제적 가수의 자리를 굳힌다. 메조에서 출발하여 소프라노 영역까지 소화하는 폭넓은 소리를 자랑하고 있다.

그위네드 존즈 Gwyneth Jones

CAMI

영국의 폰티푸르 출생. 런던 왕립음악원과 이탈리아 시에나의 키지아노 음악원에서 수학했다. 1964년 코벤트가든 왕립극장에서 「일 트로바토레」의 레오노라역으로 크게 성공하여 영국 최대의 프리마돈나의 자리를 굳혔다. 이어 솔티 지휘의「발퀴레」에서 로테 레만의 재래라는 찬사를 받음으로써 베를린, 비엔나, 뮌헨, 밀라노 등지의 화려한 무대를 밟게 되었다.

이블린 리어 Evelyn Lear

CAMI

미국 뉴욕주 브루클린 출생. 1959년 런던에서 R. 시트라우스의 「마지막 4개 노래」로 데뷔했다. 그 뒤 베를린 음대에서 수학, 이때 비엔나무대에서 베르크의 「룰루」, 61년에는 베를린 도이치 오페라에서 클레베의 「알크메데」세계초연의 주역, 63년에는 뮌헨 가극장에서 에크의「산 도밍고의 약혼」의 주역 등 주로 현대오페라의 주역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극적 박력을 갖춘 리릭 소프라노로 대성이 기대된다.

안나 모포 Anna Moffo

CAMI

1935년 미국 펜실베니아 웨인 출생. 커티스 음악원을 마치고 55년 이탈리아에 유학 중 베니스에서 시바르츠코프의 대역으로 독일가곡을 불러 성공하고, 이어서 스포렐토에서 「돈파스콸레」에 출연해 단숨에 스타덤에 올랐다. 유럽 각지에서 인정받고 미국무대에서는 59년 메트로폴리탄 가극장의 「춘희」로 정상의 소프라노임을 재확인했다. 미성과 미모를 동시에 갖춘 그녀는 방송과 레코딩에서도 단연 최고의 인기를 누렸는데, 최근 활동이 뜸한 상태이다.

레온타인 프라이스 Leontyne Price

CAMI

1927년 미국 미시시피 로렐 출신의 혹인 소프라노. 줄리어드 음악원을 졸업하고, 「포기와 베스」에서 베스역으로 성공의 첫걸음을 밟았다. 66년 메트로폴리탄 가극장에서 바버의 신작「안토니와 클레오파트라」에서 열창, 미국 최고의 프리마돈나로 등장했다. 고음역의 피아니시모가 아주 아름다우며 「황금의 목소리」라는 찬사를 받고 있다.

카티아 리치아렐리 Katia Ricciarelli

CAMI

1946년 1월 18일 이탈리아 베네치아 출생. 1969년 만토바 가극장의 「라보엠」으로 데뷔했으나 이름이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은 71년 이탈리아 방송 주최 베르디 텔레비전 콩쿨에서 우승하면서부터 였다. 73년「수녀 안젤리카」로스칼라 극장에서 데뷔, 이후 세계의 주요 가극장 무대에서 활약하고 있다. 베르디와 도니제티 오페라에서 뛰어난 가창력을 과시하는 리리코.

안나 토모와 신토우 Anna Tomowa-Shintow

CAMI

1944년 9월 22일 불가리아의 스타라자고라 출생. 불가리아 국립음악학교에서 피아노와 성악 전공, 65년 스타라자고라 극장의 「에프게니 오네긴」으로 데뷔했다. 라이프찌히 가극장에서 활동하다가 73년 잘츠부르크 음악제에 출연하여 카라얀의 눈에 띄었고 일약 세계적 가수로 발돋음하였다. 리릭과 드라마틱 양쪽을 함께 가진 목소리와 성격표현도 좋다는 평이다.

마티나 아로요 Martina Arroyo

Thea Dispeker Artists Representative

1936년 2월 2일 미국 뉴욕 출생의 혹인 소프라노. 56년 카네기홀에서 「성당의 살인」으로 데뷔, 이후 58년 메트로폴리탄 가극장의 오디션에 합격하여 맹활약을 보이고 있다. 특히 베르디의 드라마틱한 파트의 레퍼터리에서 두각을 보이며, 탁월한 테크닉과 음악성이 뛰어나다는 정평이다.

주디드 블레겐 Judith Blegen

Thea Dispeker Artists Representative

1914년 미국 몬테나에서 출생. 커티스 음악원에서 성악 전공. 65년 뉘른베르크에서 「호프만의 이야기」로 데뷔했다. 그 뒤 세계 유명 가극장에서 활약했고 다시 미국으로와 메트로폴리탄 전속으로 활동했다. 폭넓은 레퍼터리가 자랑거리이며, 연기력 또한 우수한 리릭 콜로라투라 소프라노이다.

