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곳에 게재된 각종 의견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별도의 답변을 하지 않습니다.
- 고객님의 개인정보 노출을 막기 위하여 개인정보는 기록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십시오.
- 우리 위원회의 운영이나 문예진흥기금 사업추진과 관련된 정책 사항이나 건의, 질의 사항에 대해 답변을 원하시면 정책제안 질의, 민원사무처리를 원하시면 사이버민원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적광고, 저속한 표현, 사람, 단체를 비방할 목적으로 공연히 사실/허위사실을 적시하여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경우 등 홈페이지의 정상적인 운영을 저해하는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통지없이 삭제 (근거:예술위 정보화 업무규정 34조 2항)와 함께,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등에 관한법률 제 61조’에 의거 처벌을 의뢰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타인의 정보 및 주민등록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 집니다.
미술대전, 폐지가 능사인가
-
조회수
4,128
-
작성자
미*
-
등록일
2006.01.24
홈 > 뉴스 > 사설ㆍ칼럼 > 외부 칼럼ㆍ기고
입력 : 2006.01.22 21:54 35'
http://www.chosun.com/editorials/news/200601/200601220298.html
미술대전, 폐지가 능사인가
▲ 이영길·한국미술협회 사무처장
2004년 말 장석원씨 외 3인의 미술계 전문가들과 문화예술위원회, 사단법인 한국미술협회 관계자로 구성된 태스크포스팀은 대한민국 미술대전을 3개년에 걸쳐 점진적, 지속적으로, 최대한 바꾼다는 목표 아래 개선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그러나 최종 합의된 개선안에도 불구하고 일부 논자들은 미술대전을 아예 폐지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그런 가운데 미술대전을 적극 지원해야 할 문화예술위원회는 수수방관한 채, 폐지론을 방조하고 있다.
대다수 미술인들 참여마당
미술평론가 강수미씨가 조선일보 1월 16일자에서 던진 미술대전 해체론은 미술대전의 문제점에 대한 적극적 대안이나 합리적 개선방안에 대해서는 애써 외면하고 있다. 편견 또는 상식선의 문제점만을 침소봉대하여 너무도 쉽게 해체 주장만을 앵무새처럼 되풀이하며, 갈등을 컴퓨터의 리셋 버튼을 누르듯 너무도 편하게 해결하려고 하고 있다.
멀티미디어 아트나 관객 참여 미술이 미술의 전부인 양 모더니즘 미술형식을 구시대의 유물로 치부해버리는 것은 미술의 다양성을 스스로 부정하고, 또 다른 경계를 구축하려는 시도와 다름없다. 미술대전은 중앙으로부터 소외된 지역미술인들과 제도권 교육에서 버림받고 작품 활동의 끈을 놓지 못하는 대다수 미술인들의 참여의 장이다. 제도권 교육의 수혜자로서 미술대전 폐지를 주장하는 일부 비판론자들의 지엽적인 시각과 극명한 대조를 이루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오늘의 개선안이 필요했고, 신·구가 조화롭게 시대적 조류에 동참할 수 있도록 혁신, 노력하고 있는 것이다.
끊임없이 혁신하고 개선하려는 미술대전의 노력을 기성의 권위를 덧칠하려는 시도로, 기형적 편법으로 일방적으로 매도만 할 것이 아니다. 개선안과 같이 문화예술위원회와 한국미술협회가 공동참여하고 비평가상 제도를 신설하여, 영국의 대표적인 미술상인 터너 프라이즈처럼 명실공히 한국현대미술을 대표하고 육성하는, 미술인들이 함께 호흡할 수 있는 행사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대통령상 도입, 심사운영의 외부전문가 참여, 적립금의 창작발표 공간 확보 등, 크다고는 할 수 없지만 가시화된 성과가 이미 있다. 향후 미술대전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지속적인 변화와 발전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개선안의 본질적인 내용은 덮어둔 채 미술대전을 마치 악의 축처럼 편견과 색안경을 끼고 보지 말길 바란다.
20년 전이나 지금이나 문화예술위원회가 미술대전에 주는 지원금은 1억2000만원으로 요지부동 변함이 없다. 과연 1억2000만원으로 연 인원 7천여명의 작가와 남녀노소 2만여명의 관람객이 참여, 향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이 나라 어디에 또 존재할까? 저비용 고효율로 20여년간 대한민국 미술문화발전에 헌신해왔다면, 대통령상을 신설해서 3000만원을 시상한들 그것이 어찌 권위와 복속의 산물이란 말인가?
'악의 축'으로 여겨서야
미술대전의 존재이유는 스스로의 권위를 위해서가 아니라 한국미술이 지금 여기에서 만들어내는 긍정적 가치를 조명하고 고양하는 데 있다. 문제가 있다고 컴퓨터 리셋 버튼을 누르는 것이 능사가 아니듯, 무조건적인 해체 주장은 스스로 생산적인 논의를 애써 외면하는 것이나 다름없을 것이다.
(이영길·한국미술협회 사무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