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램

전시

  • 무빙 / 이미지
    무빙 / 이미지
    전시기간
    2017.07.21~2017.09.03
    관람료
    무료
    오프닝
    장소
    아르코미술관 제2전시실
    작가
    그레이스 슈빈트, 이미래, 오민, 김동희, 시타미치 모토유키, 마논 드 보어, 지미 로버트, 김뉘연 & 전용완, 여다함, 박민희
    부대행사
    주관
    주최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의


무빙 / 이미지




2017년 7월 21일 – 9월 3일

아르코미술관 제2전시실




참여작가: 그레이스 슈빈트, 이미래, 오민, 김동희, 시타미치 모토유키, 마논 드 보어, 지미 로버트, 

김뉘연 & 전용완, 여다함, 박민희

기획: 김해주

주최: 문화예술위원회

후원: 주한독일문화원

 




❑ 전시 개요

 

<무빙 / 이미지>는 움직이는(moving) 이미지(image)에 대한 생각에서 출발한 전시와 일련의 퍼포먼스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빙 이미지’라는 단어는 일반적으로 영상을 뜻하지만 이 전시에서 사용된 <무빙 / 이미지>라는 단어는 시각 예술의 여러 매체에서 발생하는 이미지를 움직임이라는 키워드로 이야기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국내외 11명의 작가들이 참여하는 이 프로젝트에는 시간성을 가진 영상은 물론, 사물, 신체, 소리로 다양하게 구성된 퍼포먼스에서 뿐 아니라 조각, 설치와 같은 고정된 사물로부터 움직임을 읽을 수 있을지, 더 나아가 여러 작업의 구성체인 전시 역시 하나의 ‘움직이는 이미지’로 작동할 수 있을지를 질문해본다. 아르코미술관 2층에서 열리는 전시에는 오민의 영상 작업을 비롯하여 마논 드 보어와 지미 로버트의 영상작업이, 시타미치 모토유키의 슬라이드 프로젝션과 설치, 그레이스 슈빈트의 드로잉과 설치 작업, 김동희, 이미래의 설치 작업이 소개된다.




또한 다양한 장르를 기반으로 하는 작가들의 퍼포먼스 세 작품이 아르코미술관 내의 여러 장소에서 펼쳐진다. 여다함의 퍼포먼스는 7월 26일과 8월 10일 두 차례 아르코미술관 옥상에서 열리고 문학과 디자인으로 활동하는 김뉘연, 전용완의 <수사학>은 8월 5, 6 양일간 음악가 진상태, 무용가 강진안, 최민선과의 협업으로 2층 전시장에서 진행된다. 음악을 기반으로 하는 소리가 전달되는 새로운 방식과 공간을 탐구해 온 박민희의 신작 <처사가>는 8월 16일에서 18일 까지 삼일 간 총 여섯 차례 진행된다.




<무빙 / 이미지>는 2016년 문래예술공장에서 개최된 동명의 전시 및 퍼포먼스 프로그램의 연장선에 놓여 있으며 영상과 퍼포먼스를 움직이는 이미지의 연속이자 축적으로 읽으려는 기존 기획의 의도를 정지하는 사물들과 전시로 확장한 프로젝트이다.



오민_공연자_단채널 영상, 스테레오 오디오_00:31:33_2017

「관객」과 「공연자」는 서로 원인과 결과가 맞물리는 형태의 개별적이면서 상호의존적인 두 개의 공연이다. 「관객」의 사전 스코어(prelimirary score)는 「공연자」의 공연을 구성하는 근거가 되고 「공연자」의 공연은 「관객」의 최종 스코어가 된다. 오민이 지난 작업에서 관찰해 온 공연자의 태도, 스코어의 의미와 형태, 작업이 조직되는 과정과 참여자의 역할에 대한 질문들이 만나는 지점에서 '불안정'이라는 공통분모를 기반으로 작업이 진행되었으며 이때 불안정과 안정, 자연과 계획의 균형점을 찾기 위한 재료로서 '운동반응(Kinesthetic Response)'과 리듬이 사용된다.