에디트 마티스 Edith Mathis

Thea Dispeker Artist Representative

스위스 뤼쩨른 출생. 뤼쩨른 음악원에서 공부한 뒤 그곳 시립가극장에서「마적」으로 데뷔했다. 다시 취리히에서 공부를 계속하다가 1959년에 쾰른에서「팔스타프」에 출연해 주목을 받기 시작한다. 최근에 레코딩에서 더욱 눈부신 활동을 보이는 그녀는 모차르트 오페라에 적격이라는 평으로 「피가로의 결혼」의 수잔나역이 유명하다.

실비아 사슈 Sylvia Sass

Thea Dispeker Artists Representative

1951년 7월 12일 헝가리 부다페스트태생. 프란츠 리스트 음악원에서 공부, 72년 부다페스트 국립가극장에서 「신들의 황혼」으로 데뷔했다. 74년 차이코프스키 콩쿨에서 2위 입상, 78년 스칼라극장에서 「마농레스코」로 데뷔하여 유럽무대를 석권. 목소리는 리리코 스핀토로 특이한 표현력과 미모를 겸비하고 있어 「마리아 칼라스의 재래」라는 인기를 얻고 있다.

레지느 크레스팽 Regine Crespin

Herbert H . Breslin, Inc.

1927년 프랑스 마르세이유 출생. 파리에서 제르메느 뤼방에게 사사받고 51년 파리오페라 코믹극장에서 토스카로 데뷔했다. 이어 스칼라 극장, 비엔나 국립가극장, 베를린 국립가극장에서 활약하다가 국제적 가수로 등장하게 된 계기는 57년 바이로이트 음악제에서 바그너 가수로 성공하면서부터이다. 이후 그녀는 풍부한 성량과 동시에 유연성을 갖춘 소프라노로 프랑스 오페라계의 최대의 존재로 군림하게 된다.

빅토리아 데 로스앙헬레스 Victoria de Ros Angeles

Herbert H. Breslin Inc.

1923년 11월 1일 스페인 바르셀로나 출생. 바르셀로나 음악원에서 피아노와 성악을 전공하고 44년 리사이틀로 데뷔. 47년 제네바 국제콩쿨 우승으로 주목받으면서 등장해 50년 코벤트가든 극장에서 「라보엠」의 미미역으로 세계적 명성을 얻었다. 같은 해 카네기홀 리사이틀, 그 다음해 메트로폴리탄에서「파우스트」의 마르가르테로 성공하여 유럽과 미국무대를 휩쓸었다. 리릭 소프라노의 화려한 음색과 서정성으로 아직도 현역으로 세계무대를 누비고 있다.

미렐라 프레니 Mirella Freni

Herbert H. Breslin, Inc.

1936년 이탈리아의 모데나에서 출생. 모데나에서 유명한 성악교사 캇포갈리아니에게 사사, 다시 볼로냐 음악학교에서 수학했다. 22세 때 비오티 국제콩쿨에서 우승, 곧이어 팔래르요 대극장에서 미카엘라, 미미 등 가련한 처녀역으로 성공. 그 뒤 스칼라극장, 코벤트가든 가극장, 볼쇼이 극장, 뮌헨 가극장 등에서 이탈리아 오페라의 진수를 펼쳐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다.

아냐 실랴 Anja Silja

Colbert Artists Management Inc.

1940년 독일의 베를린 출생. 15세 때 브라운시바이크 극장에서 「낙소스섬의 아리아드네」로 데뷔했다. 58년 쉬투트가르트 가극장, 59년 프랑크푸르트 가극장을 거쳐 60년 20세 때 바이로이트 음악제에서「방황하는 네덜란드인」의 젠다역으로 큰 성공을 거두고 바그너가 가수로 세계무대를 주름잡게 되었다. 「탄호이저」의 엘리자베트가 그녀에게 가장 적합한 역이다.

존 서덜랜드 Joan Sutherland

Colnert Artists Management Inc.

1926년 11월 7일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출생. 시드니 음악원 졸업 후 다시 런던 왕립음악원에서 공부했다. 52년 코벤트가든 무대에서 「마적」의 시녀로 데뷔했고, 그 해 다시 「가면무도회」에서 아멜리아역으로 나와 대성공을 거두었다. 59년 코벤트가든 가극장에서 「루치아」가 결정적 명성을 얻는 계기가 되어 스칼라 극장과 메트로폴리탄 가극장의 프리마돈나로 등장, 오늘날까지도 인기의 정상을 달리고 있다.

루치아 포프 Lucia Popp

Mariedi Anders Artists Management Inc.

1939년 체코의 브라티슬라바 출생. 브라티슬라바 아카데미 졸업. 가족과 함께 비엔나 관광을 갔다가 「마적」의 오디션에 참가하여 심사위원을 놀라게 했고, 카라얀에게 발탁되어 세계무대에 혜성처럼 나타나게 되었다. 그 뒤 메트로폴리탄, 런던의 코벤트가든 등에 화려하게 등장해 청신한 박력과 빛나는 표현력으로 가장 명성높은 소프라노로 군림하고 있다.

로버타 피터즈 Roberta Peters

ICM Artists, Ltd.

1930년 5월 4일 미국 뉴욕 출생. 뉴욕에서 월리엄 하먼에게 사사받은 뒤 50년에「돈 조반니」의 쩨를리나역으로 데뷔했다. 이어서 메트로폴리탄 무대에 화려하게 등장하였고, 63년 잘츠부르크 음악제 출연을 계기로 유럽무대에도 자주 등장했다. 콜로라투라 소프라노로「낙소스 섬의 아리아드네」의 찌르비네타 같은 어려운 역을 완벽하게 부른다는 평을 받았다.

엘리 아멜링 Elly Ameling

Sheldon Soffer Management, Inc.

네덜란드의 로테르담 출생. 암스테르담 음악원에서 수학한 뒤 파리에서 피에르 베르나크에게서 프랑스 가곡을 배웠다. 1968년 링컨센터의 데뷔에서 절찬받은 이래 국제적 소프라노로 등장했다. 데카판 바하 이래 국제적 소프라노로 등장. 데카판 바하의 B단조 미사, 멘델스존의 엘리아 등의 많은 레코드로도 널리 알려진 그녀는 아름답고 투명한 목소리와 정감어린 표현으로 축복이 끊일 날이 없다는 평을 받고 있다.

알린 오저 Arleen Auger

IMG Artist Management

1944년 미국 로스앤젤레스 출생. 67년 비엔나 국립가극장 오디션에 합격하고 「마적」으로 데뷔하자 갑자기 유명해지기 시작했다. 티없는 미성을 자랑하며 완벽한 테크닉을 구사하는 그녀는 모차르트 오페라에서 두각을 보인다. 최근에는 콘서트 가수로서도 손색없는 소리를 내고 있다.

레나타 스코토 Renanta Scotto

Robert Lombardo Associates

1934년 이탈리아의 사보나 출생. 밀라노음악원에서 공부한 뒤 그곳 나치오날레극장에서 성공적으로 데뷔했다. 이를 계기로 스칼라 극장에 초청되어 「춘희」를 불렀고, 57년 에딘버러 음악제에서 마리아 칼라스의 대역으로 「몽유병의 여인」의 아미나로 일약 국제적 명성을 얻게 되었다. 고음이 뛰어나고 콜로라투라의 기교에도 능해 벨리니와 도니제티의 프리마돈나에서 사랑을 받는다.

메리 코스타 Mary Costa

California Artists Management

미국 테네시 녹스빌 출생. 캘리포니아에서 음악교육을 받고, 샌프란시스코에서 데뷔했다. 1958년 글라인드본 음악제에 초청되어 볼프페라리의 「수잔나의 비밀」에서 백작부인역으로 절찬받았고, 59년에는 번스타인의 「캔디드」주역, 61년 브리튼의 「한여름 밤의 꿈」, 이어서 「리골레토」의 질다를 불러 일약 명성을 떨쳤다. 「라보엠」의 무제타역이 명창으로 알려져 있다.

비르키트 닐손 Birgit Nilsson

Eric Semon Associates

1922년 스웨덴 카루프 출생. 스톡홀름 음악원에서 공부했으며, 46년 24세 때 스톡홀름에서 「마탄의 사수」의 아가테를 부르면서 데뷔했다. 그녀를 세계 제일의 바그너 가수로 군림하게 만든 것은 57년 바이로이트 음악제에서 「트리스탄과 이졸데」의 연창에서 비롯, 이후부터 그녀는 바이로이트의 프리마돈나로 해마다 등장하며, 마리아 칼라스와 레나타 테발디를 잇는 영광을 누린다.

제시 노만 Jessye Norman

Shaw Concert, Inc

1935년 미국 조지아주 출생의 흑인소프라노. 워싱턴의 하워드 대학과 볼티모어 피바디 음악원에서 공부했다. 69년 뮌헨 국제콩쿨에서 우승하여 부상, 베를린 도이치오페라에서 활동하면서 그 진가를 나타냈다. 그 뒤 코벤트가든, 메트로폴리탄 등의 세계 주요 가극장에서 맹활약했으며, 리리코 스핀토의 강인한 소리를 구사하여 모차르트에서 바그너까지 소화해 내고 있다.

● 6명의 명메조 소프라노

미뇽 던 Mignon Dunn

CAMI

1932년 6월 17일 미국 테네시주 멤피스 출생. 56년에 뉴올리언즈 오페라에 데뷔한 이래 멕시코와 베를린 도이치오페라, 프랑크푸르트 가극장에서 활동하다가 65년에 뒤셀도르프에서「일 트로바토레」의 아즈체나역으로 명성을 얻기 시작했으며, 73년에는 메트로폴리탄 가극장에서 아즈체나로 데뷔하여 세계적 메조 소프라노로 부상했다.