이미래_스크리블 캐리어즈_철선에 페인트_50×200cm_2017

스크리블은 휘갈김의 흔적이다. 스크리블은 무성의함과 무절제함이 가장 단순한 형태로 시각화된 무엇이기도 하지만, 어지러운 생각이 막다른 곳에 몰릴 때의 폭발이나 히스테리이기도 하다. 「스크리블 캐리어즈」에서 몸은 휘갈김이라는 추상적 에너지를 짊어지는 매개가 된다. 휘갈김은 몸 위에 앉거나 몸을 감은 채 인체를 사용해 공간을 가로지른다. 「스크리블 캐리어즈」는 작품을 만드는 창작자의, 또 작품을 소화하는 관객의 주체로서의 몸을 '캐리어'로 전도해내는 움직임을 만들게 된다. 






그레이스 슈빈트_뚫린 인어, 철, 패브릭_136×60×60cm_2017Courtesy: Zeno X Gallery, Antwerp

그레이스 슈빈트는 이번 전시에서 조각과 의상, 드로잉의 조합을 통해 인간의 신체, 특히 여성의 신체를 바라보는 관습과 역사를 탐구한다. 인어의 형상은 비록 세상에 끔찍한 일들이 많고 변화가 어렵다는 것을 인식하면서도 마법의 가능성과 또 다른 논리 / 질서에 기반한 삶에 대해 믿는 태도를 반영한다. 동화 속에서 기존 질서와 체제를 교란 혹은 전복하려 하지만 결국 자신이 있었던 바위 위 자리를 지키며 그 질서와 체제를 재생산하고 마는 인어공주의 힘에 의문을 제기한다. 여기서 인어는 실현되지 않은 잠재성의 표상으로 기능하는 한편, 대안적 질서의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이것은 그 질서를 철저히 분해해 그 중심부까지 대항하지 않는 이상 결코 이룰 수 없는 것이기도 하다. 일련의 도자 조각은 몇 가지 단계를 거쳐 추상화된 신체를 새로운 질서 창출의 가능성으로 간주하면서, 여성 신체의 재현에 관한 오랜 전통을 살펴본다. 이 작품들은 관람객과 사물의 다각적 시점이 활성화되는 하나의 안무로서 고안되었다.











시타미치 모토유키_플로팅 모뉴먼트_유리_가변크기_2015~7
시타미치 모토유키_일몰/일출_일본, 츠나기(일몰, 2013년 7월 21일 19:00–19:24),미국, 시카고(일출, 2013년 7월 21일 05:00–05:24), 30초 간격으로 촬영,슬라이드 프로젝션, 80장, 2세트, 목재에 그림_181×46×1.5cm×2_츠나기 미술관 소장

시타미치 모토유키는 지역과 지역, 나라와 나라 간의 물리적, 심리적 경계를 표시하는 사물과 장면들에 주목해왔다. 작가는 2015년 이후 정기적으로 오키나와를 방문해 작업을 지속하고 있는데, 특히 중국, 한국, 일본 등으로부터 해류를 타고 이 섬의 해변에 밀려온 수 많은 유리병을 수집했다. 작가는 이 유리병을 모아 분쇄한 뒤 새로운 유리병을 만든다. 각기 다른 유리 재질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이 유리병은 온도의 변화에 유난히 약하고 쉽게 깨지는 성질을 갖고 있다. ● 「일몰/일출」은 작업은 일본의 츠나기와 미국 시카고에서 같은 날, 같은 시각 해가 지고 뜨는 것을 동시에 촬영한 것이다. 영상과 함께 전시되는 그림은 작가가 츠나기의 한 공립학교에서 발견한 교육교재로 해가 뜨는 시간과 장소가 표시되어 있다.

 





지미 로버트_매개변수 HD 영상, 사운드_00:05:20_2012Courtesy: Tanya Leighton, Berlin

「매개변수」에서 작가는 기하학적인 형태가 그려진 종이에 얼굴을 맞댄다. 종이 위 드로잉의 형태는 삼차원 형상을 잘라 만든 것이다. 얼굴의 윤곽은 종이의 잘린 모양에 따라 삭제되거나 새로운 형태에 결합하며, 이 같은 종이와 신체의 조합은 지속적으로 변형하는 조각이자 안무가 된다. 이 작업은 또한 언어와 행위의 관계 및 언어의 객관성에 대해 질문한다.