로잘린드 엘리어스 Rosalind Elias

CAMI

미국 매사추세츠 로웰 출생으로 생년월일과 학력은 뚜렷하지 않다. 그러나 1954년 메트로폴리탄 가극장 신인 오디션에 선발되어 「발퀴레」에 출연함으로써 오페라가수의 길을 열었다. 메조의 정상급에는 아직 올라서지 못했으나 미모와 대범한 노래 스타일로 무대인기는 날로 높아지고 있다. 메트로폴리탄 무대에 자주 기용되며 최근 레코드도 몇 장 갖고 있다.

자네트 베이커 Janet Baker

Shaw Concerts, Inc.

1933년 8월 21일 영국 요크셔에서 출생. 잘츠부르크의 모차르테움에서 수학했다. 59년에 런던 왕립음악원에서 퀸즈상 수상, 61년 에딘버러 국제음악제에서 말러의 교향곡 2번의 독창자로 나서서 성공하여 가수의 위치를 공고히 했다. 오페라보다는 콘서트가수로서 보다 호평을 받고 있는 그녀는 현재 영국 최고의 메조로 불리고 있다.

레지나 레즈닉 Regina Resnik

Shaw Concerts Inc.

1922년 8월 30일 미국 뉴욕에서 출생. 하버드대를 마치고 42년 뉴욕시티 오페라에서 스프라노로 데뷔했다. 44년에 메트로폴리탄 가극장에서 「일 트로바토레」의 레오노라를 불러 성공. 53년에 바이로이트 음악제에서 「발퀴레」의 지클렌데역을 끝내고 소프라노에서 메조로 전향했다. 55년 메트로폴리탄 무대에 다시 등장한 이래 미국의 일급메조로 활약하고 있다.

피오렌짜 코솟토 Fiorenza Cossotto

ICM Artists, Ltd.

1935년 4월 22일 이탈기아 크레센티노 출생. 트리노 음악원을 마치고 스칼라 극장오디션에 합격, 플랑크의 「카르메르파 수녀의 대화」에 출연하면서 이탈리아를 비롯 유럽무대의 길을 열었다. 60년 베로나 야외무대에서 시묘나토의 대역으로 나와 정상에 올라섰고, 64년 파리 오페라극장에서 칼라스와 함께 「노르마」에 출연하여 청중을 열광케 했다. 시묘나토의 그늘에 묻혀 있다가 최근에 메조의 정상가도를 달리고 있다.

글레이스 범브리 Grace Bumbry

Herbert H. Breslin, Inc.

1937년 미국 미주리 센트루이스 출생. 흑인 메조 소프라노 보스턴 대학과 시카고 노스웨스턴 대학을 마치고 다시 로테 레만에게 사사받았으며, 그 후 수많은 상을 휩쓸고 유럽으로 유학했다. 그 뒤 샌프란시스코에서 데뷔무대를 가져 일급 가수로서의 발판을 굳혔다. 메조이지만 소프라노 성역까지도 넘나들어 현재 레온타인 프라이스와 더불어 미국이 자랑하는 프리마돈나로서 아이다와 카르멘역이 유명하다.

● 2명의 명알토

아그네스 발치 Agnes Baltsa

CAMI

그리스의 레프카스에서 출생. 아테네 음악원에서 성악 전공, 1964년 부가레스트에서 열린 조르즈 에네스코 콩쿨에서 우승했다. 68년 도호나니에게 인정받아 프랑크푸르트 가극장에서 활동을 시작함으로써 유럽무대에서 각광받는다. 72년 베를린 도이치오페라로 자리를 옮겨 베를린, 비엔나, 런던, 밀라노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는데, 표정이 풍부한 연기력과 발랄한 목소리가 특징이다.

모린 포레스터 Moureen Forrester

Shaw Concerts, Inc.

1931년 캐나다 몬트리올 출생으로 성악공부는 베를린에서 유명 반주자인 권터 바이젠보른에게서 받았다. 57년 뉴욕필 콘서트에 출연하여 미국과 유럽무대의 활동을 시작했다. 그녀는 오페라보다는 리트가수에서 재능이 뛰어나며, 특히 구스타프 말러의 스페셜리스트로는 일인자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말러의 교향곡의 독창과 가곡 레코드가 많이 나와 있다.

● 11명의 명테너

호세 카레라스 José Carreras

CAMI

1946년 12원 5일 스페인 바르셀로나 출생. 바르셀로나에서 하이메 프란시스코 푸이그에게 성악을 배우고 24세에「루크레찌아 보르지아」로 데뷔했다. 그러다 75년 스칼라 극장에서 「가면무도회」에 출연하면서 「더 스테파노의 재래 」라는 호평을 받아 세계무대로 진출하게 되었다. 이후 그는 코벤트가든, 잘츠부르크 음악제 등에 활발히 출연하면서 파바로티, 도밍고와 어깨를 겨루게 되었다. 리릭 테너이지만 드라마틱한 역할도 멋있게 해낸다.

제임스 킹 James King

CAMI

미국 캔자스의 더지시티 출생. 루이지애나 주립대와 캔자스시티 대학을 졸업하고 처음 바리톤으로 출발했다가 테너로 전향했다. 61년 전 미국 성악콩쿨에서 오페라 오디션상 수상, 이를 계기로 피렌체에 건너가 「토스카」의 카발라도시를 불러 데뷔했다. 국제 대형가수로 인정받은 것은 66년 바이로이트에서「발퀴레」의 지그문트를 불러 대성공을 거두고 부터이다. 훤칠한 키에 준수한 용모도 한몫 거들어 빈트가센 이후 가장 뛰어난 헬덴 테너로 맹활약을 했다.

제임스 맥크래큰 James McCracken

CAMI

1927년 미국 인디애나에서 태어나 콜럼비아 대학에서 성악을 전공한 후 50년에 오페라 무대에 등장했다. 그 이후 메트로폴리탄 가극장에서 활동했으나 주목받지 못하다가 60년에 비엔나 국립가극장에서 「아리아드네」의 바카스로 성공하여 미국이 자랑하는 드라마틱 테너가 되었다. 현재 메트로폴리탄 가극장을 중심으로 세계 각 오페라하우스에서 활약하고 있다.

니콜라이 겟다 Nicolai Gedda

Shaw Concerts, Inc.

1925년 6월 11일 스웨덴 스톡홀름 출생. 스톡홀름 왕립음악원에서 수학, 52년 EMI의 오디션에 합격하여 「보리스고두노프」의 성공으로 파리 오페라계에서 활약하게 된다. 그의 미성을 발견한 사람은 카라얀으로 그의 연주에 자주 출연하면서 명성을 얻기 시작, 풍부한 어학력으로 어느 오페라나 다 소화해내는 달콤한 리릭 테너로 「카르멘」의 호세,「돈 조반니」의 돈 옥타비오가 적역이다.

제스 토마스 Jess Thomas

Colbert Artists Management Inc

미국 사우드다코다 출신의 테너로서 스탠퍼드 대학을 마치고 57년 샌프란시스코 오페라 콩쿨에서 우승, 그 이듬해 독일로 건너가서 카알스루에 가극장에서 데뷔했다. 61년 바이로이트 음악제에서 절찬받았고, 65년 바그너 탄생 150년 기념음악제에서 금상을 수상함으로써 제임스 킹과 더불어 미국이 자랑하는 테너가 되었다.

존 비커스 John Vickers

General Artists Management Inc.

1926년 캐나다 프린스앨버트 출생. 토론토 음악원을 졸업한 후 57년 런던 코벤트가든 가극장 오디션에 합격하여「가면무도회」와「카르멘」에 출연, 주목받았다. 전형적 드라마티코의 힘찬 목소리로 비극적 긴장미를 자아내는 바그너의 오페라에 적격이라는 평. 58년 바이로이트에서, 67년 잘츠부르크 음악제에서 「발퀴레」를 열창해 인기의 절정을 누렸다.

플라시도 도밍고 Placido Domingo

Eric Semon Associates

1941년 스페인 마드리드 출생이나 8세 때 멕시코로 이주하여 멕시코시티 음악원에서 피아노와 성악을 전공했다. 61년 캘리포니아 몬토레에서 「춘희」의 알프레도 출연 계기로 테너 활동을 시작했다. 68년 메트로폴리탄, 69년 스칼라극장에 등장했고 레코드계에도 진출, 인기의 절정을 누리고 있다. 「일 트로바토레」의 만리코,「돈 카를로」의 돈알바로, 「아이다」의 라다메스 역에서 뛰어나다는 평이다.

카를로 베르곤찌 Carlo Bergonizi

ICM Artists Ltd.

1924년 7월 13일 이탈리아 붓세토에서 출생. 파르마 음악원을 수학한 뒤 48년 바리톤으로서 피가로역으로 데뷔했다. 그러던 중 테너가 자기적성에 맞는다고 판단하여 전향, 51년 파리에서「안드레 세니에」의 주인공 테너로 재등장했다. 53년 런던 코벤트가든, 56년 메트로폴리탄 가극장에 진출했다. 그 후 무대와 레코딩을 통해 오페라계에 군림하기 시작했으며, 절제와 안정된 표현이 장점이다.