김동희_엔트런스_출입구, 아크릴_가변크기_2017

「엔트런스」는 건물의 내, 외부를 나누는 출입문과 전시장 내부에 위치한 또 하나의 출입구로 구성된다. 이 장치들은 『무빙 / 이미지』 전시가 열리는 덥거나 비가 많이 내리는 계절을 염두에 두고 만든 것이다. 이 입구들은 관람을 위한 통로이자 전시의 내부에서 동선을 조정한다.








마논 드 보어_고요한 마음_4:3, 16mm 디지털 전환_00:07:39_2016Courtesy: August Orts, Brussels

짧은 영상들의 모음으로 구성된 이 작업은 마논 드 보어가 자신의 어린 아들이 남긴 놀이의 흔적을 삼 년간 촬영한 영상을 모은 것이다. 영상은 아이의 일상에서 발생하는 역동적이고 창조적인 발견의 순간들을 담고 있다. 약 20초 남짓한 각 장면의 길이는 16밀리 볼렉스 카메라를 손으로 감으며 촬영할 수 있는 시간의 길이이다. 마치 정지한 듯 고요한 영상은 움직임의 흔적, 사건의 이후를 기록한다. 작품의 제목은 화가 아그네스 마틴이 쓴 같은 제목의 글(1972) 에서 가져왔다.








여다함_별똥별 체조_퍼포먼스(사진_매우 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 불만족(2015) 영상 스틸컷)

「별똥별 체조」는 얼음에 풍선을 매달아 만든 장치의 움직임을 기록했던 영상작업(「매우 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 불만족」, 2015)에서 출발한 퍼포먼스이다. 서비스 만족도 지수 평가에 등장하는 매우 만족에서부터 매우 불만족으로 이뤄진 다섯 개의 지표를 생각하면서 시작한 것이었는데, 작가는 여기서 계량화된 지표로 삶의 일면을 얘기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갖게 된다. 소리와 사물의 움직임이 결합된 이 퍼포먼스에서 풍선과 얼음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향하려고 한다. 때로 바람에 흔들려 춤을 추듯 움직이는 이 두 사물 간의 긴장은 얼음이 녹아 더 이상 버틸 수 없을 때까지 지속된다.








김뉘연&전용완_수사학-장식과 여담_퍼포먼스(사진_문학적으로 걷기(2016) 퍼포먼스 장면)

「수사학-장식과 여담」은 "사상이나 감정 따위를 효과적, 미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문장과 언어의 사용법을 연구하는 학문"인 수사학에서, 말을 꾸미는 '장식'과 말을 비껴가는 '여담'에 주목한다. 「수사학」은 주요하다고 여겨지는 것들의 주변에 대한 이야기이다. 이야기는 두 편의 소설로 작성되고, 두 번의 퍼포먼스로 구현된다.








박민희_처사가_퍼포먼스, 설치(사진_길군악『무빙 / 이미지』(2016) 퍼포먼스 장면)

박민희의 「처사가」는 향후 12개로 완성될 퍼포먼스 덩어리 중 한 개의 조각이다. '12가사' 중 한 곡인 '처사가'라는 노래를 소재로 하며, 20세기 정립된 '상상의 전통'에 관해 이야기한다. '처사가'가 생명을 갖고 수백 년의 역사를 지나오는 동안 변화해온 것들 / 허상의 지위를 획득하고 대신 유희로서의 노래에서 멀어지게 된 것 / 더 이상 오락(entertainment)일 수 없는 노래의 존재 / 를 관람한다.








❑ 퍼포먼스 및 상영회 일정
- 여다함 <별똥별 체조> : 7.26(수), 8.10(목) 오후 7시, 아르코미술관 옥상
- 김뉘연, 전용완 <수사학 – 장식과 여담>: 8. 5(토)-6(일) 오후 6시, 아르코미술관 2층 전시실 *퍼포먼스 준비를 위해 전시는 오후 5시에 종료합니다. (마지막 입장: 오후 4시 30분)
- 박민희 <처사가>: 8. 16(수)-18(금) 오후4시, 7시 (1일 2회 총 6회),아르코미술관 3층 세미나실
- 상영회 (오큘로 기획): 9. 1(금) 오후 5-9시, 아르코미술관 스페이스 필룩스




* 퍼포먼스 및 상영회는 관람가능한 인원수가 한정되어있어 예약필수이며 자세한 내용 및 예약 안내는 추후 홈페이지(http://movingimage.kr)을 통해 공지할 예정입니다.


 
첨부파일
TOP