베르너 홀베크 Werner Hollweg

Ingpen & Williams Limited

1936년 독일의 돌리겐 태생. 62년 비엔나 실내 오페라 참가를 계기로 63년부터는 본 국립가극장 전속이 되었다. 리릭 테너의 대부분의 레퍼터리를 자랑하는 그는 잘츠부르크 음악제와 세계 주요 가극장에서 현재 맹활약, 미성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루치아노 파바로티 Luciano Povarotti

Herbert H. Breslin, Inc.

1935년 이탈리아 모데나 출생. 만토바에서 공부하고 이탈리아 각지의 콩쿨을 휩쓸다가 61년 「라보엠」의 로돌포역으로 데뷔, 67년 스칼라 극장에 등장, 인기의 정상임을 확인하였다. 다시 그 해에 메트로폴리탄에 「라보엠」으로 데뷔해 유럽과 미국 무대를 동시에 차지했다. 벨칸토의 창법의 거구를 자랑, 현재 도밍고와 더불어 세계 최정상의 테너이다.

로버트 티어 Robert Tear

Harold Holt, Ltd.

1939년 3월 8일 영국 웨일즈의 배리에서 출생. 케임브리지대 킹즈칼리지에서 공부하고 킹즈칼리지 합창단에서 활동하다가 64년 올드버러 음악제에서 브리튼의 「나사의 회전」으로 오페라에 데뷔했다. 영국 오페라 그룹의 전속 가수로 미성의 리릭 테너를 자랑하고 있는 그는 현재 영국에서 가장 다채로운 활약을 하고 있다.

● 9명의 명바리톤

볼프강 브렌델 Wolfgang Brendel

CAMI

독일 뮌헨 태생. 비스바덴 음악학교를 졸업하고 21세 때 카이저 스라우테른 극장에서 데뷔했다. 현재 뮌헨의 바이에른 국립가극장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바이클의 뒤를 잇는 젊은 바리톤 가수로 기대되고 있다. 「탄호이저」의 볼프람,「마적」의 파파게노,「펠리아스와 멜리장드」의 펠리아스가 그의 단골역.

레나토 카페치 Renato Capecci

CAMI

1923년 이집트 카이로 출생. 로잔느 음악원에서 바이올린 전공, 다시 밀라노에서 카롯찌에게 성악을 사사받고 바리톤 가수로 등장했다. 만학도로서 풍부한 레퍼터리를 자랑하는데 , 도니제티와 롯시니의 오페라에서 낮게 울리는 바리톤으로 최고의 매력을 준다. 「세빌리아의 이발사」의 피가로, 「사랑의 묘약」에서의 베르코레가 그의 저력있는 목소리에 가장 어울리는 적역이다.

톰 크라우제 Tom Krause

CAMI

1934년 핀란드 헬싱키 출생. 의학을 공부하다가 중도에 성악으로 전향, 비엔나 국립아카데미에서 수학했다. 58년 베를린 국립아카데미에서 수학, 58년 베를린 시립가극장 오디션에 합격, 본격 바리톤으로 등장하면서 영국 데카사의 신인 발굴에 발탁되어 국제무대로 나서게 된다. 미성이면서도 지적이고 기교적이라는 평이다. 오페라뿐만 아니라 종교음악에서도 두각을 나타내며, 이제 전성기에 다다른 기대주이다.

코넬 맥네일 Cornell MacNeil

CAMI

1925년 미국 미네아폴리스 출생. 바그너 명베이스 프리드리히 숄에게 성악을 공부했다. 55년 샌프란시스코 가극장에서 데뷔한 후 58년 데카사의 「서부의 아가씨」를 녹음할 때 젊은 바리톤으로 발탁되면서부터 주목받기 시작했다. 레코드로 인정받아 스칼라 극장, 메트로폴리탄 가극장에서 활약하게 된 행운아로서 최근에 베르디의 「루이자 밀러」녹음이 인기를 얻고 있다.

토마스 스튜어트 Thomas Stewart

CAMI

1928년 8월 29일 미국 텍사스 선사바 출생. 줄리어드 음악원에서 공부한 후 베를린 도이치오페라에서 6년간 활동했다 그 뒤 60년부터 바이로이트 음악제에 해마다 출연하여 일약 정상급 바그너 가수로 등장하게 되었다. 카라얀이 녹음한 「니벨룽겐의 반지」4부작 시리즈 녹음에 발탁됨으로써 그의 미래가 밝아졌다 함축성 있고 처절한 소리가 일품이다.

헤르만 프라이 Hermann Prey

Shaw Concerts, Inc

1929년 독일 베를린 출생. 어릴 때부터 모차르트 합창단에서 노래, 베를린 고등음악학교를 졸업하고 21세 때 리트리사이틀로 데뷔했다. 55년 비엔나 국립가극장 진출, 56년 카데기 홀, 60년에 메트로폴리탄에서 「틴호이저」의 볼프람을 불러 피셔-디스카우에 버금가는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성실하고 소박하면서도 풍부한 감정의 소리로 오페라와 리트 양쪽에 능한 만능 바리톤이다.

제라르 수제 Gérard Souzay

Shaw Concerts Inc

1918년 프랑스 앙제에서 출생. 철학을 전공했으나 피에르 베르나크에게 성악을 사사받으면서 에콜노르만과 파리음악원에서 성악을 공부했다. 45년 포레의 가곡을 불러 프랑스의 명바리톤 팡젤라의 재래라는 칭송을 받았다. 46년 브뤼셀에서 퍼셀의 「디도와 에네아스」로 오페라계에 데뷔했다. 이후 독일과 미국을 넘나들면서 프랑스 가곡의 전통을 잇는 제1인자로 군림하게 되었다.

디트리히 피셔-디스카우 Dietrich Fischer-Dieskau

Colbert Artists Management Inc.

1925년 5월 28일 독일의 뵉렌도르프출생. 베를린 고등학교에서 수학, 43년 리트 가수로 출발하여 슈베르트의 「겨울나그네」로 인기를 얻었다. 테너에 가까운 음색으로 약성과 중성에 섬세한 맛을 내는 그는 독일 리트에서 독보적인 존재이며, 슈베르트의 3대 연가곡집에서는 아직까지도 그를 능가하는 가수가 없다는 평이다. 최근에는 지휘에도 손을 뻗쳐 많은 레코드를 내고 있다.

셰릴 밀른즈 Sherill Milnes

Herbert Barrett Management

1935년 미국 일리노이에서 태어나 아이오와의 드레이크대에서 성악을 전공, 62년 뉴욕시티오페라에서 「파우스트」의 바렌틴으로 데뷔했다. 같은 해에 메트로폴리탄 가극장 오디션에 합격하여 미국 바리톤 가수로 일약 스타덤에 올랐다. 69년부터는 유럽 무대에도 진출하여 대성공을 거두었고, 현재 세계에서 가장 화려한 활약을 하고 있는 바리톤으로 주목받고 있다.

● 8명의 명베이스

니콜라이 가로프 Nicolai Ghiaurov

CAMI

1929년 9월 30일 불가리아 벨린그라드 출생. 소피아 음악원,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수학하고 55년 파리 국제콩쿨에서 우승한 뒤 소피아 오페라 극장에서「세빌리아의 이발사」의 바질리오 역으로 데뷔했다. 58년 본쇼이 극장에서「보리스 고두노프」와 「파우스트」에서 절찬, 59년에는 스칼라 극장에 서면서 오늘의 명성을 쌓기 시작했다. 무겁고 깊으면서도 찬란함을 잃지 않는 천부적 베이스이다.

롯제로 라이몬디 Roggero Raimondi

CAMI

1941년 5월 3일 이탈리아 볼로냐 출생. 로마와 밀라노에서 테레자 페디코니, 피에르 베난찌에게 성악을 배웠다. 64년 스포레토 콩쿨에서 입상하고 「라보엠」의 콜리네 역으로 데뷔, 베이스의 신성으로 등장했다. 60년대에 이미 중부유럽 오페라계를 정복했다. 70년 메트로폴리탄 가극장에 「에르나니」의 실바 역, 스칼라 극장의 「시칠리아 섬의 저녁기도」의 프로치다역으로 등장해 기대주로 부상했으며, 바리톤적인 밝은 성량이 특징이다.

체자레 시에피 Cesare Siepi

CAMI

1923년 2월 10일 이탈리아 밀라노 출생. 밀라노 음악원에서 성악을 전공했다. 41년 베네치아에서 「리골레토」의 스파라프칠레로 베이스 가수 데뷔, 46년에 스칼라 극장의 「나부코」에 출연했으며, 50년에는 메트로폴리탄 가극장의 「돈 카를로」에 출연하여 세계의 가극장을 석권해 나갔다. 레퍼터리가 풍부하고 음악성이 있다는 평이다.

리처드 밴 앨런 Richard Van Allan

CAMI

1935년 5월 28일 영국 노팅엄 출생. 버밍엄 음악학교에서 성악을 전공했다. 66년 그라인드번 오페라에서 「마적」에 출연하여 데뷔했다. 현재 코벤트가든 가극장 전속가수로 모짜르트의 오페라가 그의 장기로 영국이 낳은 명베이스로 부상하고 있다.

에찌오 플라겔로 Ezio Flagello

Herbert Barrett Management

미국 뉴욕 출신의 베이스. 맨하탄 음악원에서 수학한 뒤 이탈리아에서 공부하고 1957년 메트로폴리탄 가극장의 오디션에 합격, 「토스카」의 간수역으로 데뷔했다. 그 후「돈 조반니」의 레포렐로를 부른 것이 큰 성공을 얻어 주목받게 된다. 울림이 매우 깊은 실력파 베이스로 많은 레퍼터리를 자유롭게 구사한다는 평.

마르티 탈벨라 Martti Talvela

Herbert H. Breglin, Inc.

1935년 2월 4일 핀란드의 히이트라 출생. 라티 음악학교에서 공부, 60년 헬싱키 국립오페라에서 데뷔했다. 스톡홀름 왕립가극장 전속을 거쳐 62년부터는 베를린 도이치오페라 단원이 되었다. 같은 해에 바이로이트 음악제에 등장하여 주목받았고, 뒤이어 비엔나, 밀라노, 뉴욕 등에서 활동하기 시작하여 풍부한 성량을 과시하고 있다.

이보 빙코 Ivo Vinco

ICM Artists, Ltd

이탈리아의 보스코키에자누보 출생. 베로나 음악원에서 배운 뒤 스칼라극장의 전속가수로 활동을 시작했다. 1976년 메트로폴리탄 가극장에서 「노르마」의 오로베로 역을 불러 성공을 거두고 현재는 이탈리아 정상급 베이스로 평가받고 있다.

한스 틴 Hans Sotin

Colbert Artists Management, Inc.

1939년 9월 10일 독일의 도르트문트 출생. 도르트문트 음악원에서 공부한 뒤 62년 에센 가극장에서 데뷔했다. 64년 함부르크 가극장에 전속되면서 국내외로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72년 바이로이트 축제에 출연, 73년에는 비엔나 국립 가극장과도 계약을 맺었으며 ,현재 독일의 베이스를 짊어질 가수로 주목받고 있다,

● 기타 악기 연주자

이밖에도 소프라노에 Pilar Lorengar(Herbert H. Breslin, Inc)와 Galina Vishnevskaya (CAMI), 메조소프라노에 Regine Crespin(Music International), 한국의 김영미(Thea Dispe- eker Artists Re.)등이 정상의 무대를 넘보고 있다.

테너에서는 Piero Visconiti(CAMI), 영국에 본사를 두고 있는 매니지먼트 캠패니에 속해 있는 동독의 Peter Schreier(Norman McCan International Artists Ltd.) 등과 바리톤에 Walter Berry(Thea Dispeker Artists Re.)와 Hakan Hagegard(Thea Dispeker Artists Re.), 베이스 바리톤에서는 Jeffery Wells(Kazuko Hillyer International Inc.) 등이 정상급에 도전하는 A급 성악가들.

피아노에서는 Artur Balsam(Bevery Artists Management Inc.), John Browning(CAMI), Shura Cherkassky(Shaw Concets Inc.), Bella Davidovich(Jacques Leiser Artists Manage- ment), Jerome Lowenthal(CAMI), Emanuel Ax(ICM Artists Ltd), Leonard Pennario (CAMI), Bela Siki(Bravo Artists Management Inc.), Tamas Vasary(Jacques Leiser Artists Management) 등이 있고, 오르간에는 Marie-Claire Alain(Murtagh McFariane Artists Inc.), Frederick Swann(Murtagh McFariane A. Inc.), John Walker(Phillip Truken- brod Concert Artists), Anthony Newman(Herbert H. Breslin Inc.) 등과 합시코드에서 George Malcolm(Kazuko Hillyer International. Inc.)이 정상에 이르렀거나 A급에 이른 건반악기주자들이다.

바이올린에서는 Elmar Oliveira(CAMI), Piere Amoyal(CAMI), Gyorgy Pauk(Herbert Barrett Management), 일본의 천재소녀라 불리는 MiDori(ICM Artists Ltd) 등과 한국의 김영욱(CAMI)과 강동석(IMG Artists) 등도 정상을 향해서 달리고 있다. 비올라에는 Paul Doktor(Colbert Artists Management Inc.), 같은 현악기군인 기타에는 John Williams (Shaw Concerts Inc.)와 Siegeried Behrend(Basil Douglas Artists Management), Alexandre Lagoya(Colbert Artists Management Inc.), Romero 형제들(CAMI) 등이 정상급이고, 하프에서는 Osian Ellis(CAMI), Ursula Holliger(Ingpen & Williams Limited) 등이 정상급이다.

관악기군에서는 플루트에 James Galway(ICM Artists Ltd.), Jean-Pierre Rampal(Colbert Artists Management Inc.), Julius Baker(Maxim Gershunoff Attractions Inc.), Ransom Wilson(CAMI) 등, 클라리넷에서는 Richard Stoltzman(Frank Salon Associates), Franklin Cohen(Shaw Concerts Inc.), Janet Hilton(Ingpen & Williams Ltd.) 등, 오보에에서는 Heinz Holliger(Colbert Artists Management) 등, 트럼펫에 Winton Marsalis(ICM Artists Ltd.), Maurice André(CAMI) 등이 정상급 연주자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